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신라기와의 지방확산에 대한 검토

A Study on the Diffusion of Silla Roof-End Tile

  • Yang, Jong-Hyun (Gyeong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투고 : 2012.06.18
  • 심사 : 2012.08.22
  • 발행 : 2012.09.30

초록

최근 활발한 발굴조사가 이루어지는 가운데 영남지방에서 신라기와가 다량 출토되고 있다. 이들 중에는 특히 경주에서 출토되는 신라기와와 동범관계의 기와가 확인된다. 이에 영남지역의 신라시대막새에 대해서 경주지역 출토품과 비교하여 문양구성 등이 동일한 막새 중 동범막새와 동형막새로 구분하고 검토해 보았다. 그 중에서 특히 주목되는 유적은 인각사이다. 인각사 발굴조사에서 출토된 신라기와 중 연화문수막새를 포함한 당초문암막새 등 일부가 경주 월성과 황룡사지 등에서 출토되는 막새와 같은 틀로 제작한 동범막새의 관계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경주에서 제작된 막새가 각 지방으로 직접 이동한 경우와, 와범만이 이동하여 현지에서 제작된 경우, 와공이 이동하여 현지에서 제작한 경우로 정리해 볼 수 있다. 지방출토 신라기와는 인각사의 경우, 시기를 구분하여 나타나는 기와의 양상을 통해서 공존과 확장, 그리고 보수가 거듭된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정황은 경주로부터 비단 한시적으로 공급된 것이 아닌 지속적 관계로 이해하는 단서로서 의미가 깊다고 하겠다. 한편 신라기와가 경주에서 생산되어 각 지방으로 유입되는 과정에서도 직접유입이 이루어졌다면, 여러 가지 조건에 의해 육로운송 보다는 수로운송이 유리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대상 유적이 크고 작은 강과 하천 부근에서 확인된 것과도 깊은 연관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n the midst of recent active excavation, lots of Silla(新羅) roof-end tiles are unearthed in Yeongnam area(嶺南地域). These are confirmed the same tile frame as the Silla tiles excavated in Gyeongju(慶州). It is represented by the Silla tiles excavated in Ingaksa Temple(麟角寺) excavation research. Roof-end tile with arabesque design(唐草文平瓦當) etc. including roof-end tile with lotus design(蓮花文圓瓦當) are judged to be the tile frame produced by the same frame of roof-end tile that was excavated in Gyeongju, Wolseong(月城) and Hwangyongsa Temple(皇龍寺址). There are three kinds of cases concerning the transportation of tile manufacture ; the roof-end tile manufactured in Gyeongju directly moved to each region, only tile frame moved to site to be manufactured there, and tile manufacturer moved to site to manufacture there. This article considers the case of the roof-end tile manufactured in Gyeongju that was directly moved to each region. In case of the Silla tiles excavated in region especially Ingaksa Temple, the aspects of tiles in accordance with different era show the repeated coexistence, expansion and maintenance. This situation is significant as a clue to understand the supply from Gyeongju not as temporary, but as continuous. On the other hand, if the Gyeongju tiles flowed directly into each region, and if the road was built of gravels and the means of transportation was cart, the damage from movement must never be prevented. On the contrary, transportation through waterway might be advantageous due to the reduction of labor and damage rate and the easiness of loading. Accordingly, it tells us why the ruins where roof-end tiles were excavated located near big and small rivers or streams. Of course there are some ruins located in a fixed distance, but the distance may be enough to endure the impact put on tiles from the overland movement. Therefore, in case of direct inflow form long distance, transportation must be finished by overland movement after waterway movement.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