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가정 아동청소년과 비다문화가정(한국인 부모가정) 아동청소년의 학교적응 비교 연구

School Adjustment: Compari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Children of Non-Multicultural Families

  • 투고 : 2013.07.23
  • 심사 : 2013.10.04
  • 발행 : 2013.11.30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정과 비다문화가정 아동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을 비교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 아동 청소년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여러 혼동 변수들을 통제한 상태에서 다문화/비다문화가정 아동 청소년의 학교적응을 비교함으로써 두 집단간 학교생활적응의 차이를 추정하고자 하였다. 다문화가정 아동청소년은 평균적으로 비다문화 가정에 비해 학교생활 적응 수준이 낮은 것으로 추정되었으나, 매칭방법을 통하여 개인과 가족특성, 부모의 양육방식의 특성을 조정한 이후에는 두 집단 간 학교생활 적응에 유의한 차이가 없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외국인 부/모를 가진 다문화가정 자녀라는 특성이 이들의 학교생활에 위험요인으로 작용하지 않는다는 점을 알려주며, 다문화가정 자녀의 취약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다문화 가정 여부와 무관하게 자녀의 학교생활 적응에는 자아탄력성과 긍정적 양육방식이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자아탄력성을 강화시키는 개입의 필요성과 아동청소년 뿐 아니라 그들의 가족까지를 포괄하는 개입을 통해 학교생활적응을 제고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School adjustment has been a popular topic among scholars in multicultural family studies, and they commonly report poor adjustmen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However, without subjects for comparison, these findings may be considered premature. This study investigated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by comparing their adjustment level to that of children from families with Korean parents. By using the matching procedure, this study examined whether children's multicultural family background attributes to their school adjustment with children's observable characteristics paired and matched. For the analyses, the first and fourth wave of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tudy data were used. When the school adjustment level was examined before the matching procedure, the school adjustment level was indeed lower among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ir family status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school adjustment. However, when two groups were paired and matched using matching, the family background had no significant effect, indicating that school adjustment is not predicted by their multicultural family status.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are also discussed in the paper.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