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Inquiry Activity through Growing Lettuce on Science Inquiry Skills for Five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상추 기르기를 통한 탐구활동이 초등학교 5학년의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 Jeong, Sun Ji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RDA) ;
  • Moon, Ji Hye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RDA) ;
  • Lee, Sang Mi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RDA) ;
  • Jo, Hye Ji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RDA)
  • 정순진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연구팀) ;
  • 문지혜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연구팀) ;
  • 이상미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연구팀) ;
  • 조혜진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연구팀)
  • Received : 2013.11.12
  • Accepted : 2013.12.05
  • Published : 2013.12.30

Abstract

This study has a purpose to research the effects of 'growing lettuce program for science inquiry skills' on science inquiry skills' on science inquiry skills for five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 The program which applied in this research was integrated by plants that could be grown easily for teachers and students and inquiry factors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To achieve the purpose, the 'Growing lettuce program for science inquiry skills' was provided for total 10 times, eighty minutes every week, through the discretionary activity time from April 5 to June 14 2013. The experimental group was fifth grade one class of H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uwon, and control group was fifth grade other class in the same school. We investigated scientific inquiry competence before and after the survey of two groups all. The total scores for scientific inquiry competence for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before and after running the 'Growing lettuce program for science inquiry skills'. However,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improvement in six inquiry factors of observation, classification, inference, expectation, data interpretation, and hypothesis establishment than the control group.

본 연구는 초등학교 현장에서 교사와 학생이 쉽게 식물을 기를 수 있고,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의 탐구기능을 연계하여 개발한 '상추 기르기-탐구 활동'이 초등학교 5학년생의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대상자는 수원에 있는 H 초등학교 5학년 실험군 24명과 대조군 24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사전에 과학탐구능력 검사를 실시한 후, 실험군은 2013년 4월 5일부터 6월 14일까지 10주간 상추 기르기-탐구 활동에 참여하였고 대조군은 참여하지 않은 채, 사후에 과학탐구능력 검사를 한 번 더 실시하였다. 상추 기르기-탐구활동 프로그램에 의한 과학탐구능력은 실험군과 대조군의 집단 간 비교 결과 유의한 차이가 나지 않았고,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 사후 과 학탐구능력은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사전보다 사후에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다. 특히 실험군은 하위영역 중에서 관찰, 분류, 추리, 예상, 자료 해석, 가설 설정의 여섯 가지 영역에서 대조군보다 사후 평균값이 더 많이 향상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2008).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 교육인적자원부. (2007). 교육인적자원부고시 제 2007-79호 차기 과학과 교육과정.
  3. 권재술, & 김범기. (1994). 초.중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 측정도구의 개발. 과학교육논문집, 4(1), 301-314.
  4. 김용님. (2004). 생태학적 접근의 과학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김주훈, & 이미경. (2003). 과학과 교육목표 및 내용 체계 연구(I).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3-4.
  6. 김주훈. (2005). 과학과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 한국교원대학교부설 교과교육 공동연구소. 차시 초.중등 교육과정의 개선과 교과용 도서의 개발 방향, 교과교육공동연구 학술 세미나 자료, 교과서연구, 1(48), 356-391.
  7. 김진주. (2010). 채소 기르기 활동이 만 4세 유아의 과학 관련태도 및 과학적 탐구 능력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문지혜, 이상미, 정순진, 곽혜란, & 송윤진. (2012). 상자텃밭 활용 원예활동이 초등학생들의 과학흥미도, 사회성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 15(6), 421-428.
  9. 박언휘. (2004). 산책을 통한 자연탐구활동의 세계.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배진호, 김진수, & 윤봉희. (2005). 식물을 활용한 탐구활동이 초등학생의 과학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 및 관찰능력에 미치는 영향. 과학교육연구, 30, 37-68.
  11. 변선미, & 김현주. (2011). 자유 탐구 활동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 및 자유 탐구 활동이 중학생들의 과학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2), 210-224.
  12. 이미옥. (2002). 자유탐구활동이 초등학생의 과학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이승택, 김진국, 정재구, & 정진우. (2005). 과학계발활동 프로그램 적용이 과학성적 우수아의 과학 탐구 능력에 미치는 효과. 초등과학교육, 24(1), 77-85.
  14. 이양락. (2004). 교육과정 개발 체계 및 총론과 과학과 교육과정의 연계성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3), 468-480.
  15. 이윤옥. (2001). 생태 그림책 이야기에 기초한 협동적 자연탐구활동이 만 5세 다중지능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5(1), 395-416.
  16. 이정화. (2010). 자유 탐구가 초등학생의 과학적 태도와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과 자유 탐구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이주원. (2005). 식물을 활용한 탐구 활동이 초등학생의 탐구 능력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이형철, & 이정화. (2010). 연구논문: 자유탐구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적 태도 및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과 지도교사들의 자유탐구에 대한 인식 조사. 과학교육연구지, 34(2), 405-420.
  19. 임채성, 김분숙, & 김은진. (2005). 초등과학실험수업에서 탐구요구수준에 따른 학습의 효과: 인지적 영역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24(4), 321-328.
  20. 정순진, 이상미, 송윤진, 김정숙, 이재욱, 문지혜, 곽혜란, & 이은영. (2011). 초등원예 - 과학 통합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6학년의 과학능력,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 14(6), 337-346.
  21. 정순진, 정명일, 송윤진, 김정숙, 노재민, 이재욱, 문지혜, & 김완순. (2010). 방과후 특기 적성 교실의 원예 - 국어 통합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국어과 관련학습흥미도와 학업성취도 및 식물친숙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 13(5):1-7.
  22. 정완호, 권재술, 정진우, 김효남, 최병순, 허명. (1998). 과학과 수업모형. 파주: 교육과학사, 44-45.
  23. 천현미, & 김경숙. (2008). 텃밭 가꾸기 활동 후 과학일지 쓰기가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태도 증진에 미치는 효과. 아동교육, 17(1), 291-302.
  24. 하정연. (2003). 생태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계획 및 운영의 실제. 한국 생태 유아교육 학회. 생태 유아 교육 교사 연수 자료집, 20-54.
  25. 황의명, & 조형숙, (2005). 탐구 능력 증진을 위한 유아 과학 교육. 서울: 정민사.
  26. Cuevas, P., O. Lee, J., Hart, & R. Deaktor. (2005). Improving science inquiry with elementary students of diverse background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2, 337-357. https://doi.org/10.1002/tea.20053
  27. Hamilton, A. M., D. John, W.L. Klebanoff, & Sharp. (1990). Bridging eariy childhood and nature education. Proceeding of the Roger Tory Peterson Institute of Natural History Forum.
  28. Klahr, D., C. Zimmerman, & J. Jirout. (2011). Educational interventions to advancechildren's scientific thinking. Science. 333, 971-975. https://doi.org/10.1126/science.1204528
  29.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KICE). (2004). The results from PISA 2003.
  30. National Research Council. (2000). Inquiry and the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of Science Press.

Cited by

  1. '식물의 한살이' 단원에서 속성배추를 활용한 뇌기반 진화적 접근법이 초등학생의 흥미에 미치는 영향 vol.35, pp.3, 2013, https://doi.org/10.15267/keses.2016.35.3.336
  2. 학교 텃밭의 지속적인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 초등학교의 학교 텃밭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 vol.46, pp.4, 2013, https://doi.org/10.9715/kila.2018.46.4.0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