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유아 무상보육정책 담론에 대한 분석 -일가족 양립 지원 관점을 중심으로-

Discourse Analysis of Free Child Care Policy for Infants-Focus on the Perspectives of Work-Family Balance

  • 투고 : 2013.08.05
  • 심사 : 2013.09.23
  • 발행 : 2013.11.30

초록

무상보육 시행 이후에도 무상보육은 담론의 각축장이 되어 왔다. 본 연구는 영유아 무상보육 담론분석을 위해 주요 4대 일간지(조선일보, 동아일보, 경향신문, 한겨레신문)의 '무상보육' 기사를 살펴보았다. 자료 수집은 한국 언론진흥재단의 카인즈(Korea Integrated News Database System)와 조선일보 아카이브를 통해 검색하였다. 본 연구에서 이용한 자료는 무상보육 실시 후 자료로 한정하였다. 연구결과 무상보육담론은 양육수당, 맞벌이 주부 대 전업주부, 보편복지 대 선별복지 등 다양한 대립구도를 형성하면서 경합해 왔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담론분석 결과 보수적 또는 진보적 이데올로기가 실천되고 재편되는 과정을 살펴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무상보육 담론이 어떻게 구성되어 왔는지를 일가족 양립 지원 관점에서 성찰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is study has examined an analysis of discourses on free child care policy for 0-2 year old children in Korea. The author has searched articles in daily news papers of "free child care for 0-2years old" using Korea Integrated News Database System and Chosun archive. For the analysis, articles from March 2012 to May 2013 has been collected. From this study, it has been suggested that discourses has been showed with diverse issues such as home care allowance, working mom vs full-time housewives, universal welfare vs selective welfare. These discourses has developed with the ideologies of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perspectives. The suggestion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and practice of a free child care policy for 0-2 year children through reflective discourse analysi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