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부산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References
- 강문희, 수학 학습에 있어서 쓰기 활동이 수학 학습태도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초등학교 5학년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1998.
- 교육과학기술부,"초.중등학교 교육과정,"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2-3호, 2012.
-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2-1 수학 지도서, 교육과학기술부, 2009.
- 교육부,"수학과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1997-15호, 1997.
- 교육인적자원부,"초.중등학교 교육과정,"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79호, 2007.
- 금곡초등학교, 수학학습장과 교구활용을 통한 수학적 사고력 기르기, 재미있는 교과 연구회 성과 보고서, 2008.
- 김선희, 의사소통 지도가 수학 학습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1998.
- 김수환, 초・중등 학생들의 수학적 문화 형성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 개발 연구,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1996.
- 김용익, 수학교육에서의 쓰기의 활용 방안, 학교수학 제1권 (1999), 제2호, pp. 589-603.
- 김원경, 송순자, 마인드 맵 노트활용이 수학개념구조 형성과 수학적 창의력에 미치는 효과분석, 학교수학 제6권 (2004), 제4호, pp. 325-344.
- 남유라, 쓰기를 활용한 수학과 교수.학습 방법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6학년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공주교육대학교, 2004.
- 문정숙, 수학쓰기 활용을 통한 수학적 힘 기르기 방안, 석사학위논문, 대구교육대학교, 2000.
- 부산광역시 교육청, 수학공책 따라잡기, 부산광역시 교육청, 2010.
- 송은하, 학습노트를 활용한 수학 쓰기 활동이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연구, 석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2004.
- 연동초등학교, 수학노트를 활용한 수학 사고력 기르기, 재미있는 교과 연구회 성과 보고서, 2009.
- Vygotsky, L.S., 사고와 언어(윤초희 역), 교육과학사, 2011. Thought and Language, The MIT Press, 1986.
- 이종희, 김선희, 수학적 의사소통, 교우사, 2003.
- 정은경, 초등학교 수학 교실에서 수학 쓰기 활동의 지도 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인천교육대학교, 2001.
-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NCTM, 1989.
-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NCTM,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