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Cellular Phone User's Self Image to select Ring-Tone and Ring-Back-Tone

휴대전화 이용자 자아이미지가 벨소리와 통화연결음 선택에 미치는 영향

  • 양승훈 (신라대학교 상경대학 호텔관광이벤트학과)
  • Received : 2012.07.26
  • Accepted : 2012.09.07
  • Published : 2012.09.28

Abstract

Recent growth of ring-tone and ring-back-tone download market as the derived market of cellular phone yields the new trend in music consumption from listening to display. This means that consumer purchase the ring-tone and RBT not for his appreciation but for counterpart's consumption, in a word, conspicuous consumption. Study aims at questions on whether cellular phone user can perceive the ring-tone and RBT's brand personality and how they express their self-image via ring-tone and RBT. Survey was administered for 196 college students who is dominant purchase group of market segment. Hypotheses are such as : congruity of self image and brand personality of ring-tone and RBT. Through the T-test, findings said that user's extrovert self image are not led to ring-tone's extrovert brand personality and user's introvert self image are not led to introvert ring-tone's brand personality of ringtone. same result was applicable to RTB. Cellular phone user's purchase behavior are different from those of product and service.

벨소리와 통화연결음 시장의 확대에 주목하여 음원소비가 감상용 음원에서 꾸미기용 음원으로의 활용 확대되는 시점에서 발신자와 수신자가 음원에 대하여 브랜드개성으로 인식하는지, 자아표현이 어떠한 방식으로 이루어 질 것인가에 관한 연구이다. 대학생 196명을 대상으로 본인의 자아이미지와 본인이 선택 혹은 선택 예정인 벨소리와 통화연결음이 일치하는지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표본을 대상으로 SPSS 19.0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여 대응표본 t테스트를 실시한 결과 자아이미지의 요인으로 도출된 내향성, 외향성과 벨소리, 통화연결음의 요인으로 도출된 내향성과 외향성의 관계가 서로 불일치하였다. 즉 내향성을 가진 소비자는 외향적인 음원을, 외향적인 소비자는 내향적인 음원을 선택하고 있었다. 휴대전화 발신자는 벨소리와 통화연결음 등 음원을 선택함에 있어 본인이 아닌 상대방을 염두에 두어 본인의 자아이미지와 상반되는 브랜드개성을 가진 음원을 선택하는 즉 과시적 소비성향을 보여주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H, May and G. Heam, "The Mobile Phone as Media," International J. of Cultural Studies, Vol.8, No.2, pp.195-211, 2005. https://doi.org/10.1177/1367877905052417
  2. 이동후, 유지현, 황주성, "휴대전화와 시공간 경험의 재구성", 한국방송학보, 제19권, 제2호, pp.337-377, 2005.
  3. V. Oksman and J. Turtiainen, "Mobile Communication as a Social Stage," New Media & Society, Vol.6, No.3, pp.319-339. 2004. https://doi.org/10.1177/1461444804042518
  4. 윤창준, 김기옥, 황혜선, "소비자의 휴대 전화 단말기 및 통신서비스 선택", 생활과학, 제14권, pp.1-15, 2011.
  5. 홍찬이, 김은진, 김보영, "휴대전화를 이용한 소녀들의 수다문화", 미디어, 젠더&문화, 제5권, pp.125-161, 2006.
  6. 김정기, "청소년과 성인집단의 휴대전화 이용특성 비교", 한국언론학보, 제49권, 제3호, pp.262-291, 2006.
  7. 서동민, 유재수, 조기형, "차세대 모바일 콘텐츠 서비스을 위한 멀티미디어 인사말 시스템 설계 및 구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5권, 제2호, pp.243-250. 2005.
  8. 김정숙, 양명연, "맞춤형 e-Ring 설계"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하계학술발표논문집&학회지, 제14권, 제1호, pp.205-212, 2006.
  9. 김재국, 조암, "휴대폰 기능음의 감성평가 및 선호도 평가", 대한산업공학회 추계학술대회, 제1권, 2008.
  10. 석현정, 김보민, 권문영, 정상훈, "통화연결음악 이통화 상대자의 개성판단에 미치는 영향", 감성과학, 제3권, 제3호, pp.343-354, 2007.
  11. J. Aarker, "Dimension of Brand Personality," J. of Marketing Research, Vol.4, No.3, pp.347-352. 1997.
  12. L. Pitt, R. Opoku, M, Hultman, R. Abratt, and S. Spyropouou, "What I say about myself : Communication of Brand Personality, by African Countries," Tourism Management, Vol.28. No.3, pp.835-844. 2007.
