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search on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f Teaching Science Terminology

과학 용어 및 과학 용어 교육에 대한 과학 교사들의 인식 조사

  • Received : 2013.09.24
  • Accepted : 2013.11.06
  • Published : 2013.12.31

Abstract

It is necessary to teach science terminology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induced from the fact that students have low comprehension in science terminolog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f teaching science terminology. The questionnaires consisted of perception of science terminology, science terminology for teaching, teaching of science terminology, and teaching methods for science terminology. As a result, science teachers had difficulty with science terminology and were not familiar with them as well as students were. Despite having perceived the necessity of teaching science terminology because it serves as a great influence on students to study science, they didn't have enough knowledge of the teaching methods for science terminology, so that they felt difficulties in teaching science terminology. Finally, science teachers hope to display new science terminology with explanations on each page of the science textbooks.

본 연구는 학생들이 과학 용어에 대한 이해도가 낮음으로 인해 발생하는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과학 용어 교육을 별도로 실시할 것을 제안하며, 이를 위한 기초 조사로 현장의 과학 교사들을 대상으로 과학 용어 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자 실시되었다. 조사는 설문 조사를 통해 진행되었으며 설문 문항은 과학 용어에 대한 인식, 과학 교육에서 과학 용어에 대한 인식, 과학 용어 교육에 대한 인식, 과학 용어 교육 방안에 대한 의견으로 구성하였다. 그 결과 과학 교사들 역시 학생들과 마찬가지로 과학 용어를 어려워하고 친숙하지 못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과학 용어가 학생들의 과학 학습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므로 별도의 용어 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으나 현재는 용어를 어떻게 교육하면 좋을지에 대한 방법적 지식을 갖고 있지 않아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이 원하는 과학 용어 교육의 형태는 교과서에 새로운 용어가 나올 때 마다 해당 페이지에 새로운 용어라는 표시와 함께 설명을 제시해 주는 것이었다. 과학 용어 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방대한 양의 조사를 바탕으로 한 체계적인 기초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므로 관련 전문가들의 많은 관심과 연구가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국어원(2000), 표준국어대사전 편찬 지침, 국립국어연구원.
  2. 국립국어원(2007). 전문 용어 연구. 태학사.
  3. 김규용(1995). 중학교 물리 분야 학습에 활용되는 용어 분석. 과학교육, 12(1), 143-166.
  4. 양찬호, 김지영, 신필여, 위햇님, 신명환, 강도영, 김소요, 민현식, 김찬종, 노태희(2011), 과학 학습 과정에서 나타나는 중간언어의 유형 및 과학 언어에 대한 이해수준 변화에 따른 중간언어의 특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5), 745-757.
  5. 윤은정(2012). 초중등 과학 교과서 물리 단원에 수록된 과학 용어의 등급화 연구.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 윤은정, 박윤배(2013), 과학 용어 교육을 위한 과학 교과서 수록 물리 용어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4), 735-750.
  7. 이덕환(2013). 과학과 과학교육에서 언어의 역할. 새국어교육, 95, 7-28.
  8. 이영숙(1997). 어휘력과 어휘 지도 -어휘력의 개념을 중심으로-, 선청어문 25, 서울대 국어교육과.
  9. 이충우(1998). 국어 어휘 교육론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1): 어휘 교육의 이론과 실제. 국어교육, 98, 75-103.
  10. 임종효(2004). 초등학교 과학과 물리 영역의 용어에 대한 학생들의 개념 조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하치근(2010). 언어 능력과 인지 능력의 상관관계. 한글, 287, 5-43.
  12. Carrier, S. J. (2013).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science vocabulary: Knowledge and application,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24(2), 405-425. https://doi.org/10.1007/s10972-012-9270-7
  13. Fang, Z. (2006). The language demands of science reading in middle school.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8(5), 491-520. https://doi.org/10.1080/09500690500339092
  14. Glen, N. J., & Dotger, S. (2009). Elementary teachers'use of language to label and interpret science concepts, Journal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1(4), 71-83. https://doi.org/10.1007/BF03182358
  15. Kragler, S., Walker, C. A., & Martin, L. E. (2005). Strategy instruction in primary content textbooks, Reading Teacher, 59(3), 254-261. https://doi.org/10.1598/RT.59.3.5
  16. Michaels, S., Shouse, A., & Schweingruber, H. (2008). Ready, set, science. Putting research to work in K-8 classrooms, Washington, D. 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17. Reeves, C. (2005). The language of science. (오철우 역 (2010). 과학의 언어, 궁리.)
  18. Scott, J. A. Jamieson-Noel, D., & Asselin, M. (2003). Vocabulary instruction throughout the day in twentythree Canadian upper-elementary classrooms. Elementary School Journal, 103(3), 269-287. https://doi.org/10.1086/499726
  19. Wellington, J., & Osborne, J. (2001). Language and literacy in science education, Open University Press.

Cited by

  1. Analysis of the Science Words Used by Science Teachers in Teaching the Unit of 'Force and Motion' vol.35, pp.2, 2015,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2.0209
  2.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과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과학 용어 사용 연계성 분석 vol.34, pp.7, 2013,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7.0667
  3. '화석 모형 만들기' 탐구활동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분석 - 6차, 7차, 2007 개정, 2009 개정 초등과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 vol.35, pp.2, 2016, https://doi.org/10.15267/keses.2016.35.2.229
  4. 과학용어에 대한 '포털 사전', '표준국어대사전', '과학교과서' 설명의 비교 분석 vol.37, pp.1, 2013, https://doi.org/10.14697/jkase.2017.37.1.0001
  5. 과학과 교과서에 나타난 열과 열에너지 용어의 정의 및 사용 의미 분석 vol.62, pp.3, 2013, https://doi.org/10.5012/jkcs.2018.62.3.214
  6. 교육용 과학언어 연구를 위한 범용 자료로서 과학교과서 말뭉치 K-STeC(Korean Science Textbook Corpus) 구축 vol.38, pp.4, 2013, https://doi.org/10.14697/jkase.2018.38.4.575
  7. 과학교과서에 제시된 과학용어에 대한 명시적 및 암시적 교육 사례 분석 vol.39, pp.6, 2019, https://doi.org/10.14697/jkase.2019.39.6.7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