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조선 단종의 가봉태실에 대한 문헌·고고학적 검토

A Historical and Archaeological Study on Gabong Taesil of King Dangjong in Joseon

  • 투고 : 2012.06.18
  • 심사 : 2012.08.28
  • 발행 : 2012.09.30

초록

조선 제6대 임금인 단종의 가봉태실이 현재 두 곳에 있다고 알려져 있다. 즉 하나는 경남 사천시의 소곡산에, 다른 하나는 경북 성주군의 법림산에 있는 것이다. 한 임금의 가봉태실은 두 개가 있을 수 없기 때문에 학계에서 논란이 되었다. 필자는 경북 성주에 있는 태실이 단종의 가봉태실이며, 경남 사천에 있는 단종 태실은 예종의 장자인 인성대군의 태실이라고 주장한 적이 있다. 그러나 당시 현존 유물에 대한 세밀한 검토를 하지 못하여 이번에 문헌기록과 유물을 비교 연구하게 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1. 단종의 태실은 아기태실과 가봉태실로 두 개가 있다. 즉 최초 단종의 아기태실은 1441년 윤11월 26일에 성주 선석산 태봉에 조성되지만, 1451년 성주 법림산으로 이안되어 2차 아기태실이 조성된다. 그후 세조에 의해 1458년 태실이 철거된다. 그러나 법림산 태봉에는 가봉태실석물이 잔존하고 있어 이를 근거로 단종이 임금으로 등극한 후 재임기간(1452~1455)에 가봉된 것으로 추정하였다. 2. 사천의 태실이 단종의 태실로 정착하게 된 이유는 숙종 때 단종 복위과정과 관련성을 두었다. 복위되면서 왕의 격식에 맞게 태실도 보수되는데, 이때 사천의 소곡산 태실을 단종의 것으로 잘못 알고 보수하였다고 보았다. 또 가봉시기는 단종이 복위되어 장릉 개수 후 얼마 되지 않은 시점(1699~1719)으로 추정하였으며, 의궤와 가봉석물에 난간석이 없는 것은 추봉된 임금의 무덤에 난간석을 하지 않고 간략히 조성하는 왕릉의 예처럼 태실도 난간석을 설치하지 않게 되었다고 보았다. 3. 지금까지 사천의 태실을 단종 태실로 알고 있던 것은 오류이며, 1462년에 장태된 인성대군의 태실로 결론지었다. 이는 서삼릉 태실에 있어야 할 단종 태실은 없고 인성대군 태실이 조성되어 있는 점에 착안을 하였다. 즉 1928년 이왕직이 사천의 단종 태실을 봉출하여 서울에 보관하다가 1930년 서삼릉으로 옮겨 갈 때 태지석의 명문에 단종이 아니라 인성대군 태로 기록되어 있음을 알게 되어 서삼릉에는 단종 태실이 아닌 인성대군 태실을 조성한 것으로 보았다. 이를 위해 일제강점기 때 서삼릉 태실을 조성하면서 남긴 "태봉"과 사천 태실 서삼릉 태실에서 출토된 유물을 그 근거로 제시하였다.

It is known that there are two Gabong taesil (shrine for King's umbilical cord) of King Danjong, the 6th king of Joseon, remaining today. One of them is Mt. Sogok in Sacheon-city, Gyeongsangnam-do and the other is Mt. Beomnim in Seongju-gun, Gyeongsangbuk-do. The academic sector argued about this matter as there cannot be two Gabong taesil for one king. I once argued that Taesil on Mt. Beomnim in Seongju is King Danjong's Gabong taesil and Danjong taesil in Sacheon is the one for Prince Inseongdaegun, the eldest son of King Yejong. At that time, however, I had not examined the archaeological relics found in these places. In result of making an archaeological approach, I have co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1. King Danjong had two Taesil : Agi taesil(shrine for baby's umbilical cord) and Gabong taesil. The first Agi taesil was created on Taebong of Mt. Seonseok in Seongju on November 26, 1441, but was moved to Mt. Beomnim in Seongju in 1451 to form the second Agi taesil. In 1458, King Sejo eliminated his Taesil. The stone structures of Gabong taesil still remains on Taebong of Mt. Beomnim, so it has been assumed that King Danjong established them during his reign (1452-1455). 2. Taesil in Sacheon has been known as King Danjong's Taesil because of King Danjong's reinstatement during the reign of King Sukjong. His Taesil was repaired with the reinstatement and King Sukjong was mistaken that Taesil in Sacheon was King Danjong's Taesil to fix it. The time of restoration has been assumed to be soon after the restoration of King Danjong's tomb (1699-1719). Taesil is missing the book of records and rails around the stone structure because the tombs of reinstated kings were restored without rails. 3. It is incorrect that Taesil in Sacheon was known as King Danjong's Taesil, It has been concluded that this Taesil was for Prince Inseongdaegun who was born in 1462. I focused on the fact that Prince Inseongdaegun's Taesil was in Seosamneung Taesil instead of King Danjong's Taesil. When Yiwangjik stored King Danjong's Taesil in Seoul in 1928 and moved it to Seosamneung in 1930, he found that the epitaph on the tombstone recorded that it was Prince Inseongdaegun, not King Danjong, and created Prince Inseongdaegun's Taesil in Seosamneung. I referred to "Taebong", which was created when Seosamneung Taesil was built during the Japanese imperial rule over Joseon, and the relics found in Taesil in Sacheon and Seosamneung.

키워드

피인용 문헌

  1. 예천지역 왕실의 태실조성과 지역사적 의의 vol.49, pp.2, 2012, https://doi.org/10.22755/kjchs.2016.49.2.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