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침엽수

Search Result 415,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of Native Korean Conifers (한반도에 자생하는 침엽수의 종 구성과 분포)

  • 공우석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4.05a
    • /
    • pp.53-53
    • /
    • 2004
  • 나자식물은 구과목(Coniferales), 주목목(Taxales) 그리고 은행목(Ginkgoales)이 있으며 바늘잎을 가져 흔히 침엽수로 알려졌다. 국제자연보호연맹(IUCN)의 침엽수전문가그룹에 따르면 지구상에 살아있는 구과목과 주목목의 침엽수는 8과 68속의 600여종에 이르며 송백류로 부른다. 남한 면적의 67%에 이르는 660만ha에 삼림 중 침엽수림은 273만ha(42.4%), 침엽수와 활엽수 혼합림은 185만ha(28.8%)로 활엽수의 168만 ha(26.0%)에 비해 훨씬 넓지만 침엽수에 대한 관심은 적다. (중략)

  • PDF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of Native Korean Conifers (한반도에 자생하는 침엽수의 종 구성과 분포)

  • Kong Woo-Seok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9 no.4
    • /
    • pp.528-543
    • /
    • 2004
  • The biogeographical approach on the species composition, distributional range, and life form of native Korean conifers suggests that the Korean Peninsula harbors 4 families 10 genera 30 species. Early-evolved conifers maintain high species diversity and broad distribution. During the glacial periods, the ranges of cold-tolerant conifers expanded, on the other hand, those of warmth-tolerant ones reduced. Presence of endemic subalpine conifers might be the result of long-term isolation of conifers on high mountains. Horizontal and vertical ranges of native Korean conifers are classified into alpine, subalpine, montane, coastal, insular and disjunctive types, and then subdivided into twelve sub-types. Typical life form of native Korean conifers is evergreen tree, blooms in spring, and fruits ripe in autumn or following autumn. Oval and elliptical seeds with wing might be beneficial for their dispersal. Further works on the migration, dispersal, genetics, ecology of native Korean conifers are required for the better understanding of the biogeography of conifers.

Effect of Forest Growth and Thinning on the Long-term Water Balance in a Coniferous Forest (침엽수인공림에서 임분 성장 및 간벌이 장기 물수지에 미치는 영향)

  • Choi, Hyung-Tae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13 no.4
    • /
    • pp.157-164
    • /
    • 2011
  • Long-term annual water balances are analyzed for two forest catchments located in Gwangneung covered with forests of different types and ages. The water balance trends of the two catchments from 1982 to 2009 are compared to identify the effect of forest growth and thinning on the water balance in a planted coniferous forest catchment. According to the averaged annual precipitation and runoff for the four designated periods from 1982 to 2009, the water balance of the old natural broad-leaved forest catchment (GB) remained relatively unchanged. In contrast, the young planted coniferous forest catchment (GC)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the water balance due to the forest growing and thinning.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atchment runoff decreases with increasing tree age whereas the forest thinning results in an increase in catchment runoff. The mean annual runoff from the catchment GC after thinning increased by 1.7 times, compared with the mean annual runoff before forest thinning. The mean annual runoff from the catchment GB was very stable throughout the period. However, such an effect of forest thinning appeared to last only for about 10 year-period, after which the water yield increment in the catchment GC disappeared. It indicates that the proper forest management should be reconsidered at the interval of 10 years to effectively reduce water loss and increase water yield in the planted coniferous forest.

The Vegetation Mapping using High-resolution Imagery and Object-Oriented Classification (고해상도 위성영상자 객체지향분류기법을 이용한 식생도)

  • 최상일;박종화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4.03a
    • /
    • pp.289-294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고해상도 위성 영상을 이용하여 식생도 제작 기법을 연구하는 것이며, 식생도에는 활엽수, 혼효림, 침엽수의 군집 경계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활용하여 객체지향분류 기법을 적용하였다. 객체지향 분류기법은 크게 세그멘테이션의 과정과 세그멘트를 분류하는 과정으로 나눌 수 있다. 세그멘테이션 과정을 통해서 식생군집의 경계를 추출하고, 영상을 이용하여 상록침엽수를 분류하여 식생조사시 침엽수군락의 위치를 파악함으로써 조사의 효율성을 증대하였다.

