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servation treatments

검색결과 165건 처리시간 0.024초

국립김해박물관(國立金海博物館) 개관(開館) 전시유물 보존처리 보고(報告) (Report on the Conservation Treatment for the Artifacts Exhibited in the newly-opened Kimhae National Museum)

  • 권혁남;안병찬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1권
    • /
    • pp.15-26
    • /
    • 1999
  • 국립김해박물관의 개관을 위해 전시유물 200여점을 보존처리 하였다. 처리유물은 대부분 고분출토품이며 재질은 금동, 은, 구리합금제, 철제 등 금속유물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모두 고대 가야문화를 대표하는 문화재들이다. 유물은 상태에 따라 처리방법을 달리했다. 구리합금제 유물은 부식물의 안정성에 따라 보존과 제거를 결정했다 특히 철제품의 경우 현재 안정한 상태의 유물은 물리적인 방법으로 이물질을 제거해 원형을 찾고 방녹제[상품명:Ballistol]를 이용해 부식을 예방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부식이 진행중인 유물은 원인제거를 위해 2단계 탈염처리를 했다. 제 1단계는 0.3M NaOH 용액함침, 제 2단계는 붕사-증류수 가압탈염법이다. 이밖에 전시를 위한 특수 받침대제작 및 각종 전시보조물인 모형 등에 대한 수정작업도 지원했다.

울산반구대암각화 보존처리를 위한 현장적용실험 (Field Experiments of Scientific Conservation Treatment for Bangudae Petroglyphs in Ulsan, South Korea)

  • 이태종;오정현;김사덕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33호
    • /
    • pp.69-83
    • /
    • 2012
  • 울산 반구대 암각화는 1965년 축조된 사연댐으로 인해 매년 4~8개월간 침수와 노출을 반복하면서 훼손이 진행되고 있다. 이에 직접적 보존처리에 앞서 현장적용실험을 위한 사이트를 선정하여 각각의 손상을 제어할 수 있는 보존처리를 실시하였다. 모든 처리에는 비파괴조사를 실시하여 처리 전 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였으며 모니터링을 위한 기초자료를 구축하였다. 실험 결과 처리재료보다 처리기술과 적용방법에 따라 처리효과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특히 에틸실리케이트 수지를 이용한 강화처리는 처리방법에 따라 초음파 속도 및 에코팁 경도상승이 확연히 구분된 결과를 도출하였다.

  • PDF

출토 목관재 보존을 위한 강화처리제 연구 (Experimental Study for Consolidating Materials of the Excavated Wooden Coffin)

  • 김수철;신성필
    • 보존과학회지
    • /
    • 제20권
    • /
    • pp.81-88
    • /
    • 2007
  • 무령왕릉 목관재의 보존 처리를 위하여 목관재의 물리적 특성과 유사한 시편을 제작하여 Dammar, Paraloid B72, H.F.C 처리제의 침투에 따른 시편의 중량변화와 수축률, 색변화, 침투확산 특성 등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수축변형을 방지하고 유물 원래의 색을 살리면서 재질을 강화시키는 처리제로 Dammar 2%(in xylene)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건조 열화 된 목관재의 강화처리제로 Dammar이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창녕(昌寧) 교동(校洞) 제 89호분 출토 금동제 안교장식 - 보존처리와 제작기법 조사 - (The Gilt Bronze Saddle Accessory Excavated from Tomb No. 89 of Kyodong in Changnyong 75 - Reports on Conservation Treatment and Manufacturing Technique -)

  • 김경희;한만성;안병찬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1권
    • /
    • pp.75-86
    • /
    • 1999
  • 국립김해박물관 개관전시를 위해 일제시대 창녕 교통 제 89호분에서 출토된 금동제안교장식(金銅製鞍橋裝飾 이하 "안교장식")을 보존처리하였다. 안교장식은 수많은 편으로 파손된 채 다른 유물과 뒤섞여 보관되어 왔다. 보존처리는 유물의 원형을 되찾고 재질을 안정화시키는 점에 두고 과학적인 조사와 처리를 실행하는 한편 유물의 제작기법도 상세히 조사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안교장식의 두꺼운 부식생성물을 벗기고 파편을 접착하여 원래 모습으로 복원하게 되었고 전시와 관리도 가능하게 조치하였다. 또한 다양한 고대 제작기법이 적용된 안교장식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조문화재 적용을 위한 강화제 및 충전제 현장실험 : 초음파 속도를 이용한 일차검증 (Field Experiments of Consolidant and Filler for Stone Cultural Heritage: Primary Verification Using Ultrasonic Velocity)

