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Teacher Efficacy and Level of Professionalism of Child-care Teachers on Interaction of Teachers and Children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전문성 수준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권미성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 ;
  • 문혁준 (가톨릭대학교 아동학전공)
  • Received : 2013.06.17
  • Accepted : 2013.08.16
  • Published : 2013.08.31

Abstract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eacher efficacy, and level of professionalism in the subject of interaction of teachers and children.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shows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eachers over thirty years-old tend to show a higher level of teacher efficacy, level of professionalism and interaction of teachers and children compare to teachers who are under thirty. In categories, such as teacher efficacy and level of professionalism, accreditation experience caused significant difference. The group of teachers who had more than two times of accreditation experience show higher teacher efficacy than the group of teachers that had no experience, and the previous groups' level of professionalism was higher than the rest. Second, teacher efficacy has positive correlation in level of professional- ism and interaction of teachers and children. Level of professionalism of childcare teachers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interaction of teachers and children. Third, when examining the relative effect of socio-demographic variables, teacher efficacy and level of professionalism on interaction of teachers and children, mature teachers have more influence on verbal interaction of teachers and children; the teachers who have longer career have more influence on behavioral interaction of teachers and children. By and large, teachers who are older and have higher teacher efficacy and level of professionalism gain more influence on overall interaction of teachers and children.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전문성 수준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그에 따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대 교사보다 30대 이상의 교사에게서 교사효능감, 전문성 수준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높게 나타났다. 교사의 평가인증경험에 따라서는 교사효능감과 전문성 수준이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교사효능감은 평가인증경험이 없는 집단보다 평가인증경험이 2회 이상인 집단이 높게 나타났고, 교사의 전문성 수준은 평가인증경험이 없는 집단과 1회인 집단보다 평가인증경험이 2회 이상인 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사효능감, 전문성 수준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간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교사효능감은 전문성 수준,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정적 상관이 나타났고, 교사의 전문성 수준은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사회인구학적 변인(교사의 연령, 경력, 평가인증경험), 교사효능감 및 전문성 수준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 본 결과, 교사의 연령이 높을수록 교사-유아 언어적 상호작용에, 교사의 경력이 높을수록 교사-유아 행동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의 연령과 교사효능감, 전문성 수준이 높을수록 교사-유아 상호작용 전체에 미치는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고문영(2001). 유아교사의 역할수행에 따른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조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고영미, 이금란(2004). 유치원 전문성 지원 환경과 교수 효능감과의 관계. 교육과학연구, 35(1), 21-37.
  3. 구선라(1999). 연령과 성별에 따른 교사-유아 관계와 유아행동 연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권혁진(1995). 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전문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5. 김대영(2001).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 만족도에 관한 연구. 천안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김미경(2006). 유치원교사의 사고양식 및 목표지향성이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15(2), 289-300.
  7. 김영아(1999).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수준에 대한 교사의 자기평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김영희, 박지현, 이은주(2008). 보육시설 평가인증이 보육교사의 보육활동 자료활용 및 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9(3), 387-397.
  9. 김옥렬(2000). 보육의 전문성을 위한 보육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김정연(1996). 대상과 성별에 따른 영아의 언어적, 비언어적 상호작용.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김정애(2000). 어린이집 교사의 교직태도와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김지은, 안선희(2009). 영아교사의 전문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4(2), 197-216
  13. 김향은(2008). 평가인증에 참여한 보육시설 종사자들의 경험을 통해 본 보육시설 평가인증제도의 효과. 아동학회지, 29(1), 169-188.
  14. 김혜성(1993). 유아의 연령에 따른 교사-유아의 언어적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김현지(2006).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과의 관계.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김희진, 이분려(1999). 유아 교사의 교사 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교사 내 외적 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16(1), 161-181.
  17. 민재철(2012). 유아체육교사의 행복감과 자아정체감이 교사효능감과 상호작용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8. 박선화(2012).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와 교사효능감에 관한 연구. 목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 박창현, 나정(2012). 유아교육기관, 교사 및 유아집단 특성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 수준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6), 99-125.
  20. 백은주, 조부경(2004).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발달 수준 자기 평가도구 개발. 유아교육연구, 24(4), 95-117.
  21. 서유현(2002). 유치원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2. 송송(2010).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3. 신은수(2000). 놀이에 대한 교사효능감이 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과 유아 놀이 발달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20(1), 27-42.
