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 포트폴리오 경진대회 심사를 위한 평가준거 개발 사례연구

Case Study of Developing Evaluation Criteria for Students' Portfolios

  • 박경선 (단국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 Park, Kyung-Sun (Center for Innovative Engineering Education, Dankook University)
  • 투고 : 2011.08.17
  • 심사 : 2012.07.11
  • 발행 : 2012.07.31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valuation criteria for students' portfolios in an annual intramural contest. To accomplish the purpose, evaluation categories and their questions were developed after previous literature, ABEEK's evaluation guidelines, and eight Universities' evaluation forms were analyzed. Furthermore, experts' validity tests were completed by showing that the evaluation criteria form was validated with a mean score of 4.24. Also, the inter-rater reliability was turned out with a high score of .86. The interview results by evaluators of students' portfolios made the final version of evaluation criteria form include five evaluation criteria categories and their allotted score portions: overall organization(40), personal information(15), certificates and awards(5), curriculum(15), and extra-curriculum(15). The importance of overall organization was discussed from the perspectives of teachers as well as student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봉규.박성혜(2010). 새로운 교육평가. 서울:태성출판사.
  2. 권대훈(2005). 교육평가. 서울: 학지사.
  3. 권대훈(2008). 교육평가. 서울: 학지사.
  4. 김명랑 외(2005). 프로그램학습성과 달성을 위한 평가도구 연구: part 2 학생 포트폴리오. 공학교육연구, 8(4): 64-71.
  5. 김석우(2009). 교육평가의 이해. 서울: 학지사.
  6. 김영천(2007). 현장 교사를 위한 교육평가. 서울: 문음사.
  7. 김찬종 ․ 김혜정(1998). 초등학교 자연과 포트폴리오 평가의 구성요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2): 233-243.
  8. 나일주 ․ 정현미(2001). 웹기반 가상교육 프로그램 설계를 위한 활동모형 개발. 교육공학연구, 17(2): 27-52.
  9. 박경선(2010). 교수-학습의 도입 활동을 위한 맥락설계 원리 및 모형 개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0. 박선희(2007). 활동이론 기반의 유아 대상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실행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 박은혜(1999). 유아교사를 위한 포트폴리오. 서울: 한국어린이육영회.
  12. 백순근(2004). 학위논문 작성을 위한 교육연구 및 통계분석. 서울: 교육과학사.
  13. 성태제(2005). 타당도와 신뢰도. 서울: 학지사.
  14. 신선경(2009). 자기 설명력을 갖춘 공학인 양성을 위한 학생 포트폴리오. 공학교육, 16(1): 13-14.
  15. 이명숙(1997). 수행평가: 포트폴리오의 활용. 연구월보.
  16. 이영석 ․ 이정화(2000). 영역별 포트폴리오 평가방법의 적용 원리와 실제. 서울: 교육과학사.
  17. 이영우(2011). 제 5회 학생포트폴리오 경진대회. 제 29회 공학교육인증포럼 자료집, 50-63.
  18. 이제경(2009). 학생 포트폴리오의 의미와 필요성. 공학교육, 16 (1): 19-22.
  19. 장정아(2005). 온라인 문제기반학습 설계모형 개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 진성희(2009). 구조 이해 및 내용 이해 증진을 위한 디지털텍스트의 시각적 변형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1. 한송엽 ․ 이명식(2005). 공학교육지원 학생 포트폴리오 관리프로그램의 개발. 공학교육연구, 8(4): 20-30.
  22. 한중근(2009). 공학교육발전 방향 포럼: 학생포트폴리오의 의의 및 포트폴리오 평가 방향. 공학교육연구포럼 자료집
  23. 한지영(2010). 경진대회 수상자를 통한 학생포트폴리오 작성 경험의 의미. 공학교육연구, 13(1): 70-77.
  24. Artwood, P. M. & Slater, T. F.(1997). Effectiveness and management of portfolio assessment in high-enrollment courses.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45: 238-242. https://doi.org/10.5408/1089-9995-45.3.238
  25. Barrett, H. C.(2001). Electronic portfolios. Retrieved August 1, 2011, from http://electronicportfolios.com/portfolios/en cyclopediaentry.htm.
  26. Grant, J. S. & Davis, L. L.(1997). Selection and Use of Content Experts for Instrument Development.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0: 269-274. https://doi.org/10.1002/(SICI)1098-240X(199706)20:3<269::AID-NUR9>3.0.CO;2-G
  27. Hart, D.(1994). Authentic assessment: A handbook for educators. Addison-Wesley: Menlo Park, CA, USA.
  28. Knight, P.(1992). How I use portfolio in mathematics. Educational Leadership, 71-72.
  29. Linn, R. L., & Grolund, N. E.(2000). Measurement and assessment in teaching(8th ed.). Upper Saddle River, NJ: Merrill/Prentice Hall.
  30. Lynn, M.(1986).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Nursing Research, 35: 218-232.
  31. Rubio, D. M. et al.(2003). Objectifying Content Validity: Conducting a Content Validity Study in Social Work Research. Social Work Research, 27(2): 94-104. https://doi.org/10.1093/swr/27.2.94
  32. Weldin, D. J. & Tumarkin, S. R.(1998). Parent involvement: More power in the portfolio process. Childhood Education, 90-95.
  33. Worthen, B. R., Borg, W., & White, E. R.(1993).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the schools. NY: Longm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