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note for improving mathematical terms in Korea

수학 용어의 개선 방향에 대한 소고

  • Her, Min (Department of Mathematics, Kwangwoon University)
  • Received : 2013.06.13
  • Accepted : 2013.08.23
  • Published : 2013.11.30

Abstract

Most of mathematical terms in Korean are Sino-Korean words. It is necessary to find the efficient ways to teach Sino-Korean mathematical terms to mathematics teachers and students who dot not know Chinese characters well and use only Korean alphabet in mathematics. Especially, we have to avoid the inappropriate Sino-Korean words which can cause misconceptions and can distinguish homophones by Korean alphabet. We may use native Korean terms to do that and the national curriculum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way of improving mathematics terms in Korea with concrete examples.

우리의 수학 용어는 대부분 한자말로 되어 있다. 수학을 가르치고 배우는 사람 대부분이 한글 세대인 현 상황에서는 한자말 수학 용어를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해야 하는데, 부적절해서 잘못된 개념을 심어줄 수 있는 용어는 피하고 뜻은 다르지만 소리가 같은 용어는 가능하면 한글만으로도 구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런 과정에서 토박이말을 활용할 여지가 있으며, 국가 교육과정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여기서는 구체적인 예를 통해 수학 용어의 바람직한 개선 방향을 살펴본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민수 감수 (1989). 북한의 어학혁명. 백의.
  2. 김성기.김도한.계승혁 (2012). 해석개론 제2개정판.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3. 김연식.박교식 (1994). 우리 나라의 학교 수학 용어의 재검토. 대한수학교육학회 논문집, 제4권 제2호, (pp. 1-9).
  4. 김용운 (1992). 수학 용어.숙어 영한 사전. 우성문화사.
  5. 김용인 (2008). 기초 해석학 강의. 경문사.
  6. 김용태 역 (2002)/ Bartle, R.G..Sherbert, D.R. 저. 초등 실해석학. 경문사.
  7. 대한수학회 (1996). 수학 용어집 제2판. (대한수학회 홈페이지의 '수학용어' 참조.)
  8. 문교부 (1987). 편수 자료 III (기초 과학). 대한 교과서 주식회사.
  9. 박경미 (2004). 한국, 중국, 일본의 학교 수학 용어 비교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3(4), (pp. 337-347).
  10. 박경미.임재훈 (1998). 학교 수학 기하 용어의 의미론적 탐색. 대한수학교육학회 논문집, 제8권 제2호, (pp. 565-586).
  11. 박교식 (1995). 우리 나라의 학교수학 용어에 대한 의미론적 탐색. 대한수학교육학회 논문집, 제5권 제1호, (pp. 231-242).
  12. 박교식 (2003). 고등학교 수학 용어에 대한 의미론적 탐색: 한자 용어를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제13권 제3호 (대한수학교육학회), (pp. 227-246).
  13. 박교식 (2005). 북한의 학교수학 용어의 현상학적 특징에 관한 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지 학교 수학, 제7권 제1호, (pp. 1-15).
  14. 박문환 (2001). 남북한 중등학교 수학교육 비교 분석.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5. 박성래 (2011), 인물과학사 2, 책과 함께.
  16. 이강섭 외 6인 (2003). 고등학교 수학 I. 지학사.
  17. 이대로 (2008). 우리말글 독립운동의 발자취. 지식산업사.
  18. 이지현 (2011). 수학에서의 정의 개념 변화에 대한 철학적 분석. 한국수학사학회지, 제24권 제1호, (pp. 63-73).
  19. 인터넷 홈페이지 자료. 교육과학기술부 수학과 교육과정.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한국과학창의재단 교과서 편수 자료(기초 과학 편). 한국물리학회 물리학 용어집.
  20. 임재훈.이경화.박경미 (2002). 남북한 수학 교과서 영역별 분석 및 표준 수학 교육과정안 연구(1) - 남북한 학교 수학 용어 통합 방안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제12권 제 4호(대한수학교육학회), (pp. 493-508).
  21. 정동명.조승제 (2011). 실해석학 개론 제2판. 경문사.
  22. 차종천 역 (2000). 九章算術.周髀算經. 범양사출판부.
  23. 최현배 (1984). 우리말 존중의 근본 뜻. 정음문화사.
  24.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2003). 남북과학기술용어집[수학]. 이지.
  25. 한 대희 (1998). 미분법 단원에서의 용어의 문제. 대한수학교육학회 논문집, 제8권 제2호, (pp. 495-507).
  26. 허민 역 (2009)/ 朱世傑저. 筭學啓蒙上. 소명출판.
  27. 허민 역 (2013)/ Burton, D,M. 저. 수학의 역사 입문 하. 교우사.
  28. 허민 외 6인 (2009). 고등학교 수학. 중앙교육진흥연구소.
  29. 황선욱 외 12명 (2010). 고등학교 수학 II, 기하와 벡터. 좋은책 신사고.
  30. 英汉数学词汇(English-Chinese Mathematical Dictionary)(1989) 第二版. 北京: 科學出版社.
  31. Dieudonne, J. A.(1970). The Work of Nicholas Bourbaki. American Mathematical Monthly 77, (pp. 134-145). https://doi.org/10.2307/2317325
  32. Lipschutz, Seymour(1965). Schaum's Outlines of Theory and Problems of General Topology. McGraw-Hi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