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ypological approach to Materials of TV Documentary Produced by Independent Production : Focused on KBS 1TV

독립제작사 제작 방송 다큐멘터리 소재의 유형화 : KBS 1TV <수요기획>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3.01.30
  • Accepted : 2013.04.02
  • Published : 2013.04.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and the access rights of audience by diversifying and specializing types of material of TV documentary produced by independent production. To achieve this, we classified according to materials of . This research suggested that almost the whole independent production produced this documentary in the way of complete posting system, especially small production. Also as the result, to analysis nine types of materials, types of current affairs and human sources have the most to produce occupied 51.9% and independent production have maximized profits through a series of works. The research value of this study is that this study analyzed the types of material selection of TV documentary produced by independent production systematically.

본 연구는 디지털 방송 환경 하에서 독립제작사 제작 방송 다큐멘터리의 소재 유형을 다양화하고 전문화 함으로써 시청자의 시청 권리를 확대하는데 연구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독립제작사 제작 방송 다큐멘터리인 <수요기획>(KBS 1TV)의 지난 10년 간 방송분을 분석대상으로 방송 소재를 유형화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완전 공모제 방식의 외주제작 방송 다큐멘터리인 <수요기획>의 제작에 국내 대부분의 독립제작사들이 참여했고, 제작규모 면에서 영세한 독립제작사들이 완전 공모제 방식을 적극 활용해 제작해 온 것으로 나타났다. 방송 소재 유형을 9가지로 분류해 분석한 결과, 시사 소재 유형이 33.4%, 휴먼 소재 유형이 18.5%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독립제작사의 수익 극대화를 위해 연작 형식이 채택되기도 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방송 다큐멘터리의 소재 유형화 과정을 분석한 본 연구는 독립제작사의 방송 다큐멘터리 소재 선정의 유형을 체계적으로 분석했다는데 연구의의를 찾을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관규, 정길용, "지상파방송사 외주정책 성과 평가: 독립제작사 육성과 프로그램 편성 평가를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제9권, 제4호, pp.5-37, 2009.
  2. 문성철, "외주제작 정책 20년의 성과 평가: 프로그램 제작 시장의 변동을 중심으로,"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제12권, 제3호, pp.155-206, 2011.
  3.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law.go.kr /lsInfoP.do?lsiSeq=121958&efYd=20120418#0000
  4. 박소라, 양현모, "외주정책이 제작시장과 외주제작 공급 및 프로그램 다양성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20권, 제1호, pp.50-95, 2006.
  5. G. Doyle and R. Paterson, "Public Policy and Independent Production in the UK," Journal of Media Business Studies, Vol.5, No.3, pp.17-33, 2008. https://doi.org/10.1080/16522354.2008.11073473
  6. 권장원, "방송정책과 방송사 조직 내부 관행간의 상호작용 연구: 외주 정책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통권 38호, pp.245-275, 2007.
  7. J. Grierson, Grierson on Documentary, F. Hardy(eds.), Berkel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66.
  8. J. C. Ellis, The documentary idea: A Critical History of English-language Documentary Film and Video, Englewood, Cliffs, New Jersey: Prentice Hall, pp.3-4, 1989.
  9. 강승묵, "지역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포맷과 서사 구조에 관한 연구: 지역 방송 역사 다큐멘터리의 역사성과 지역성의 재현 방식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21권, 제2호, pp.9-45, 2007.
  10. J. Fiske, Television Culture, London and New York: Methuen, pp.111-112, 1987.
  11. 김미라, "다큐멘터리 소재와 시장 성과 간의 관계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21권, 제5호, pp.7-37, 2007.
  12. C. Hoskins and R. Mirus, "Reasons for the US Dominance of the International Trade in Television Programs," Media, Culture and Society, Vol.10, pp.499-515, 1988. https://doi.org/10.1177/016344388010004006
  13. M. Rabiger, Directing the Documentary, New York: Focal Press, 1998.
  14. 김희경, "TV 다큐멘터리의 상업성과 공익성의 절충 모델로서의 장르 확장에 관한 연구: KBS 1TV 그곳에 가고 싶다의 프로그램 분석을 중심으로",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제5권, 제1호, pp.149-190, 2004.
  15. 조성동, 김규찬, 강남준, "다매체 수용자의 장르 선호와 장르 이용에 따른 정치사회적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4권, 제1호, pp.362-386, 2010.
