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iscussions about Expanded Fests of Cartoons and Multimedia Comics as Visual Culture: With a Focus on New Technologies

비주얼 컬처로서 만화영상의 확장된 장(場, fest)에 대한 논의: 뉴 테크놀로지를 중심으로

  • 이화자 (공주대학교 만화애니메이션학부, 공주대학교 문화예술산업연구소) ;
  • 김세종 (목원대학교 미술학부 만화애니메이션학과, 공주대학교 만화학과)
  • Received : 2012.08.01
  • Accepted : 2012.09.12
  • Published : 2012.09.30

Abstract

The rapid digitalization across all aspects of society since 1990 led to the digitalization of cartoons. As the medium of cartoons moved from paper to the web, a powerful visual culture emerged. An encounter between cartoons and multimedia technologies has helped cartoons evolve into a video culture. Today cartoons are no longer literate culture. It is critical to pay attention to cartoons as an "expanded fest" and as visual and video culture with much broader significance. In this paper, the investigator set out to diagnose the current position of cartoons changing in the rapidly changing digital age and talk about future directions that they should pursue. Thus she discussed cases of changes from 1990 when colleges began to provide specialized education for cartoons and animation to the present day when cartoon and Multimedia Comics fests exist in addition to the digitalization of cartoons. The encounter between new technologies and cartoons broke down the conventional forms of cartoons. The massive appearance of artists that made active use of new technologies in their works, in particular, has facilitated changes to the content and forms of cartoons and the expansion of character uses. The development of high technologies extends influence to the roles of appreciators beyond the artists' works. Today readers voice their opinions about works actively, build a fan base, promote the works and artists they favor, and help them rise to stardom. As artist groups of various genres were formed, the possibilities of new stories and texts and the appearance of diverse styles and world views have expanded the essence of cartoon texts and the overall cartoon system of cartoon culture, industry, education, institution, and technology. It is expected that cartoons and Multimedia Comics will continue to make a contribution as a messenger to reflect the next generation of culture, mediate it, and communicate with it. Today there is no longer a distinction between print and video cartoons. Cartoons will expand in every field through a wide range of forms and styles, given the current situations involving installation concept cartoons, blockbuster digital videos, fancy items, and characters at theme parks based on a narrative.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diversify cartoon and Multimedia Comics education in diverse ways. Today educators are faced with a task to bring up future generations of talents who are capable of leading the culture of overall senses based on literate and video culture by incorporating humanities, social studies, and new technology education into their creative artistic abilities.

만화는 1990년 이후 사회 문화 전반에 디지털화가 급속하게 이루어지면서 만화의 디지털화를 이끌었고 지면에서 웹으로의 매체변화가 이동하면서 강력한 시각문화 발전하였으며 멀티미디어 기술과의 만남으로 영상문화로까지 진화하고 있다. 따라서 만화는 이제 문자문화로 보기 보다는 '확장된 장(마당, 場, fest)'으로 시각문화와 영상문화로서 다루고 더욱 넓은 의미의 만화영상으로 주목해야 한다. 연구자는 본 연구에서 빠르게 변화하는 디지털 시대에 맞춰 변화되는 만화의 현주소를 진단하고 이에 따르는 앞으로 만화가 지향해야 할 방향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자 한다. 그러기 위해서 우선 만화의 디지털화와 대학에서 만화영상 전문교육을 시작했던 시점인 1990년대부터 현재의 만화영상의 장에 이르기까지의 변화들을 사례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뉴 테크놀로지와 만화의 만남에 따라 기존의 만화의 형태는 깨지고 있다. 특히 뉴 테크놀로지 기술을 작품에 적극 활용하는 작가들이 대거 등장함에 따라 만화의 내용적, 형식적 변화와 캐릭터 활용의 확장이 빠르게 이뤄지고 있다. 이러한 첨단기술의 발달은 작품에만 영향을 끼치는데 그치지 않고 감상자의 역할까지 변화 시키고 있다. 이제 독자는 적극적으로 작품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고 팬덤을 형성하여 자신이 좋아하는 작품과 작가를 홍보하고 스타의 자리로 올려놓기도 한다. 더 나아가 스스로 창작물을 만들고 스스로 작가가 되는 새로운 형식의 등용시스템을 만들어 내기도 한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다양한 장르의 작가군의 형성으로 인해 새로운 이야기 텍스트 개발의 가능성과 다양한 스타일, 세계관이 등장 되면서 만화텍스트의 본질이 확장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만화문화, 산업, 교육, 기관, 기술 등 전반적인 만화시스템 역시 확장되고 있다. 앞으로도 만화영상은 차세대의 문화를 반영하고 매개하고 소통하는 메신저로도 공헌해 나갈 것이라고 기대한다. 오늘날의 만화는 인쇄만화와 영상만화로 구분 지을 수 없겠고, 설치개념의 만화와 더불어 블록버스터 디지털영상, 팬시용품과 서사를 바탕으로 하는 테마파크의 캐릭터 활용을 볼 때 다양한 형태와 양식으로 각 영역을 확장해 갈 것이다. 그러므로 지금보다 만화영상 교육을 다양성 있게 다각화시킬 필요가 있다. 창의적 예술 능력에 인문사회학적 기반과 뉴 테크놀로지 교육이 접목되어 문자문화와 영상문화의 감각종합형 문화 분야를 이끌어 갈 수 있는 그러한 능력을 가진 미래 세대를 키우는 것이 오늘날 우리의 과제일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용석, 서사철학, 휴머니스트, 2009.
  2. 박일우, 글과 그림 - 문화와 기호, 문학과 지성사, 1995.
  3. 스콧 맥클라우드, 김낙호 역, 만화의 이해, 아름드리, 1995.
  4. 존 A. 워커, 사라 채플린, 임산 역, 비주얼 컬처, 루비박스, 2006.
  5. 프랑시스 라카생, 제9의 예술 만화, 하늘연못, 1998.
  6. 박이문, 문학은 철학적이어야 하는가?, 문학과 철학의 만남, 민음사, 2000, pp.27-39.
  7. 성완경, 미술과 만화, 그 새로운 미학, 월간미술, 제15권3호 (2003, 3), pp.74-79.
  8. 박세형, "비실사 창작 솔루션 네트워크의 확장", 공진화(供進化)하는 만화 애니메이션, (사)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08 PISAF 국제학술대회, 2008, pp.40-46.
  9. 이가온, "호랑 인터뷰: 배드엔딩이 왜 이렇게 천대받는지 모르겠다", 10아시아, 2011년 8월 11일, http://10.asiae.co.kr/Articles/new_ view.htm?a_id=2011081017503779193.
  10.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http://word.tta.or.kr, 검색어: 에듀테인먼트.
  11. Lee, Hwa-Ja, "The study of Korea's flash content: A case study of content production", The Japanese Journal of Animation Studies, Vol.13, No.1A, (March 1, 2012), pp.25-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