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After city of Busan has been entered to the aging society in 2000, the city has the highest aging rate among 7 representative cities in 2011. Moreover, while entire population and number of average household are decreasing, over 65 years old of elderly population is rapidly increasing. So, it is possible to enter the super-aged society, where aging rate would be about 20% after 202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older housing-related analysis is consisted of dong-unit, and this led microscopic analysis has become necessary. Surveys from 2000 through 2010, census aggregate (output area) unit of spatial analysis was conducted. Take advantages of this, aging population and area, soaring area, high-density areas, such as the region of interest were primary extracted, and microscopic location and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were analyzed. Upon analysis, aging population is concentrated in the city and adjacent area, the highlands, and 10 years of increasing rate was more than 30 times in certain aggregate. Regarding the characteristic of these areas, the original city center, Busan, especially concentrated and intensified in aging population. Also, 2000 to 2010, the overall distribution pattern of Busan has identified aging population that is increasingly being distributed. This is the result, which is confronted with previous research result. Entering a super aged-society for the future is accordance with migration of social costs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elderly. And this could be the basic information to use the spatial dimension for the corresponding.
부산광역시는 2000년 고령화사회에 진입한 이후, 2011년 기준 고령화율이 7대 도시중 가장 높은 11.8%에 이르고 있다. 또한 전체인구 및 평균세대원수가 감소하는 가운데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어 2020년 이후 고령화율이 20%를 상회하는 초고령사회로의 진입이 예상된다. 이에 본 연구는 그 동안의 고령층의 주거 관련분석이 동단위로 이루어져 보다 미시적인 분석의 필요성 증가에 따라 2000년부터 2010년 사이에 조사된 센서스 집계 구단위의 공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활용하여 고령인구의 밀집지역, 급증지역, 고밀지역등과 같은 관심지역을 1차 추출하여 미시적인 위치와 공간상의 분포 패턴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고령인구는 도심과 그 인접지역인 고지대에 밀집해 있었으며, 특정 집계구의 경우 10년간 증가속도가 30배 이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지역의 국지적 수준의 분포 특성을 살펴보면, 부산시 원도심에 고령인구의 편중이 심화되고 있고, 2000년부터 2010년까지 부산의 전반적 분포 패턴에서는 고령인구가 점점 분산되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 이는 이전의 관련연구 결과와 대치되는 결과로 향후 초고령사회 진입에 따른 사회적 비용의 경감과 고령층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한 공간적 차원의 대응을 위한 기초자료로의 활용이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