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f expression in virtual character of facial smile by emotion recognition

감성인식에 따른 가상 캐릭터의 미소 표정변화에 관한 연구

  • 이동엽 (중부대학교 만화애니메이션학과)
  • Received : 2013.11.01
  • Accepted : 2013.11.28
  • Published : 2013.12.31

Abstract

In this study, we apply the facial Facial Action Coding System for coding the muscular system anatomical approach facial expressions to be displayed in response to a change in sensitivity. To verify by applying the virtual character the Duchenne smile to the original. I extracted the Duchenne smile by inducing experiment of emotion (man 2, woman 2) and the movie theater department students trained for the experiment. Based on the expression that has been extracted, I collect the data of the facial muscles. Calculates the frequency of expression of the face and other parts of the body muscles around the mouth and lips, to be applied to the virtual character of the data. Orbicularis muscle to contract end of lips due to shrinkage of the Zygomatic Major is a upward movement, cheek goes up, the movement of the muscles, facial expressions appear the outer eyelid under the eye goes up with a look of smile. Muscle movement of large muscle and surrounding Zygomatic Major is observed together (AU9) muscles around the nose and (AU25, AU26, AU27) muscles around the mouth associated with openness. Duchen smile occurred in the form of Orbicularis Oculi and Zygomatic Major moves at the same time. Based on this, by separating the orbicularis muscle that is displayed in the form of laughter and sympathy to emotional feelings and viable large muscle by the will of the person, by applying to the character of the virtual, and expression of human I try to examine expression of the virtual character's ability to distinguish.

본 연구에서는 감성 변화에 따라 나타나는 얼굴 표정에 대한 해부학적 접근방식으로 근육 체계에 의해서 부호화하는 얼굴 움직임 부호화 시스템(FACS, Facial Action Coding System)을 얼굴표정에 적용하고 이를 바탕으로 듀센스마일(Duchenne smile)을 가상 캐릭터에 적용하여 검증해 보고자 한다. 인간의 표정을 인식하는 방식이 동일하게 가상의 캐릭터에도 적용된다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애니메이션, 게임 등의 캐릭터에 보다 사실적인 표정을 담을 수 있는 연구 방식을 제안하고자 한다. 실험을 위해 훈련된 연극전공 학생들에게 정서 유발 실험을 통해 듀센 스마일과 일반 스마일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표정을 바탕으로 얼굴 근육 데이터를 표집하여 입과 입술주변의 근육과 다른 부위의 얼굴 표정 빈도를 산출하여 얻어진 데이터를 가상 캐릭터에 적용해 보았다. 그 결과 미소 표정에서 근육의 움직임은 협골 대근육의 수축으로 인한 입술 끝이 상향운동을 하며 안륜근이 수축하며 뺨이 올라가고 눈의 아래쪽 외측 눈꺼풀이 올라가는 표정이 나타났다. 개방성과 관련된 입주변 근육(AU25, AU26, AU27)과 코주위 근육(AU9)이 함께 협골근과 광대근 주변 근육의 움직임이 표현되었다. 그중 듀센 미소는 협골 대근육과 안륜근이 동시에 움직이는 형태로 발생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인의 의지에 의해 수행 가능한 광대근육과 감성적 정서에 공감하여 웃음의 형태로 나타나는 안륜근을 구분하고 이를 가상의 캐릭터의 근육에 적용하여 인간의 표정과 가상의 캐릭터 표정이 서로 구분 가능한지를 설문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진중권, 진중권의 이매진, 씨네21북스, 2008.
  2. 함선혜, "영상 콘텐츠의 형식적 리얼리즘과 유인가가 수용자의 미적 반응에 미치는 효과", 한국 언론 학보(53권 6호), 2009.
  3. Darwin, C., The expression of the emotions in man and animal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5.
  4. Duchenne de Boulogne, G. B. The Mechanism of human facial expression,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원서: 1862년 출판)
  5. Ekman, P., & Friesen, W., The Facial action coding system,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1978.
  6. Ekman, P., & Friesen, W., Felt, False, and miserable smiles, Journal of Nonverbal Behavior, 1982.
  7. Ekman, P., & Friesen, W. V., & Ancoli, S. Facial signs of emotional experie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80.
  8. Ekman, P., & Friesen, W., Facial Action Coding System,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INC, 1978.
  9. Ekman P., W. V. Friesen & Tomkins. S., Facial Affect Scoring Technique, A First Validity Study Semiotica, 3(1):1971.
  10. LaBarre, W., The cultural basis of emotions and gestures, Journal of Personality, 1947.
  11. Oster, H., Facial expression and affect development, In M. Lewis & L. A. Rosenblum(Eds.), The development of affect. NY: Plenum Press, 1978.
  12. Hess, U., & Kleek, R., Differentiating emotion elicited and deliberate emotional facial expressions, In P. Ekman & E. L. Rosenberg(Eds.), What the face reveal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3. Fogel, A., Affective dynamics in early infancy: Affective tolerance. In T. Field and A. Fogel (Eds.), Emotion and early interaction, 1982.
  14. Ekman. P., & Davidson, R. J. Davidson, Voluntary smiling changes regional brain activity, Psychological Science4(5),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