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보건계열과 비보건계열 학생의 신체이형장애와 자가우울에 대한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Body Dysmorphic Disorder and Depressive Disorder between Health and Non-Health related Majors

  • 투고 : 2012.12.27
  • 심사 : 2013.02.13
  • 발행 : 2013.03.28

초록

신체이형장애는 정상적인 용모를 가진 사람이 용모에 대해 상상으로 변형이나 결손 등의 문제가 있다는 생각 또는 사소한 결손을 과장되게 변형된 것으로 보는 생각 등에 집착해 있는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을 보건계열 학생과 비보건계열 학생을 대상으로 신체 이형장애와 우울증에 대한 조사를 통해 이 두 군을 비교하고 우울과의 관련성에 대해서도 알아 보고자 하였다. 본연구의 대상자는 강원도에 소재한 K대학교 4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중 200명 비보건계열, 200명은 보건계열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을 총 319부를 자료분석에 사용하였다. 그 결과보건계열 학생과 비보건계열 학생들은 신체변형장애의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신체변형장애 성향에 다양한 요인들이 있겠지만 특히 보건계열 비보건계열 모두 신체 변형 장애가 심할수록 자가우울이 높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신체변형 장애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며 특히 보건계열학생들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신체 변형 장애와 자가 우울에 대한 임상적으로 구체적인 연구가 더 이루어 져야 한다고 생각된다.

A body dysmorphic disorder refers to a state that individuals whose external appearance is normal consider their appearance to be meta-morphosed, or think there's something wrong with it, or view a trifle deficiency as severely disfigu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body dysmorphic disorder and depression of health-related and health-unrelated majors in an effort to compare the two groups. And it's also meant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dysmorphic disorder and depress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00 students at K college located in Gangwon Province. Out of them, the major of the 200 students belonged to the health science track, and that of the 200 students didn't. After a self-administered survey was conducted, the answer sheets from 319 respondents were analyzed. As a result, there appeared no differences between the health-related majors and the health-unrelated majors in body dysmorphic disorder. Although there might be various factors to concern body dysmorphic disorder, both groups found themselves to suffer from more depression when they had a severer body dysmorphic disorder, and their body dysmorphic disorder exer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self-rated depression. Therefore the careful management of body dysmorphic disorder was required, and it's especially needed to make research in that of health-related majors. At the same time, more detailed clinical research efforts should be directed into body dysmorphic disorder and self-rated depression.

키워드

참고문헌

  1. 심유라, 여대생의 신체만족도와 외모관리행동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2. 김진희, 자아존중감, 신체만족도, 우울이 의류제품의 중독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0.
  3. 이경숙, 성인여성의 외모관심도에 따른 추구 이미 지와 외모관리행동, 서경대학교 미술 예술대학원, 2007.
  4. 김명희, 부정적정서와 외부압력 및 자기의식이 여대생의 신체변형장애 성향에 미치는 영향, 대구 카톨릭대학교 대학원, 2009.
  5. J. S. Benjamin and A. S. Virginia, Synopsis of psychiatry 9th,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7.
  6. 이혜진, 최은영, 도진아, 임명호, 백기청, 이경규, 김현우, "한국판 신체 이형장애 자가 평가척도의 표준화 연구: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대한불안의 학학회지, 제5권, 제2호, pp.112-119, 2009.
  7. 윤정진, 김형재, "영유아교사의 뇌 선호유형과 창의적 인성간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호, pp.305-316, 2010.
  8. 김지욱, 간호학과 학생의 신체변형장애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대학원, 2007.
  9. J. C. Rosen and J. Reiter, "Development of the Body Dysmorphoc Disorder Examination," Behavioral Research and Therapy, Vol.34, No.9, pp.755-766, 1996. https://doi.org/10.1016/0005-7967(96)00024-1
  10. American Psychiat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 4th,"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11. A. T. Beck, C. H. Ward, M. Mendelsohn, J. Mock, and J. Erbaugh, "An inventory for Measuring depression,"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Vol.4, pp.561-571, 1961. https://doi.org/10.1001/archpsyc.1961.01710120031004
  12. 이영호, 송종용, "BDI,SDS, MMPI-D 척도의 신회도 및 타당도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10권, 제1호, pp.98-113, 1991.
  13. 김지욱, 간호학과 학생의 신체변형장애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14. G. Perugi, H. S. Akiskal, D. Giannotti, F. F. rare, S. D. Vaio, and G. B Cassano, "Genderrelated differences inbody dysmorphic disorder (dysmorphophobia)," Journal of Nervousand Mental Disease1, Vol.185, No.9, pp.578-582, 1997. https://doi.org/10.1097/00005053-199709000-00007
  15. 김인숙, 백영주, "일 지역 여대생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 한국모자보건학회지, 제6권, 제2호, pp.245-256, 2002.
  16. 김명희, 부정적 정서와 외부압력 및 자기의식이 여대생의 신체변형장애 성행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