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참여 도구로써 가로경관 디자인 가이드라인 구성 연구

A Study on The Structure and Contents of Streetscape Design Guideline as a Tool of Residents' Participation

  • 투고 : 2012.05.21
  • 심사 : 2012.08.11
  • 발행 : 2012.08.31

초록

In order to create humanitarian living environment with sustainable ecological environment, urban regeneration project has been implemented recently seeking diverse methods for residents'participation stressing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with the residents changing from the existing one way planning by limited number of experts. Particularly, it is essential to develop systematic tools to promote the voluntary and positive participation of the residents because residents have to perform as the master of urban streetscape design project that requires sophisticated knowledge and experience and also because the residents have to function as sustainable maintainers and managers of their streetscape. This study intends to identify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major contents of design guideline as a tool to support the voluntary and positive participation of the residents in streetscape maintenance. For this purpose based on the structural system and characteristics of Chicago streetscape design guideline that was developed as tool for residents' participation, efforts were made to set up framework of design guideline for sustainable streetscape project with the users' participation with their overall understanding and trust. In detail, the author studied the resident participatory process for sustainable maintenance and management in a long term landscape project and the principle and theories of design planning for streetscape that supports the utilizing behaviors of the users, and how this information should be linked and organized to form the structure and contents of design guideline. As a tool supporting residents' participation and helping the residents perform the responsible function as sustainable maintainers and managers of their streetscape through social maturity with ontological sense of masters of their local community as they experience the gradual processes of their streetscape maintenance project, streetscape design guideline has its meaning in the efforts that tried to achieve deep participation of the residents through researches converging the two academic sectors of urban architecture and social psychology.

키워드

참고문헌

  1. 강혜연 외, 지역정비툴로서 시카고 가로정비 가이드라인특성분석연구, 생태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11권 제2호 (통권 21호), 2011
  2. 고재웅, 디자인 서울 공공공간 가이드라인의 한계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논문. 2010
  3. 김정근, 김아람, 지자체 공공디자인가이드라인 분석, 디자인학연구 제 23권 제 5호 통권91호 149-158 KCI 등재, 2010
  4. 김은아, 도시디자인에 있어 TUD(Total Urban Experience) 의실현과 Empathic Innovation을 위한 UMD(Urban Design Management)의 전략과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5. 김호석. 송영일. 김이진. 임영신, 환경평가와 지속가능발전지표 연계운용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정책. 평가연구원, 2007
  6. 박정연. 인간행태에 근거한 도시환경의 보행공간 디자인방법,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7. 박우장, 커뮤니티 참여디자인의 접근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 13권 제4호 통권45호, 2004
  8. 백승경, 생태적으로 지속가능한 공공공간 디자인체크리스트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9. 상남규, 도시재생사업에서의 협력적 사업시행방식과 절차개선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10. 이연숙. 김주석. 정은정, 주거지 정비지역 주민 워크샵을 통한 마을이미지 맵 제작도구의 효용성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제21권 제 1호, 2010
  11. 이영아, 지역역량강화에 영향을 미치는 주민참여 요소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제15권 제2호. 2009
  12. 정연희. 환경특성과 보행행태분석에 근거한 보행공간 연구, 성균관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13. 조정형, 공공디자인의 효율적 적용을 위한 공공시설물 평가 TOOL 개발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논문, 2010
  14. 최성호, 공공디자인 가이드라인 구성체계 및 특성 비교연구, 한국디자인문화지 16권 4호. KCI등재, 2010
  15. 황선주, 주거환경정비사업의 갈등요인분석을 통한 소외조합원 참여활성화방안연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16. 현우정, 도시공간 특성에 따른 장소성 형성에 관한 연구: 특화가로의 대상지 선정과 장소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17. 경기개발연구원, 계획적 도시개발,정비를 위한 도시마스터플랜제도 연구, 2007
  18. 국토연구원, 시민이참여하는 살고 싶은 도시만들기: 전략편, 2008
  19. 정보화사회의 사회과학의 정체성: 변화와 지속성의 패러다임/성규노가대학교 사회과학부[편], 성균관대학교 사회과학부, 2001
  20. 이연숙 외, 지역사회소통형 가로환경 개선도구, 연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