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강봉규.박성혜(2010). 새로운 교육평가. 서울:태성출판사.
- 권대훈(2005). 교육평가. 서울: 학지사.
- 권대훈(2008). 교육평가. 서울: 학지사.
- 김명랑 외(2005). 프로그램학습성과 달성을 위한 평가도구 연구: part 2 학생 포트폴리오. 공학교육연구, 8(4): 64-71.
- 김석우(2009). 교육평가의 이해. 서울: 학지사.
- 김영천(2007). 현장 교사를 위한 교육평가. 서울: 문음사.
- 김찬종 ․ 김혜정(1998). 초등학교 자연과 포트폴리오 평가의 구성요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2): 233-243.
- 나일주 ․ 정현미(2001). 웹기반 가상교육 프로그램 설계를 위한 활동모형 개발. 교육공학연구, 17(2): 27-52.
- 박경선(2010). 교수-학습의 도입 활동을 위한 맥락설계 원리 및 모형 개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박선희(2007). 활동이론 기반의 유아 대상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실행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박은혜(1999). 유아교사를 위한 포트폴리오. 서울: 한국어린이육영회.
- 백순근(2004). 학위논문 작성을 위한 교육연구 및 통계분석. 서울: 교육과학사.
- 성태제(2005). 타당도와 신뢰도. 서울: 학지사.
- 신선경(2009). 자기 설명력을 갖춘 공학인 양성을 위한 학생 포트폴리오. 공학교육, 16(1): 13-14.
- 이명숙(1997). 수행평가: 포트폴리오의 활용. 연구월보.
- 이영석 ․ 이정화(2000). 영역별 포트폴리오 평가방법의 적용 원리와 실제. 서울: 교육과학사.
- 이영우(2011). 제 5회 학생포트폴리오 경진대회. 제 29회 공학교육인증포럼 자료집, 50-63.
- 이제경(2009). 학생 포트폴리오의 의미와 필요성. 공학교육, 16 (1): 19-22.
- 장정아(2005). 온라인 문제기반학습 설계모형 개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진성희(2009). 구조 이해 및 내용 이해 증진을 위한 디지털텍스트의 시각적 변형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한송엽 ․ 이명식(2005). 공학교육지원 학생 포트폴리오 관리프로그램의 개발. 공학교육연구, 8(4): 20-30.
- 한중근(2009). 공학교육발전 방향 포럼: 학생포트폴리오의 의의 및 포트폴리오 평가 방향. 공학교육연구포럼 자료집
- 한지영(2010). 경진대회 수상자를 통한 학생포트폴리오 작성 경험의 의미. 공학교육연구, 13(1): 70-77.
- Artwood, P. M. & Slater, T. F.(1997). Effectiveness and management of portfolio assessment in high-enrollment courses.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45: 238-242. https://doi.org/10.5408/1089-9995-45.3.238
- Barrett, H. C.(2001). Electronic portfolios. Retrieved August 1, 2011, from http://electronicportfolios.com/portfolios/en cyclopediaentry.htm.
- Grant, J. S. & Davis, L. L.(1997). Selection and Use of Content Experts for Instrument Development.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0: 269-274. https://doi.org/10.1002/(SICI)1098-240X(199706)20:3<269::AID-NUR9>3.0.CO;2-G
- Hart, D.(1994). Authentic assessment: A handbook for educators. Addison-Wesley: Menlo Park, CA, USA.
- Knight, P.(1992). How I use portfolio in mathematics. Educational Leadership, 71-72.
- Linn, R. L., & Grolund, N. E.(2000). Measurement and assessment in teaching(8th ed.). Upper Saddle River, NJ: Merrill/Prentice Hall.
- Lynn, M.(1986).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Nursing Research, 35: 218-232.
- Rubio, D. M. et al.(2003). Objectifying Content Validity: Conducting a Content Validity Study in Social Work Research. Social Work Research, 27(2): 94-104. https://doi.org/10.1093/swr/27.2.94
- Weldin, D. J. & Tumarkin, S. R.(1998). Parent involvement: More power in the portfolio process. Childhood Education, 90-95.
- Worthen, B. R., Borg, W., & White, E. R.(1993).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the schools. NY: Longm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