  13. S. Fournier, Consumer and Their Brand: Developing Relationship Theory in Consumer Research," J. of Consumer Research, Vol.24, No.4, pp.343-373, 1998. https://doi.org/10.1086/209515
  14. 심명희, 임한나, 한은경, "스마트폰의 브랜드개성-자아이미지간 일치성이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광고연구, 제88권, pp.305-250, 2011.
  15. 김운한, 이경렬, 신현희, "브랜드캐릭터의 정보원 속성과 일치성 요인의 효과에 관한 연구", 커뮤니케이션학연구, 제15권, 제3호, pp.105-133, 2007.
  16. 김관상, "신용카드브랜드 충성도의 영향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제10권, 제4호, pp.163-187, 2008.
  17. 윤승욱, 박원준, "휴대전화애착정도가 사용자의 정서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학보, 제21권, 제1호, pp.243-275, 2007.
  18. 송종현, 휴대전화 이용동기와 형태가 사회적 관계 및 규범성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박사학위논문, 2003.
  19. 김정구, 류주현, 성희승, "브랜드개성이 구전과 브랜드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학연구, 제13권, 제1호, pp.25-43, 2002.
  20. 나은영, "여성의 뉴미디어 이용과 가치관", 한국방송학보, 제16권, 제2호, pp.77-115, 2001.
  21. E. Thulin and B. Vilhelmson, "Mobile Everywhere," Nordic J. of Youth, Vol.15, No.3, pp.235-253. 2007.
  22. 강희양, 박창호, "스마트폰 중독척도의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제31권, 제2호, pp.563-580, 2012.
  23. 오지은, 김기옥, "현대소비자의 제품소비경험: 스마트폰의 상표간 비교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제50권, 제1호, pp.141-154, 2012.
  24. 장훈, "나만의 컬러링", 교회교육, 제309권, pp.136-139, 2003.
  25. 전홍대, 변대호, "휴대폰 음악서비스의 비용혜택 분석", 대한산업공학회.한국경영과학회 춘계공동 학술대회, 2008.
  26. 김미향, "청소년이 감각추구 동기와 대중음악 선호와의 관련성 조사", 한국음악치료학회지, 제7권, 제1호, pp.35-54, 2005.
  27. 나재용, "청소년기의 대중음악 선호에 영향을 주는 제반 요인들에 관한 고찰", 낭만음악, 제21권, 제3호, pp.5-34, 2009.
  28. 최병철, 음악치료학, 학지사, 1999.
  29. K. Suh and J. Park, "Music Preference and its Relationship with Personality Trait," Korean J. of Psychology: General, Vol.30, No1, pp.185-203, 2011. https://doi.org/10.15842/kjcp.2011.30.1.010
  30. 변대호, "휴대폰음악서비스의 효과성 분석", 정보화정책, 제15권, 제1호, pp.41-52, 2008.
  31. 최일도, "광고배경음악에 의한 브랜드개성인식의 유형과 형태에 대한 분석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제10권, 제3호, pp.373-403, 2008.
  32. 김해영, 청소년의 휴대폰 사용에 있어서 준거집단의 영향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경영대학원석사학위논문, 2002.
  33. 김청자, 이봉수, "중학생의 휴대폰 사용정도와 자기개념과의 관계", 상명대교육연구, pp.1-28, 2008.
  34. 박유진, 채지영, "온라인음악소비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제6권, 제2호, pp.63-78, 2005.
  35. 정상훈, 석현정, "통화연결음악이 상대자의 개성 판단에 미치는 영향 II", 감성과학, 제11권, 제3호, pp.313-324, 2008.
  36. 김용준, 조성배, "감성모델을 통해 휴대폰의 벨 소리를 추천하는 상황 인식 추천 시스템",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제36권, 제1호, pp.162-165, 2005.
  37. 정효선, 윤혜현, "패밀리레스토랑의 브랜드개성과 고객이 인식하는 자아이미지의 일치성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제26권, 제6호, pp.717-726, 2010.
  38. 송주승, 정혜명, "청소년의 음악적 취향과 인식에 관한 현황조사연구", 음악연구, 제45권, pp.115-130, 2010.
  39. 조수현, "호텔.외식산업 배경음악의 무드에 따른 고객반응에 관한 연구", 감성과학, 제16권, 제3호, pp.114-129, 2010.
  40. 박정양, 서경현, "대학생의 음악선호와 웰빙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13권, 제2호, pp.497-511, 2008.
  41. 박정미, "음악치료사의 성격유형과 음악적 선호 관계 연구", 한국심리유형학회지, 제11권, pp.123-146, 2004.
  42. 서승미, "청소년의 음악감상행동에 관한 연구", 음악치료교육연구, 제2권, 제2호, pp.1-14, 2005.
  43. 이상훈, 최일도 "통화연결음악선호도 및 친숙도 분포 특성과 커뮤니케이션 요인에 관한 연구", 광고학연구, 제19권, 제4호, pp.217-233, 2008.
  44. G. 메크레켄, 문화와 소비, Culture and Consumption(이상률 역), 문예출판사,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