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ystematic Review on Diagnosis of Children with ADHD: With Special Regard to School-Based Identification and Multi-method Assessment

ADHD 아동 진단과 판별: 학교기반 및 다중방법 평가를 중심으로

  • Published : 2012.12.30

Abstract

The present study explored how ADHD assessment, identification, and diagnosis were conducted in research through an overview of research papers on ADHD in the last 10 years. The collected studies were categorized and analyzed by topics including data collection settings, assessment and identification, coexistence with other disabilities, considerable variables throughout evaluation, and biological basis. They were categoriz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methods, the number of assessment(s) and the number of informa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assessment and identifying studies on children with ADHD were excessively biased toward clinical settings. Second, the majority of the previous studies explored more the development or validation of tools for the assessment and identifying of ADHD than the other topics. Finally, a high preference for the use of a multiple assessment method in identifying ADHD was found. However, considering methodological aspects, there was a lack of practical application of multi-step process such as including a personal interview, reviewing school records or direct observing rating criteria. Considering these results, we discussed an urgent need for the diagnosis and identification guidelines of ADHD for teachers to effectively identifying ADHD children at schools. The implications of school-based ADHD assessment and diagnosis research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ADHD 아동을 대상으로 한 평가 판별에 관한 논문을 개관함으로써 ADHD 아동 평가 판별이 실제 연구에서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 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10년간 수행된 SCI, SSCI급 국외 연구를 분석하였다. 최종 147편을 자료 수집 장소별, 주제별, ADHD 판별 방법 및 과정별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ADHD 평가 및 판별 연구는 대부분 임상현장에서 수집된 자료를 기반으로 이루어졌다. 둘째, ADHD 평가 및 판별 연구는 주로 평가도구의 개발 및 타당화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셋째, ADHD를 2가지 이상의 다중방법을 사용하여 ADHD로 평가. 판별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학교기록의 검토, 직접관찰, 다중 정보원을 사용한 인터뷰 등 다양한 정보원과 방법의 활용이 아닌 대부분의 연구가 척도나 설문지, 단일 정보원과의 인터뷰 등에 한정된 방법을 사용하고 있었다. 논의에서는 ADHD 아동 판별 및 평가 연구가 학교현장을 기반으로 한 연구가 매우 제한적인 것에 대한 함의와 효율적 다중방법 평가절차 개발의 필요성 및 학교 기반 ADHD 아동 선별 및 판별 가이드라인 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제기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