  24. 안상미(2002).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5. 안수연(2000).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나타난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유아-유아 상호작용.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6. 오미경(1998).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전문성과 보육프로그램의 질과의 관계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7. 오승민(2012). 유치원 교사의 교사효능감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8. 오유진(2008).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 효능감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9. 우연희(2007). 보육시설 평가인증 여부가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0. 유희정(2007). 보육시설 평가인증제도 운영평가와 과제. 육아지원 기관평가의 과제와 전망. 육아정책세미나자료집, 43-86.
  31. 이경돈(2010). 영아보육교사의 영아발달지식과 보육효능감이 전문성 발달수준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2. 이분려(1998). 유치원 조직풍토와 직무만족 및 교사 효능감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3. 이숙자, 공병호, 성영화(2011). 교사-유아의 상호작용과 보육교사변인간의 관계. 한국보육학회지, 11(1), 1-18.
  34. 이순영(2009).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 근무유형, 학력, 경력, 연령간의 관계.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3(1), 301-317.
  35. 이영희(2008).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전문성 발달과의 관계. 중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6. 이은수(2011). 보육시설 평가인증 참여에 따른 교사효능감과 전문성.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7. 이은정(2008). 유아교사의 구성주의 인식 및 실천에 따른 유아의 정서지능과 사회적 상호작용.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8. 이은해(1995). 어린이집 영아반 운영의 실제. 서울: 교육과학사.
  39. 이정미(2007). 발달에 적합한 실제에 대한보육교사의 신념과 교사-영아 상호작용과의 관계.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0. 이정숙(2003). 교사경력과 유아연령에 따른 교사-유아의 상호작용.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1. 이향(1996). 어린이집의 보육교사 전문성 인식과 영아반 프로그램 질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2. 이현정(2010). 유아교사의 효능감과 전문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3. 임용규(2000). 교사의 특성과 교수효능감이 교수행동에 미치는 영향.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4. 전미옥(2003). 특수교사의 발달단계와 교사효능감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5. 정명주(2003).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사립 유아교육기관의 질적 요인 간의 관계.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6. 정옥분, 김숙령, 권민균(2004). 영아보육의 실태 및 질적 특성 평가에 기초한 보육의 질 제고. 대한가정학회지, 42(6), 123-136.
  47. 조미환, 성은영(2012). 어린이집 평가인증 참여에 따른 평가인증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 한국보육학회지, 12(2), 101-119.
  48. 조부경, 백은주, 고영미(2005). 유치원 교사의 발달 수준과 관련된 교사 배경 변인에 관한 연구. 교육과학연구, 36(1), 281-297.
  49. 조은정(1997). 교사의 효능감과 교수행동 및 초등학교 학생의 학습참여와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0. 채혜선, 현정희(2008). 보육시설 평가인증 참여유무에 따른 보육교사의 자기 평가 전문성발달수준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52, 63-84.
  51. 최미숙(2005). 유아교사의 교수 효능감과 전문성 인식에 따른 교사행동 분석. 유아교육연구, 25(1), 195-215.
  52. 최미애(2000). 유치원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3. Ashton, P. T.(1984). Teacher's efficacy: A motivational paradigm for effective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5(5), 28-32.
  54. Bandura, A.(1999).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In R. F. Baumeister(Ed.), The self in social psychology: Key readings in social psychology, 285-298. Philadelphia: Psychology Press/Taylor & Francis.
  55. Chomsky, N.(1968). Language and mind. New York: Harcourt, Brace & World.
  56. Enochs, L., & Riggs, I.(1990). Toward the development of an elementary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Science Education, 74(6), 625-637. https://doi.org/10.1002/sce.3730740605
  57. Freeman, N. K., & Feeney, S.(2006). Viewpoint. The new face of early care and education: Who are we? Where are we going? Young Children, 61(5), 10-16.
  58. Gibson, S., & Dembo, M. H.(1984). Teacher efficacy: A construct validati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6(4), 569-582. https://doi.org/10.1037/0022-0663.76.4.569
  59. Grossman, P. L.(1994). Teacher knowledge. In T. Husen & T. N. Postlethwaite.(Eds.),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education(2nd ed.). London: Pergamon Press.
  60. Holloway, S. D., & Reichhart-Erickson, M.(1998). The relationship of day care quality to children's free play behavior and social problem-solving skill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3(1), 39-53.
