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osystem Vulnerability Assessment of Local Government Due to Climate Change

기후변화에 따른 지자체의 생태계 취약성 평가

  • Kong, Woo-seok (Department of Geography, Kyung Hee University) ;
  • Lee, Slegee (Department of Geography, Kyung Hee University) ;
  • Park, Heena (Department of Geography, Kyung Hee University) ;
  • Yu, Jeong Ah (Climate Change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공우석 (경희대학교 이과대학 지리학과) ;
  • 이슬기 (경희대학교 이과대학 지리학과) ;
  • 박희나 (경희대학교 이과대학 지리학과) ;
  • 유정아 (국립환경과학원 기후변화연구과)
  • Received : 2012.02.21
  • Accepted : 2012.03.16
  • Published : 2012.03.31

Abstract

This work aims to propose a vulnerability assessment methodology of ecosystem at present time, and an to suggest an adaptation strategy of ecosystem in the future for local government, in the fields of plant, animal and conservation area, which would occurred due to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assessment in ecosystem includes first, tree growth and distribution part, mainly for conifers, secondly, insect part for pest and bee, and thirdly conservation area management part, especially at the national parks. To evaluate the degree of vulnerability of each substitute variables, such as exposure of climatic element, sensitivity, and adaptation ability, are respectively selected. Vulnerabilities of conifer growth and distribution, pest and bee, and national park management seem to be strongly influenced by the exposure of climatic element than other factors, such as sensitivity and adaptation ability. With time regional gaps of ecosystem vulnerability are expected to be greater in both conifers growth and distribution, and national park management, but reduced in pest and bee in 2100 in comparison with present time.

이 연구는 기후변화가 지자체의 식물, 동물, 보전구역 등 생태계에 미치는 취약성을 현재와 미래 시점에서 시 공간적으로 분석하는 방법론을 논의하고, 적응 능력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토의하였다. 생태계 부문의 취약성 평가는 침엽수를 중심으로 한 수목 생장과 분포의 취약성, 해충과 꿀벌을 중심으로 한 곤충의 취약성, 국립공원을 중심으로 한 보전구역 관리의 취약성으로 수행되었다. 구체화된 각 대용변수의 취약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기후노출, 민감도, 적응능력의 대용변수 및 세부 대용변수를 선정하였다. 현재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침엽수의 생장과 분포의 취약성, 해충과 꿀벌의 취약성, 국립공원 관리의 취약성은 기후노출, 민감도, 적응능력 대용변수 가운데 기후노출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다. 현재로부터 2100년까지 미래로 갈수록 침엽수의 생장과 분포의 취약성, 국립공원관리의 취약성에 대한 지역 간 격차는 커지고, 해충과 꿀벌의 취약성에 대한 지역 격차는 줄어드는 경향을 나타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Grant : 지자체 중심 기후변화 부문별 취약성 평가 연구

Supported by : 국립환경과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