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isturbing writing, Shifters of literature- The Study on『In the Strange Time』of Lee In-Sung -

교란하는 글쓰기, 전환사의 문학 - 이인성의『낯선 시간 속으로』를 대상으로 -

  • Published : 20120000

Abstract

『In the Strange Time』is Lee In-Sung's the first works of literaturewhich was his beginning of writer by 1980's『literature and society』.The problematical text shows his works' origin and direction andremains important point that makes avant-garde style genealogy ofKorean literature.This text studies repeating convolutedness codes of his works andilluminates process of the meaning through Ecritue by Roland Barthes.Furthermore, it takes notice of the process that makes strangeillumination through performing and multiple writing in the text. Hiswriting refuses time and space of continuity and says the symbol isviolence which is gathered one meaning. It makes reversal of flow tomainstream 1980's korean literary circles. The text frequently breakstime and space of boundary and makes illumination to the people whoare showed up the text. The readers are distinguish between time andspace to reconstitute broken text. The supervising writing to all theprocess is already discussion and also playground.Lee In-Sung's works are not progressed and intended with one waydirectivity. This feature says daily violence and suppression ofgeneration. It gives a space with traditional writing. Neutral writingrefuses categorization to rhetoric. Because rhetoric is ideological andcustomary. His works break itself up and sometimes overdescribe to exclude the rhetoric which is asserted attribution of novel. Thisoverdescribe makes confusion to the reader's habit, so it interrupts theworks to the one image. The conditions of the novel genre is breaking.And at that point, he makes new cover of discussion.

『낯선 시간 속으로』는 1980년『문학과 사회』를 통해 소설가로서의 전적을 시작한 이인성의 첫 번째 작품집이다. 이 문제적 텍스트는 좁게는 이인성 문학의 기원과 향방을 암시하고 넓게는 한국문학 속 전위적 스타일의 계보를 증명하는 주요한 결절점으로 남게 된다. 이 글은 이인성의 작품에 관습적으로 수식되는 난해함의 약호를 살피고 바르트의 에크리튀르 개념을 통해 그 의미화 과정을 밝히고자 한다. 나아가 작품 속에서 글쓰기라는 행위 자체의 수행성과 다중성이 기의의 환상을 전복시키는 과정을 주목하고자 한다. 이인성의 작품들은 시간과 공간의 연속성을 거부하고 하나의 의미로 수렴되는 상징은 폭력이라고 항변한다. 이 미구(迷口)의 문학 속에서 1980년대의 한국문단은 주류문학의 흐름을 반전시키는 화두를 발견한다. 텍스트는 시간과 공간의 경계를 수시로 무너뜨리고 등장인물을 눈뜨고 몽상하게 한다. 독자는 파편화된 텍스트를 재구성하기위해 서사의 맥락을 수차례 조각내고 시공간을 시시각각 변별한다. 그 모든 과정을 주관하는 글쓰기는 자체로 이미 담론인 동시에 유희의 장이다. 이인성 문학은 하나의 방향성을 가지고 진행되거나 의도되지 않는다. 이러한 작품의 특정성은 일상의 폭력과 시대의 억압에 대해 말하는 것으로 맥락화된 전통적 소설 쓰기의 문법과 일정부분 거리를 둔다. 중립적 글쓰기는 수사에 의한 범주화를 거부한다. 수사는 이데올로기적이고 관습적이기 때문이다. 이인성의 문학은 궁극적인 소설의 속성을 단언하는 수사를 배제하기 위해 스스로를 해체하고 때로 과잉 서술한다. 이 과잉 서술은 독자의 읽기 관습을 교란시킴으로써 작품이 하나의 이미지로 귀결되는 것을 방해한다. 글쓰기라는 기표에 안정적인 기의를 제공하는 소설 장르의 조건들이 하나 둘 파기된 자리마다 이인성은 날것의 기표, 새로운 담론의 표지를 들여놓는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