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강성숙, 한석실(2007). 균형적 언어 접근 프로그램이 유아의 문해 능력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연구, 27(4), 187-207.
- 김미숙(2009). 창의성 중심의 유아 동작교육. 서울: 교육아카데미.
- 김수진, 조복희(2005). 보육시설의 물리적 환경 및 교사의 창의적 역할수행과 유아 창의성간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 126-146.
- 김연주(2005). 유아의 일반적 창의성과 음악적 창의성과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 21-35.
- 김은심(1994). 통합적 동작교수방법이 유아의 기본동작능력과 창의적 사고 및 신체표현능력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은심 (2011). 유아교사를 위한 창의적 동작 교육. 서울: 파란마음.
- 김영채(1999). 창의적 문제 해결. 서울: 교육과학사.
- 김영채 (2010). Torrance 창의력 검사 TTCT(도형)-A형. 대구: 창의력 한국 FPSP.
- 배인자, 한규령(1996). 유아를 위한 동작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양서원.
- 백성희, 이혜은(2006). 동작요소중심의 유아 동작교육프로그램이 기본동작능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1(4), 37-59.
- 배현숙(1990). 유아중심 동작교육이 신체표현 발달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신인숙(2001). 유아 프로젝트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7(4), 23-37.
- 이경화(2006). 한국 4, 5세 유아의 창의성 능력, 창의적 성격, 영역 창의성의 발달적 특성 연구. 유아교육연구, 26(5), 191-207.
- 이만수 (2006). 생활주제와 통합한 유아 동작교육 프로그램 구성 및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영, 전인옥, 김온기(2004). 유아를 위한 창의적 동작교육(개정판). 서울: 교문사.
- 이정아(2013). 다문화가정 유아의 그림책 읽기 상호작용이 수용언어 및 표헌언어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 77, 101-122.
- 이지영(2010). 동작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신체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혜정(2005). 유아의 신체표현능력 및 창의성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희자, 김경의, 이효숙, 함은숙, 허은주, 안영경(2011). 영.유아를 위한 동작교육. 경기: 공동체.
- 전경원(1996). A multiple case studies on Korean creatively gifted kindergartener. Asia-Pacific Conference on Giftedness 제4차 학술대회 : 포스터발표 논문.
- 정진영(2012).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 내재 동기, 창의적 성향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조명진(2006). 동작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광주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조수경(1995). 신체활동 놀이가 유아의 창의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채민아(2003). 신체 놀이 활동을 이용한 유아의 창의성 증진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최정금(2004). 신체표현능력과 창의성 간의 관계 연구. 관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최진숙(1999). 동작활동이 유아의 자아개념 및 신체표현능력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한국유아교육학회(1996). 유아교육연구. 서울: 양서원.
- 홍용희, 이한영, 최혜로, 원영신(2009). 유아를 위한 동작 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다음세대.
- Gabbard, C. (1988). Early childhood physical education: The essential elements.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and Dance, 59(3), 65-69.
- Gallahue, D. L. (1993). Motor development and movement skill acquisi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B. Spodek (Ed.), Handbook of research on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pp. 24-76). NY: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 Goldman, D.(1992). The creative spirit. NY: Penguin Books.
- Guilford, P.(1967). The nature of human intelligence. NY: McGraw-Hill.
- Hennessery, B. A., & Amabile, T. M. (1988). The conditions of creativity. In R. J. Sternberg (Ed.), The nature of creativity (pp. 11-38).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 Laban, R. (1948). Modern educational dance. London: MacDonald & Evans.
- Laban, R. (1963). Modern educational dance (2nd ed.). London: MacDonald & Evans.
- Laban, R. (1975). Modern educational dance (3rd ed.). London: MacDonald & Evans.
- Starkweather, E. K. (1971). Creativity research instruments designed for use with preschool children.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5(4), 245-255. https://doi.org/10.1002/j.2162-6057.1971.tb00895.x
- Torrance, E. P. (1963). Adventuring in creativity. Childhood Education, 40(1), 79-87. https://doi.org/10.1080/00094056.1963.10727098
- Torrance, E. P. (1972). Can we teach children to think creatively?.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6, 114-143. https://doi.org/10.1002/j.2162-6057.1972.tb00923.x
피인용 문헌
- 유아의 운동 능력과 실행 기능의 관계 vol.11, pp.5, 2015, https://doi.org/10.14698/jkcce.2015.11.135
- Research Trends on the Application of Dance in Korea Integrated Art Education Program for Infants vol.33, pp.4, 2013, https://doi.org/10.21539/ksds.2016.33.4.17
- Early Childhood Interactive Edutainment Content Production Platform based on motion recognition vol.20, pp.12, 2013, https://doi.org/10.9728/dcs.2019.20.12.23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