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백제금동대향로의 조형성분석에 관한 연구(중국 금상감박산향로와 비교분석)

A study on a plasticity analysis for the Gilt-bronze Incense Burner of Baekje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with Chinese Inlaid Gold Boshan Xianglu-

  • 투고 : 2013.07.10
  • 심사 : 2013.09.20
  • 발행 : 2013.09.28

초록

1993년 12월 23일 부여 능산리 고분군과 나성(羅城, 궁성을 감싸고 있는 성곽 사이 절터)에서 발견된 금동대향로(金銅大香爐)는 지금까지 상상조차 할 수 없던 찬란한 백제미술의 진수였다. 이 사건은 1400년 동안 적막했던 세월의 시공을 뛰어넘어 우리에게 다가온 백제금동대향로는 마치 무덤 속에 누워있던 조상이 몸을 일으켜 우리 앞에 현신(現身)한 것처럼 무엇인가 강력한 힘으로 우리에게 메시지를 전달 한 것이다. 21세기는 문화의 시대라고 말한다. 그러나 그 문화란 민족적이면서도 또한 민족을 뛰어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이 이 시대의 요청이다. 한마디로 민족없는 문화는 존재할 수 없지만, 민족만을 앞세운 문화 역시 존재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것을 슬기롭게 헤쳐 나가는 길은 우리의 정체성을 회복하고 그 중심에서 다양한 문화를 포용하고 융화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백제금동대향로의 조형적 특징을 인식하고, 향로에 내제된 백제인의 정신세계를 이해하며, 조형성을 현대적으로 재구성하여 백제문화상품에 접목 우리의 금속공예를 세계에 알리는 동시에 잊혀져가는 한국공예문화의 정체성과 한국공예가 나아가야할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The Baekje Gilt-bronze Incense Burner which was excavated in an ancient temple site in Neungsan-ri, within the City wall of Buyeo-Gun on 23rd December 1993, was a quintessence of the Bakje Arts that people could not have imagined until that time. The Baekje Gilt-bronze Incense Burner transcended 1400 years of time and space. The censer that finally came up to us delivered a kind of a powerful message to us. The power was so strong and mysterious that as if an ancestor who had been sleeping in the grave with a great silent had woken up and become alive to tell us something very precious. Baekje Gilt-bronze Incense Burner, unlike any other existing artifacts, might have a possibility that could provide an insight of the ancients' psych who once lived on our land. This kind of view from several archaeologists, therefore, made our hearts be filled with excitement and flutter. We call 21st century as an era of culture. This era requests that the culture needs to be ethnical but the culture also needs to go beyond that ethnic. In other words, a culture without an ethnic cannot exist, and a culture that puts an ethnic the very first before any other things cannot exist as well. Regaining our identities first and then embracing and harmonizing various cultures can be an wise way overcoming above problem. Hence, through this study, I intend to recognize characteristic of plasticity for Baekje Gilt-bronze Incense Burner, understand the world of Baekje people's spirit and thus provide an opportunity to shed new light on the Baekje Arts. By doing so, I would like to publicize a metal craft of Korea to the world. I also try to seek for an identity of Korea's craft culture which is receding and find a direction for the Korea's craft.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