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 도서반 학생들의 활동에 관한 연구 : - S고등학교와 K고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Study on Activity of Student Assistants in a High School Library : focusing on case study of S High School and K High School

  • 조미아 (경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투고 : 2013.02.20
  • 심사 : 2013.03.26
  • 발행 : 2013.03.30

초록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에서 고등학교 도서반 활동과 도서반 활동의 서비스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사립인 S고등학교와 공립인 K고등학교 도서관을 방문하여 도서반의 신입회원 선발, 도서반 조직 운영, 활동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면담법으로 조사하였다. 또한 4개 고등학교 도서반 학생 77명을 대상으로 학교도서관에서의 봉사활동과 만족도를 조사하기 위한 설문지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학교도서관을 이용하는 일반 학생 386명을 대상으로 도서반 학생들이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인식에 관해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도서반 학생들의 학교도서관 봉사활동에 대한 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 학생들의 도서반 학생들이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how the activity and the effect of the service of school library assistance is done. To this end, a library in S high school was visited,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regard to the student assistants to find out how the selection of new members, operating organization and activities are done. Also, a surve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service activity and satisfaction level with regard to 77 student assistants in libraries of four high schools. In addition, a surve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service provided by the student assistants in the school library with regard to 386 general students.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student assistants in the school library was high, and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service provided by the student assistants in the school library was positive.

키워드

참고문헌

  1. 곽미선. 도서반 활동이 학교도서관의 이용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사서교육전공, 2007.(Kwak, Mi Seon. The effects of library student volunteers on the utilization and satisfaction of school libraries. M.A.thesis, Major in Librarian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2007.)
  2. 문화체육관광부. 독서진흥에 관한 연차보고서. 서울 : 문화체육관광부, 2012.(Ministry of Culture, Sports, Tourism, Annual report on the Promotion of Reading. Seoul : Ministry of Culture, Sports, Tourism, 2012.)
  3. 송기호. 학교도서관 운영의 실제. 서울 : 한국도서관협회, 2012.(Song, Gi-Ho. School Library Management. Seoul : Korea Library Association, 2012.)
  4. 아시아경제 홈페이지. [cited 2013. 3. 6].(Asia Economy Home page. [cited 2013. 3. 6].)
  5. 윤명자. 학교도서관의 학부모 자원봉사자 활동에 관한 분석적 연구 : 대구광역시 초등학교 도서관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사서교육전공, 2008.(Youn, Myung-Ja. Analytic Study on Volunteer Works of Parents in School Library : Focusing on Elementary School Libraries in Daegu. M.A.thesis, Department of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eimyung University, 2008.)
  6. 장유미. 사서 미배치 학교도서관의 학부모 자원봉사활동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도서관교육학과, 2010.(Jang, Yu Mi. A study on volunteer works of parents in school libraries without librarians : focusing on elementary school libraries in Miryang. M.A.thesis, Department of Major in Library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eimyung University, 2010.)
  7. 정혜선. 효율적인 학교도서관 운영을 위한 학부모 명예사서의 활동에 관한 연구 -파주지역 초.중학교도서관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사서교육전공, 2008.(Jung, Hea Sun. A Study on Parents' Activity as Honorary Librarians for the Efficient Operation of School Library - Focusing o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in Paju Area. M.A.thesis, Major in Library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Daejin University, 2008.)
  8. Bard, Therese Bissen. Student Assistants in the School Library Media Center. Englewood : LIBRARIES UNLIMITED, INC., 1999.
  9. IFLA/유네스코 학교도서관 선언. [cited 2013. 3. 5].(IFLA/UNESCO School Library Manifesto. [cited 2013. 3. 5].)
  10. ThunderRidge High School Library Student Assistants Guidelines. [cited 2013. 3.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