DOI QR코드

DOI QR Code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예비 사사과정 학생들의 학습윤리 실태 조사

The Survey of Academic Integrity of the Student in Mentorship Program at a Science Gifted Institute Attached to University

  • 투고 : 2013.03.15
  • 심사 : 2013.04.22
  • 발행 : 2013.04.30

초록

본 연구는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예비 사사과정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습윤리 실태를 알아보고 학습윤리 교육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K대학 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2013 사사과정 합격생 51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은 '참고자료의 사용', '과제물 구매 대리 도용', '협동학습'의 세 가지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영재교육대상 학생들에게 학습윤리를 교육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때 윤리적 지식뿐만 아니라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항목별로는 '과제물 구매 대리 도용', '참고자료의 사용', '협동학습'의 순으로 윤리의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협동학습을 통해 연구를 수행하는 사사과정의 특성상 '협동학습'에 대한 윤리 의식이 부족한 것이 문제점으로 드러나 이 부분에 대한 교육이 강조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quire the status of academic integrity of the student in mentorship program at a science gifted institute attached to university and to seek the teaching plan of academic integrity. We administered questionnaire to 51 students who passed the enterance exam of mentorship program at the science gifted institute in 2013.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hree topics, 1) using reference, 2) purchasing, deputizing & plagiarizing of homework, 3) cooperative learning. As results of survey, students have a ethic in the following order: 'purchasing, deputizing & plagiarizing of homework', 'using reference', and 'cooperative learning'. Especially, the lack of conscious about 'cooperative learning' turned out to be a problem, because students have to research by cooperative learning during mentorship program.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each topic. Finally,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ethical knowledge and degree of practicing it.

키워드

참고문헌

  1. 가톨릭대학교 교양교육원 (2010). 가톨릭대학교 대학생 학습윤리 가이드북. 가톨릭대학교 교양교육원.
  2. 고전 (2009). 대학의 학습윤리 관련 규정 및 교육 개선 방안. 대한교육법학회, 21(2), 1-25.
  3. 박경빈, 이미순, 전미란 (2010). 미래사회 영재의 창의.인성 교육을 위한 예비 연구 - 현장 영재교사의 인식 중심으로. 영재교육연구, 20(3), 681-701.
  4. 서윤경 (2007). 대학생의 표절 지식 및 행위에 대한 조사 연구. 여성연구논총, 22, 1-17.
  5. 손경원 (2007). 사례중심적 연구윤리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연구. 윤리연구, 64, 53-80.
  6. 손화철 (2007). 한국 대학의 연구윤리교육 실태 분석. 새한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07(11), 53-79.
  7. 연구윤리정보센터 홈페이지. http://www.cre.or.kr (검색일: 2013. 2. 12)
  8. 오미진, 이성태, 하동수, 조현욱 (2010).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교육과정 비교분석: 중등생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과학영재교육, 2(2), 19-38.
  9. 오영희 (1998). 덕성여대생들의 학업부정행위에 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5, 141-162.
  10. 윤소정, 최용성, 최병학, 양삼석 (2011). 대학생의 연구윤리교육에서의 표절 실태 및 대안 연구. 윤리교육연구, 24, 315-335.
  11. 이성흠, 윤초희, 최상봉 (2011). '학습윤리'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중요도-실행도 차이 분석을 중심으로. 아시아교육연구, 12(4), 75-94.
  12. 이재승 (2008). 공학윤리교육의 필요성 및 교육내용과 방법. 윤리교육연구, 16, 229-244.
  13. 이정미, 김지은 (2010). 대학생 연구윤리교육 프레임워크: Kuhlthau의 ISP 모델에 기반. 여성연구논총, 25, 203-219.
  14. 정병기 (2008). 대학생 글쓰기의 부정행위와 윤리 교육 방안. 사고와표현, 1(1), 267-294.
  15. 정현철, 류춘렬, 채유정 (2012). 과학고 및 영재고 Research and Education (R&E) 운영실태 분석 및 활성화방안 제안: R&E 운영담당자 면담사례를 중심으로. 영재교육연구, 22(2), 243-264. https://doi.org/10.9722/JGTE.2012.22.2.243
  16. 최문기 (2006). 과학기술윤리의 현항과 연구윤리 과제. 국민윤리연구, 63, 55-78.
  17. 최호성 (2009). 대학 과학영재교육원의 운영 사업 비교와 발전 과제. 과학영재교육, 1(2), 1-16.
  18. 한국윤리학회 (2008). 과학기술과 윤리. 서울: 형설출판사.
  19. 허혜경 (2004). 중고등학교 학업부정행위 해결책으로서 명예규율의 가상적 도입에 관한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22(3), 109-131.
  20. Bacha, N. N., Bahous, R., & Nabhani, M. (2012). High schoolers' views on academic integrity. Research Papers in Education, 27(3), 365-381. https://doi.org/10.1080/02671522.2010.550010
  21. D'Angelo-Long, M. (2004). Teach your children well: The high school research experience. In V. Bowman (Ed.), The Plagiarism plague: A resource guide and CD-ROM tutorial for educators and librarians (pp. 71-78). NY: Neal Schuman.
  22. Davis, S. F., Grover, C. A., Becker, A. H., & McGregor, L. N. (1992). Academic Dishonesty: Prevalence, determinants, techniques, and punishments. Teaching of Psychology, 19(1), 16-20. https://doi.org/10.1207/s15328023top1901_3
  23. Jensen, L. A., Arnett, J. J., Feldman, S. S., & Cauffman, E. (2002). It's wrong, but everybody does it: Academic dishonesty among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27(2), 209-228. https://doi.org/10.1006/ceps.2001.1088
  24. Martilla, J. A., & James, J. C. (1977).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Journal of Marketing, 41(1), 77-79. https://doi.org/10.2307/12504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