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출산결과 및 영아사망에 미치는 영향: 2000년대 초반과 후반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Parental Socioeconomic Position on the Association between Birth Outcomes and Infant Mortality in Korea: Focusing on Early and Late 2000's

  • 투고 : 2012.02.02
  • 심사 : 2012.04.23
  • 발행 : 2012.04.30

초록

본 연구는 2000년 초반과 후반 우리나라의 출산결과와 영아사망에 대한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의 영향력 변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통계청의 2001-2003년(T1), 2006-2008년(T2) 출생통계와 사망원인통계가 연계된 자료를 활용하였다. 출산결과는 정상아, 부당경량아, 부당중량아, 자궁내발육부전으로 분류하였으며, 영아사망은 생후 1년 이내 사망으로 정의하였다. 자료의 제약으로 인해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학력과 직종으로 국한하였다. 분석결과, 불량한 출산결과인 부당경량아와 자궁내발육부전 출생아의 영아사망 위험은 T1 보다 T2에 상대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는 미숙아(재태연령 37주 미만), 저체중아(출생 시 체중 2,500g 미만) 중에서도 더 빨리, 더 작게 태어나는 출생아가 최근 증가함으로써 인구의 질이 더욱 악화되었음을 의미한다. 게다가 T1 대비 T2의 영아사망에 대한 모 연령이 지닌 영향력은 사라진 대신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지닌 영향력은 증가하여, 궁극적으로 사회계층 간 영아사망 불평등이 심화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출산결과와 영아사망의 격차가 향후 어떻게 전개될지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arental socioeconomic position on the association between birth outcomes and infant mortality in early and late 2000's. Linked Birth and Infant Death data sets from 2001 to 2003 (T1) and from 2006 to 2008 (T2), provided by the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were used for analysis. Birth outcomes were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normal term, small-for-gestational age (SGA), large-for-gestational age (LGA) and intrauterine growth retardation (IUGR). Infant death was defined as the death of a live-born child under one year of age; indicators of parental socioeconomic position were limited to parental education and occup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2 infant mortality hazard ratios of SGA and IUGR have increased compared to T1. Particularly, preterm and low birth weight babies with shorter gestational age and lighter birth weight than T1 have elevated in T2, possibly indicating that population quality might be continuously aggravated. Moreover, the effect of maternal age on infant mortality has disappeared, rather that of parents' socioeconomic position has increased during the periods, which entailed growing disparities in infant mortality by their social class. Further studies should be therefore done to estimate the effect of parental socioeconomic posi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irth outcomes and infant mortality in the near futur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