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fluence of Clinical Nurses' Emotional Labor on Happiness in Workplace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이 직장에서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고정옥 (원광보건대학교 간호학과)
  • Received : 2013.01.29
  • Accepted : 2013.03.20
  • Published : 2013.04.28

Abstract

This study is design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emotional labor on the happiness in workplace related with the atmosphere at their working place in the clinical nurses.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aires from 312 clinical nurses who work in the general hospital in the city "J". In results, emotional labor was relate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happiness in workplace. Individual differences explained 7.7% of the happiness in workplace and emotional labor explained additional 8.9% of the happiness with control of the individual differences of hierachycal regression, so that the explanatory power of this study was 16.6% (F=6.150, p<.001). According to these data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employers recognition on the emotional labor of the nurses and to develop the programs which assist and manage the emotional labor of the clinical nurses, in terms of the human network in their working place.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이 직장에서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도된 서술조사 연구이다. 자료수집은 J시 소재의 일개 상급종합병원 간호사 312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자기보고식 설문지로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간호사의 감정노동은 직장에서의 행복감과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개인적 특성에 따른 직장에서의 행복감은 7.7% 설명하였으며, 개인적 특성을 통제한 후 감정노동을 투입한 위계적 회귀분석에서는 8.9%를 추가 설명하여 총 16.6%의 설명력을 보였다(F=6.150, p<.001). 이에 따라 병원 경영조직은 간호사의 감정 노동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변화시키고, 감정노동과 관련된 직장에서의 행복감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인적 관리 측면의 감성 프로그램 적용이 필요하다고 본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인순,"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소진,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의 역할", 간호행정학회지, 제14권, 제4호, pp.515-526, 2009.
  2. 신혜숙,"카지노종사원의 감정노동이 소진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 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7호, pp.416-417,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7.415
  3. 정명숙, 김광점,"감정노동과 상사의 감성지능이 간호사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병원경영학회지, 제11권, 제4호, pp.1-18, 2006.
  4. A. R. Hochschild, "The Managed Heart: Commercialization of human feeling," Berkeley and Los Angeles,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3.
  5. J. A. Morris and D. C. Feldman, "The dimension,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Academy Manage Review, Vol.21, pp.986-1010, 1996.
  6. 안주영, 전의숙, 김현,"감정노동이 직무만족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 감성지능과 지각된 조직지원 및 고용형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관광학회발표논문집, pp.3-19, 2007.
  7. E. Diener,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Vol.95, pp.542-575, 1984. https://doi.org/10.1037/0033-2909.95.3.542
  8. E. P. Seligman and M. Csikszentmihalyi, "The positive psychology," Journal of American Psychologist, No.1, Vol.55, pp.5-14, 2000. https://doi.org/10.1037/0003-066X.55.1.5
  9. E. A. Lock, "The nature and cause of job satisfaction,"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chicago : ranamcnally, 1976.
  10. C. Brotheridge and A. Grandey, "Emotional labor and burnout: Comparing two perspectives of people work,"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60, pp.17-39, 2002. https://doi.org/10.1006/jvbe.2001.1815
  11. 박상언,"감정표현요구와 감정부조화, 그리고 심리적 반응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인사관리 연구, 제32권, 제1호, pp.25-53, 2008.
  12. 유정희,"방송인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과 소진에 미치는 영향", 심리행동 연구, 제2권, 제1호, pp.97-114, 2010.
  13. 신정원, 직장여성의 일/가정 갈등과 정서지능 감정노동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14. 김민주, "호텔종업원의 감정노동이 직무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학연구, 제21호, 제2권, pp.129-141, 1998.
  15. C. M. Youssef and F. Luthans, "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 in the Workplace: The Impact of Hope. Optimism. and Resilience," Journal of Management, Vol.33, No.5, pp.774-800, 2007. https://doi.org/10.1177/0149206307305562
  16. M. W. Fordyce, "A review of research on the happiness mearsures: A sixty second index of happiness and mental health," Social Indicators Research, Vol.20, pp.355-381, 1988. https://doi.org/10.1007/BF00302333
  17. 최용득, 조직맥락에서의 긍정심리역량의 선행요인과 결과에 대한 연구,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18. 위선미, 이여진,"감정노동의 하부요인이 병원간호사의 직무만족, 이직의도 및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제18권, 제3호, pp.310-319, 2012.
  19. 변대식, 염영희,"임상간호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간호행정학회지, 제15권, 제3호, pp.444-454, 2009.
  20. 양아기,"간호사의 소진과 감정노동 및 자기효능 감에 대한 연구", 간호행정학회지, 제17권, 제4호, pp.423-463, 2011.
  21. 한주희, 서비스 직원의 감정노동과 소진에 관한 연구, 부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22. 임지영, 감정노동을 중심으로 한 노인주간, 단기 보호시설 종사자들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 변수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23. M. E. P. Seligman, (김인자 역), 긍정심리학 : 진정한 행복 만들기, 서울 물푸레, 2006.
  24. http://www.jobkorea.co.kr/
  25. http://www.bizmall.or.kr/pusanbiz/main.j
  26. 신미경, 강현임,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가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 간호행정학회지, 제17권, 제2호, pp.158-167, 2011. https://doi.org/10.11111/jkana.2011.17.2.158
  27. 현수인, 간호사가 인지하는 감정노동과 소진 및 감성역량에 따른 고객지향성,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28. J. Van. Rijn, "Happiness & Religion: A Denominational Perspective.,"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Socio-logical Association, Boston, MA, Jul 31. Online, pp.1-22, 2008.
  29. 김영진, 송현경, 이미애,"간호사가 지각하는 전문직 자아개념, 수간호사의 리더십과 간호사 업무 수행 능력간의 관계", 간호행정학회지, 제17권, 제 1호, pp.96-105, 2011.
  30. 김원경, 정경희,"중소병원 간호사의 전문직 장아개념과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과의 관계", 간호행정학회지, 제14권, 제3호, pp.287-296, 2008.

Cited by

  1. Effects of Emotional Labor,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on Self-efficacy in Clinical Nurses vol.15, pp.4, 2014, https://doi.org/10.5762/KAIS.2014.15.4.2225
  2. Influence of Emotional Labor,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Self-efficacy on Happiness Index among National Psychiatric Hospital Nurses in Korea vol.26, pp.1, 2017, https://doi.org/10.12934/jkpmhn.2017.26.1.46
  3. A Phenomenological Study on Happiness Experienced by Career Nurses vol.20, pp.5, 2014, https://doi.org/10.11111/jkana.2014.20.5.492
  4. Effects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type, job satisfaction, and job stress on nurses’ happiness: A cross-sectional study of the long-term care hospitals of South Korea pp.17427932, 2019, https://doi.org/10.1111/jjns.122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