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emale Characters in East Asian Traditional Fairy Tales - with priority given to the types of Kongjwi and Patjwi -

동아시아 전래동화 속에 나타난 여성 - ‘콩쥐 팥쥐’ 유형을 중심으로 -

  • Published : 20120000

Abstract

A traditional fairy tale is not one of mere stories but graphicallyreveals the culture customs and life pattern of the age that it iswritten. So that makes it possible to grasp the values of contemporarypeople, which will serve, in turn, to have a good understanding of theirculture. An attempt to read fairy tales from a new, multiculturalperspective is expected to help liberate female characters from the worldof written letters, especially female characters of Korean, Chinese,Vietnamese, Phillippine and Japanese traditional fairy tales who could allbe called Cinderella in East Asia.Specifically, a Korean fairy tale "Kongjwi and Patjwi" could be saidto represent East Asian traditional fairy tales in terms of femalecharacters and their relationship. This fairy tale reveals a hidden anddistorted femininity, and it served as an opportunity for the stepmother,Kongjwi and Patjwi to be reborn as new postmodern women when amatter of gender in traditional fairy tales became an issue. The fairytale shows that a woman is able to become worthwhile ecologically onlywhen she restores her essential value of maternity and life and doesn'tgive up her femininity.As for the appearance and spread of the female character types ofKongjwi and Patjwi, they appeared in East Asia both before and after the printing technique was introduced in the West. So it became worthdoing to orally hand down the fairy tale, and that has continued to bepass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since early modern times.And now it's time to see East Asian fairy tales in a new light, from apostmodern perspective. Fairy tales will be able to regain theircharacteristics as oral literature when they no longer have to remain asprinted texts, and it will be possible to reconstruct fairy tales in theform of storytelling to read them in a new light when they areproduced as hypertexts, which are one of postmodern vehicles to conveyinformation.

전래동화는 단순한 이야기를 넘어 문화와 관습, 생활 모습을 담고 있어 전반적인 가치관 파악이 가능하므로 해당 국가의 문화를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인간의 심리와 감정에 깊이 연관되어 있어 인간의 내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내적 자질들을 북돋을 수 있기에 인간의 삶에 깊이 있게 작용할 수 있다. 때문에 국내이주여성을 위한 다문화 차원의 새로운 동화읽기에 대한 시도는 문자화 된 동화 속에 갇힌 여성들을 동화와 더불어 해방시키는 작업에 그 의의를 둔다. 그 대상은 동아시아의 신데렐라, 곧 한국, 중국, 베트남, 필리핀, 일본 전래동화에 나타난 여성 유형들이다. 한국의「콩쥐 팥쥐」속 여성 유형과 그 관계가 동아시아 전래동화에 대한 대표성을 획득하는 방식으로, 감추어지고 왜곡된 여성성을 되짚는다. 전래동화 속 젠더문제는 ‘계모’와 ‘콩쥐’, 그리고 ‘팥쥐’가 탈 근대적 의미의 새로운 여성으로 거듭날 수 있는 계기를 갖게 하여 ‘모성’ 본래의 가치 회복, ‘생명’이라는 고유 가치, 더불어 ‘여성성’을 포기하지 않을 때 비로소 생태학적인 가치를 획득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동아시아의 ‘콩쥐 팥쥐’ 유형은 성립 및 전파시기에 있어서 서구의 인쇄 시대 전, 후를 두루 넘나듦으로써 전래동화의 구술적 가치를 회복하여 근대 이후로 연결시킨다. 이 지점에서 동아시아 전래동화를 탈 근대적으로 새롭게 읽을 수 있는 지평이 열린다. 구술성의 회복으로 탈 근대적 정보전달 방식인 하이퍼텍스트 속으로 진입함으로써 전래동화에 대한 스토리텔링 식 재구성의 기반을 마련하고 전래동화에 대한 새로운 읽기 방식이 시도되기를 기대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