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eld Experiments of Scientific Conservation Treatment for Bangudae Petroglyphs in Ulsan, South Korea

울산반구대암각화 보존처리를 위한 현장적용실험

  • Lee, Tae-jong (Conservation Science Center,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Oh, Jung-hyeon (Conservation Science Center,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Kim, Sa-dug (Conservation Science Center,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이태종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 오정현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 김사덕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Received : 2012.09.30
  • Accepted : 2012.10.30
  • Published : 2012.11.30

Abstract

Field experiments for Conservation damage on selected spots were carried out prior to direct conservation treatments for Bangudae Petroglyphs in Ulsan.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big difference in treatment effects according to the treatment technique and application rather than on the treatment material us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 plan for the conservation treatment of Bangudae Petroglyphs will be suggested by providing new materials and application techniques for cracks, adhesive application and consolidation by conducting artificial weathering tests and continued monitoring.

울산 반구대 암각화는 1965년 축조된 사연댐으로 인해 매년 4~8개월간 침수와 노출을 반복하면서 훼손이 진행되고 있다. 이에 직접적 보존처리에 앞서 현장적용실험을 위한 사이트를 선정하여 각각의 손상을 제어할 수 있는 보존처리를 실시하였다. 모든 처리에는 비파괴조사를 실시하여 처리 전 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였으며 모니터링을 위한 기초자료를 구축하였다. 실험 결과 처리재료보다 처리기술과 적용방법에 따라 처리효과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특히 에틸실리케이트 수지를 이용한 강화처리는 처리방법에 따라 초음파 속도 및 에코팁 경도상승이 확연히 구분된 결과를 도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