  • 송치영;전병규;한민수;이장존;김사덕
    • 보존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87-100
    • /
    • 2009
  • 알칼리화강암으로 구성된 경주 남산 삼릉계곡 선각육존불 주변 암반을 대상으로 보존처리제 성능을 평가하였다. 이 연구에 적용된 보존처리제는 에틸실리케이트 계열의 암석 강화용 처리제와 에폭시 계열의 수지이다. 처리과정은 에폭시 계열의 수지를 박리면에 주입 후 암석 강화용 처리제를 총 3차례 도포 하였으며, 처리 전과 후의 물성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 초음파 속도를 측정하였다. 초음파속도 측정 결과, 박리면 주변의 저속도대는 강화제 및 충전제 처리 후 평균 27.8%의 속도 증가가 나타났다. 이 결과는 석조문화재에 대한 보존처리제의 강화 효과를 입증하는 것으로서, 최소 3회 정도를 처리하는 것이 효과를 극대화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조선왕조실록상자의 재질분석과 보존처리 (Material Analysis and Conservation Treatment of The Annals of Joseon Dynasty Storage Box)

  • 박수진;정다운;이용희
    • 보존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7-24
    • /
    • 2017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인 조선왕조실록상자(고적 25247)에 사용된 목재의 수종식별과 칠층의 특징을 관찰하고, 보존처리 과정 및 결과를 소개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실록상자의 제작에는 피나무과의 피나무속(Tilia spp.)의 목재가 사용되었다. 표면의 칠기법은 목재 위에 골회를 칠하고 닥나무속(Broussonetia spp.) 인피섬유로 제작한 한지를 덧바른 뒤 다시 토회칠, 흑칠, 정제옻칠, 흑칠 순서로 제작하였다. 보존처리 전 실록상자의 상태는 짜임이 벌어지고, 칠이 벗겨져 있었으며 장석이나 족대 등 일부 부재가 사라진 상태이었다. 이러한 손상부위는 아교 및 토회로 강화처리하여 안정적인 상태가 되도록 수리하였고, 결실부는 수종분석 결과와 남아있는 부재의 형태를 바탕으로 최대한 원형에 가깝게 복원하였다. 이를 통해 실록상자의 기초적인 제작방법을 파악할 수 있었다.

Paper Conservation 연수과정에 대하여 (A report of participated in "ICCROM PAPER CONSERVATION COURSE 1993")

  • 박지선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15호
    • /
    • pp.137-147
    • /
    • 1994
  • This article is an introduction to : ICCROM PAPERCONSERVATION COURSE 1993" which I participated in, from July 28th 1993 to September 24th. The program was divided into two major sections. The first part deal with scienctific principles of paper conservation, covering structure and composition of paper and related materials, causes of deterioration and guidelines for preservation. It include chemistry for paper conservators and the history and technology of papermaking. Second part of the course emphasize practical conservation ; participants actually work together with specialists. Two weeks are dedicated to the Western approach to paper conservation. A selection of recent conservation treatments are discussed methodologically, demonstrated and performed. The same amount of time are devorted to a seminar on the conservation of fareastern paper objects. The aim is to exporse participants to different approrches and methodologies in paper consevation, to compare and discuss various tendencies and to learn lessons from other experiences that are applicable to one's own work.

  • PDF

석조문화재 보존처리제의 현황 조사 - '접착충전제와 발수·강화제'를 중심으로- (Research on present statue of conservation materials in the stone cultural heritage - Focus on adhesive, filler, repellent, consolidant materials -)

  • 송치영;한민수;이장존;전병규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29호
    • /
    • pp.163-182
    • /
    • 2008
  • Precise scientific-diagnosis for preserving stone cultural properties has been well-advanced, but research on proper methods for conservation, restoration and repair is still in early stage. Accordingly it is quite difficult to establish conservation treatment methods compatible to unique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s of each cultural property. We tried to select most compatible conservation materials through thorough assessment of conservation materials in current use. This research is focused on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materials except cleaner, which are used as adhesive, filler, repellent and consolidant. Conservation treatments for stone cultural properties were first tested in 1960's and have been carried out by various methods under relevant organizations and conservation treatment companies since. We investigated present status of conservation materials being used for cultural properties. Based on these data, we will look through types and properties of the conservation materials to figure out existing problems. Among many kinds of resins, the ratio of conservation materials used in cultural properties is very low. Therefore, new conservation materials equipped with proved long-term stability should be developed as soon as possible.

  • PDF

감은사지 동 삼층석탑 사리장엄구의 재보존처리 (Conservation of the Reliquary from the East Pagoda at Gameunsa Temple Site)

  • 박학수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13권
    • /
    • pp.59-69
    • /
    • 2012
  •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보물 제1359호 감은사지 동삼층석탑 사리장엄구 중 금동전각형사리기의 귀꽃이 2010년 11월에 분리된 것을 계기로, 금동사리기외함을 포함하여 2점의 재보존처리를 2011년 3월부터 10월까지 수행하였다. 보존처리는 과도한 광택과 기포를 가진 코팅부위를 제거하고 인크랄락(Incralac)으로 재코팅 하는 과정과, 균열 부위와 분리된 귀꽃을 재접합 후 직조 유리 섬유로 보강하는 순서로 진행하였다. 코팅과 접착제 부위가 가진 광택과 기포를 제거할 수 없는 부위는 소광(消光) 처리와 채색을 통해 광택과 기포가 눈에 적게 띄도록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