  61. Howes, C.(1997). Teacher sensitivity, children's attachment and play with peers.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8(1), 41-49. https://doi.org/10.1207/s15566935eed0801_4
  62. Hoyle, E.(1995). Teachers as professionals. In L. W. Anderson(Ed.),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2nd ed.). New York: Pergamon.
  63. Kontos, S., & Wilcox-Herzog, A.(1997). Research in review: Teachers' interactions with children: Why are they so important? Young Children, 52(2), 4-12.
  64. McCarteny, K.(1984). Effect of quality of day care environment on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Developmental Psychology, 20(2), 244-260. https://doi.org/10.1037/0012-1649.20.2.244
  65. Saracho, O. N., & Spodek, B.(1993). Professionalism and the prepa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ractitioners.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89, 1-17. https://doi.org/10.1080/0300443930890101
  66. Woolfolk, A. E., Rosoff, B., & Hoy, W. K.(1990).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their beliefs about managing students. Teaching & Teacher Education, 61(2), 137-148.

Cited by

  1. The influence of Korean preschool teachers’ work environments and self-efficacy on children’s peer play interactions: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child interactions pp.1476-8275, 2017, https://doi.org/10.1080/03004430.2017.1411349
  2. 온라인 교육기관을 통한 보육교사 자격취득 동기와 진로의사결정수준 vol.10, pp.1, 2013, https://doi.org/10.14698/jkcce.2014.10.1.081
  3.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f child care centers, teacher efficacy,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eacher burnout vol.9, pp.4, 2014, https://doi.org/10.16978/ecec.2014.9.4.001
  4. 어린이집 조직특성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교사경력 5년을 기준으로 - vol.11, pp.1, 2013, https://doi.org/10.14698/jkcce.2015.11.1.173
  5.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teacher’s education level, perceived collective teacher efficacy, teacher’s self-efficac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vol.35, pp.6, 2013, https://doi.org/10.18023/kjece.2015.35.6.017
  6. A Mediating Effect of Self-directed Learning and Awareness of Professional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vol.33, pp.1, 2016, https://doi.org/10.24211/tjkte.2016.33.1.1
  7.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years in field, teacher resilience, teacher efficacy and teacher sensitivity of infant teachers vol.36, pp.3, 2013, https://doi.org/10.18023/kjece.2016.36.3.013
  8. 유치원교사의 정서지능과 교사: 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놀이교수효능감과 교직전문성 인식의 순차적 매개효과 vol.12, pp.3, 2013, https://doi.org/10.14698/jkcce.2016.12.03.137
  9. Examining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eacher Self-Efficacy, Teacher-Child Interactions, Teacher-Child Closeness for Children's Cognitive Ability vol.33, pp.2, 2013, https://doi.org/10.24211/tjkte.2016.33.2.467
  10. 원장역량, 기관 내 자원, 학부모의 기대 및 참여가 영아-교사관계에 미치는 영향: 영아교사의 코칭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vol.12, pp.5, 2013, https://doi.org/10.14698/jkcce.2016.12.05.071
  11. A study on the job stress and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ccording to the CCTV awareness of child care teachers vol.37, pp.1, 2013, https://doi.org/10.18023/kjece.2017.37.1.014
  12.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 수준 및 민감성 수준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차이 : 만 3~5세 담임교사를 중심으로 vol.17, pp.2, 2013, https://doi.org/10.21213/kjcec.2017.17.2.181
  13. The relationship among teacher efficacy,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peer play interaction: Mediation effect of child temperament vol.37, pp.4, 2013, https://doi.org/10.18023/kjece.2017.37.4.014
  14. Structural associations among the child care teachers’ perceptions of professionalism and needs for CCTV, their role performance, and the organizational health of child care centers vol.37, pp.6, 2013, https://doi.org/10.18023/kjece.2017.37.6.007
  15. The Effects of Child Care Teachers’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Happiness and Emotional Intelligence on Teacher-child Interactions vol.22, pp.6, 2013, https://doi.org/10.24231/rici.2018.22.6.414
  16. 유아교사의 전문성 발달수준이 문제행동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vol.39, pp.6, 2019, https://doi.org/10.18023/kjece.2019.39.6.011
  17. 영아교사의 경력 및 교사효능감과 민감성, 전문성 발달 간의 구조적 관계 연구 vol.16, pp.5, 2020, https://doi.org/10.14698/jkcce.2020.16.05.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