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A Relation between Social Status Type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he Upper Grade Students of the Elementary School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사회적지위 유형과 학업성취도간의 관계

  • Received : 2011.12.16
  • Accepted : 2012.01.12
  • Published : 2012.01.31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of academic achievement by social status types through sociometry. This study analyzed 201 students in grade 6 in S elementary school. The social status is classified by 7 (popular, average, rejected, aggressive-rejected, submissive-rejected, neglected, controversial) with academic achievement of each type as dependent variables to figure out the relation between social status types and academic achievement. To classify 5 social status types, a sociometry program developed by Ahn, Ie-Hwan (2007) was used, 2 social status types was classified with experimental condition, and its dependent variable was the score by subjects in the mid-term exam of the 1st semester in 2011. The average values of humanities courses (Korean and social studies) and natural science courses (math and science) were compared by both sexes and 7 social status types. The reference group was average group. As a result, as to male students, N type had the highest score both in humanities courses and natural science courses while C type had the lowest score in both groups. As to female students, P, N, C types had the highest score in both groups with similar range while R type had the lowest score in both groups. This result demonstrates that the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had relatively high relevance with social status. and also, suggestion that how teachers can do to enhance the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본 연구는 사회성측정(sociometry)을 통한 사회적지위의 유형에 따라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알아보는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K시에 소재한 S초등학교 6학년 201명을 대상으로 성별의 분리를 적용하여 7가지(인기, 평범, 배척, 높은 공격성에 의한 배척, 높은 수동성에 의한 배척, 무시, 양면성아동)로 지위유형을 분류한 다음, 각각의 지위집단 유형이 보여주는 학업성취도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사회적지위 유형과 학업성취도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5가지 사회적지위 유형을 분류하기 위하여 안이환(2007)에 의해 개발된 한국형 사회성 측정의 전산프로그램이 사용되었으며, 나머지 2가지 하위유형 분류는 실험조건에 따라 분류되었다. 종속변인은 2011학년도 1학기 중간학력평가 교과군별 점수였다. 성별과 지위유형에 따라 인문군(국어와 사회)과 자연군(수학과 과학)의 평균치가 비교되었다. 이때의 준거집단은 평범아동 집단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 남자아동의 경우, 인문군과 자연군에서 모두 무시된아동의 성적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양면성아동이 인문군과 자연군에서 모두 가장 낮은 성적을 보였다. 여자아동의 경우에는 인문군과 자연군에서 모두 인기, 무시, 양면성아동이 유사한 범위에서 가장 높은 성적을 보였으며, 배척아동이 인문군과 자연군에서 모두 가장 낮은 성적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학업성취도는 초등학생의 사회적지위 유형과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관계지향적 학습형태를 지향하는 오늘날의 교육과정에 대한 흐름을 고려해 볼 때, 초등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한 사회적관계의 연구에 대한 필요성이 시사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