  16. S. Yoon, Program Type Preference and Program Choice in a Multichannel Situatio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Electronic Media, Vol.38, No.4, pp.465-476, 1994. https://doi.org/10.1080/08838159409364279
  17. S. Neale, Genre, London: British Film Institute, p.19, 1980.
  18. J. Fiske, Television Culture, London and New York: Methuen, 1987.
  19. S. Neale, "Question of Genre," Screen, Vol.31, No.1, pp.45-66, 1990. https://doi.org/10.1093/screen/31.1.45
  20. 황인성, "'트렌디 드라마'의 서사구조적 특성과 텍스트의 즐거움에 관한 이론적 고찰", 한국언론학보, 제43권, 제5호, pp.221-248, 1999.
  21. 주창윤, "텔레비전 프로그램 장르분류 기준에 관한 연구," 방송연구, 겨울호, pp.105-136, 2004.
  22. 김희경, "TV 다큐멘터리의 상업성과 공익성의 절충 모델로서의 장르 확장에 관한 연구: KBS 1TV 그곳에 가고 싶다의 프로그램 분석을 중심으로",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제5권, 제1호, p.160, 2004.
  23. T. Schatz, Hollywood Genres: Formulas, Filmmaking, and the Studio System, 1981, 한창호, 허문영 공역, 할리우드 장르의 구조, 한나래, 1995.
  24. 배진아, "방송 시장의 포맷 거래에 관한 연구",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제9권, 제2호, pp.6-36, 2008.
  25. 주창윤, "텔레비전 프로그램 장르분류 기준에 관한 연구," 방송연구, 겨울호, p.106, 2004.
  26. B. M. Owen and S. S. Wildman, Video Economics.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1992.
  27. 김미라, "다큐멘터리 소재와 시장 성과간의 관계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21권, 제5호, p.10, 2007.
  28. 정윤경, 전경란, "프로그램 포맷의 절합과 변형:해외 오락 포맷의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24권, 제1호, pp.197-232, 2010.
  29. V. Wallace, "Formats: A Global Perspective around the World in Many Ways," Paper Presented at the Broadcast WorldWide 2008 Conference, Seoul, Korea, 2008.
  30. 박주연, 배진아, "텔레비전 콘텐츠 포맷 산업 및 유통에 관한 포맷 관련 전문가 인식", 한국언론학보, 제54권, 제3호, pp.124-145, 2010.
  31. 박주연, 배진아, "텔레비전 콘텐츠 포맷 산업 및유통에 관한 포맷 관련 전문가 인식", 한국언론학보, 제54권, 제3호, p.133, 2010.
  32. 채정화, 이영주, "방송 프로그램의 포맷에 대한 저작권 보호 및 실질적 유사성의 판단 기준에 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제10권, 제1호, pp.288-321, 2010.
  33. 배진아, "방송 시장의 포맷 거래에 관한 연구",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제9권, 제2호, pp.10-11, 2008.
  34. 배진아, 박주연, "TV 포맷의 유형화 탐색,"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제11권, 제1호, pp.121-153, 2010.
  35. 정윤경, 전경란, "프로그램 포맷의 절합과 변형: 해외 오락 포맷의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24권, 제1호, p.205, 2010.
  36. C. Tsai, "A Typology of the Use of Educational Media, with Implications of Internet-Based Instruction," Educational Media International, Vol.37, No.3, p.157, 2000. https://doi.org/10.1080/09523980050184718
  37. 배진아, 박주연, "TV 포맷의 유형화 탐색,"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제11권, 제1호, p.132, 2010.
  38. S. J. Schmidt, Kognitive Autonomie und Soziale Orientierung, 박여성 역, 미디어 인식론: 인지-텍스트-커뮤니케이션, 까치, 1994.
  39. 배진아, 박주연, "TV 포맷의 유형화 탐색,"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제11권, 제1호, pp.136-141, 2010.
  40. 최영묵, 주창윤, 텔레비전 화면깨기, 한울아카데미, 2003.
  41. 주창윤, "텔레비전 프로그램 장르분류 기준에 관한 연구," 방송연구, 겨울호, p.121, 2004.
  42. 최양묵, 텔레비전 다큐멘터리 제작론, 한울, 2003.
  43. 김미라, "다큐멘터리 소재와 시장 성과 간의 관계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21권, 제5호, p.19, 2007.
  44. http://edu.kocca.or.kr/servlet/controller.in formation.SpecialCourseHomePageServlet
  45. ITC, Programme Supply Review, 1991, 주창윤, "텔레비전 프로그램 장르분류 기준에 관한 연구," 방송연구, 겨울호,, p.113, 2004, 재인용.
  46. http://www.newsis.com/ar_detail/ view.html? cID=&ar_id= NISX20101225_0007030800
  47. http://www.kbs.co.kr/ 1tv/sisa/wednesday/ about/ Index.html
  48. 주창윤, "텔레비전 프로그램 장르분류 기준에 관한 연구," 방송연구, 겨울호, p.109,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