  • PDF

괘선/구부림 강공과 종이물성과의 상관관계 II

  • 조신환;오홍석;최대웅;여성국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ical Association of the Pulp and Paper Industry Conference
    • /
    • 2001.11a
    • /
    • pp.203-203
    • /
    • 2001
  • 패선/구부림 가공은 후가공의 일부분으로서. 박스가공 시 종이에 패션치기와 구부림 공정이 들어가게 되며 이때 종이표면이 약할 경우 금이가는 현상이 발생한다. 본 연구 는 이러한 가공과 다층판지의 물성이 패선/구부림 적성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 구로서 2000년도 추계논문발표시 종이 물성 중 패션/구부림 가공에 영향을 주는 것으 로 표면층의 층간결합력과 내절도 그리고 인장강도가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는 결과를 얻었으며 이후 이들 영향인자 중 핵심영향인자의 도출을 위하여 침엽수를 배합하지 않 은 상태에서 상질고지 재생펄프를 고해 처리하여 특성을 향상시켜 실제 공정에서 실험 하였다. 1차 실험은 공정실험 전 예비 실험으로서 재생펄프를 공장 refiner를 사용하여 고해 처리하여 강도향상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인장강도는 증가하나 내절도 향상은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1차 공정실험 조건을 부착량을 향상 시켜 인장강도를 침엽수 펄프 배합수준으로 끌어올리는 방법을 선택하였으며 그 결과 패선/구부림 적성이 기존대비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즉 인장강도 향상으로 침엽수 펄 프를 대체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2차 실험은 부착량 대선 refiner를 사용하여 상 질고지 재생펄프를 고해 처리하여 인장강도를 향상시켜 생산하였다. 실험결과 인장강도 가 침엽수펄프 배합 시 대비 동등이상 수준에 있을 경우 패션/구부린 가공 시 금이가 는 터짐문제는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3차 실험은 두 차례 동안 실시된 공정 실험을 기준으로 refining 처리와 부착량 기준을 설정하고 장시간 생산하여 그 특성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표면층의 인장강도가 낮아질 때 패선/구부림 적성이 약해지는 경 향을 보였으며 인장강도가 기존 침엽수펄프 배합대비 동등이상일 경우 패선/구부림 가 공적성이 양호하게 나타났으며 실제 가공업체에서도 터짐 문제가 발견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표면층의 인장강도가 패션/구부림에 가장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며 어떠 한 형태로 표면층의 인장강도를 향상시킬 경우 침엽수 펄프는 재생펄프로 대체가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Late Pleistocene Paleovegetation and Paleoclimate of the Uiwang Area Based on Pollen Analysis (화분 분석을 통한 의왕시 지역의 후기 플라이스토세 고식생 및 고기후 연구)

  • Chung, Chull-Hwan;Lim, Hyoun-Soo;Yoon, Ho-Il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1 no.7
    • /
    • pp.698-707
    • /
    • 2010
  • The Late Pleistocene pollen record from the Poil-dong, Uiwang, Kyunggi-do, reveals that mixed coniferous and deciduous broadleaved forests were spread along with herb and fern understory. Palynofloral changes reflect climate fluctuations. From ca. 43,100 to 41,900 cal. yr BP, a mixed coniferous and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combined with open grassland occupied the study area, which indicates cooler condition than today. During the period of ca. 41,900-41,200 cal. yr BP, along with fern understory a decrease in subalpine conifers and an increase in temperate deciduous broadleaved trees suggest a climatic amelioration. A climatic deterioration, as evidenced by an increase in subalpine conifers and a decrease in the density of vegetation cover, occurred from ca. 41,200 to 39,700 cal. yr BP.

Variation of evapotranspiration and runoff with vegetation change in a watershed (유역내 식생변화에 따른 증발산 및 유출 변화)

  • Kim, Nam Won;Kim, Chul Gyu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1183-1187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유역내 식생변화에 따른 장기적인 측면에서의 유역 물수지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보청천 유역을 내상유역으로 선정하고, 준분포형 매개변수 모형인 SWAT 모형을 적용하여, 다양한 식생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증발산, 지표수, 지하수, 유출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침엽수, 활엽수, 밭, 초지의 식생별 물수지 영향과, 침엽수에서 다른 식생으로의 변화에 따른 유역 물수지 영향을 비교해 본 결과, 산림식생의 강우 차단의 영향으로 증발산 증가, 유출 감소의 영향을 뚜렷하게 파악할 수 있었으며, 특히 침엽수가 활엽수에 비해 증발산 증가 및 유출 감소에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밭의 경우에는 이와 반대로 강우 차단 효과가 미흡하여 다른 식생에 비해 증발산의 감소 및 유출의 증가가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PDF

Physiological activity of extracts from softwood needles and cones (침엽수 잎과 구과 추출물의 생리활성)

  • Sodam Kang;Sang Hwi Im;Ju-Sung Kim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v.50
    • /
    • pp.200-206
    • /
    • 2023
  • Although softwoods are widely distributed in Korea and used in various industries, studies are limited and comparative research on softwoods has been overlooked. Therefore, in this study, the physiological activity of four species of softwoods found in Korea was quantified. Needles and cones of Pinus densiflora, Chamaecyparis obtusa, Cryptomeria japonica, and Abies koreana were collected, and material was extracted using 70% methanol. We quantified the following physiological traits: total phenol and flavonoid content, antioxidant activity (DPPH, TEAC, FRAP), and inhibitory activity of the enzymes α-glucosidase, elastase, and tyrosinase. Total 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were high in Chamaecyparis obtusa and Cryptomeria japonica, and α-glucosidase inhibition activity was highest in the leaves of Chamaecyparis obtusa. Elastase inhibitory activity was high in the leaves and cones of Pinus densiflora and the cones of Abies koreana,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was highest in the leaves of Pinus densiflora. In Korea, softwoods are planted extensively on roadsides and as windbreaks, and they are highly competitive in supplying raw materials since they are pruned every yea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oftwoods are considered suitable for use in healthcare products, diabetes products, wrinkles, and whitening cosmetics.

침엽수로부터 배출되는 테르펜의 지역별 배출특성에 관한 연구

  • 김조천;임준호;홍지형;전의찬;주명칠;조규탁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334-335
    • /
    • 2003
  •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소나무속의 침엽수 중 가장 대표적인 수종은 소나무이며, 리기다소나무가 그 뒤를 잇는다. 이 두 수종을 대상으로 테르펜의 배출속도와 물질별 구성비율을 비교하여 본 결과, 소나무와 리기다의 유사점은 $\alpha$-pinene, myrcene, $\beta$-phellandrene이 주요하게 나타났다. 리기다소나무의 경우에는 소나무에서 보다 $\beta$-pinene이 다소 크게 나타났으나, 지역별로는 테르펜의 구성비 차이가 거의 없었다. 삼림으로부터 방출되는 테르펜의 배출특성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수종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