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20세기 후반 한국 여성 스타의 얼굴 이미지와 패션을 통해 본 이상적 여성미의 변천

Chronological Changes of Women's Ideal Beauty through Facial Image and Fashion of Korean Actress in the Late Twentieth Century

  • 백경진 (연세대학교 생활디자인학과) ;
  • 한소원 (연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 김영인 (연세대학교 생활디자인학과)
  • Baek, Kyoung-Jin (Dept. of Human Environment & Design, Yonsei University) ;
  • Hahn, So-Won (Dept. of Human Environment & Design, Yonsei University) ;
  • Kim, Young-In (Dept. of Human Environment & Design, Yonsei University)
  • 투고 : 2012.01.02
  • 심사 : 2012.04.08
  • 발행 : 2012.08.31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ntemplate chronological changes of Korean actress facial image and fashion from 1960s to 1990s and to identify Korean women's ideal beauty reflected through the times. Adjectives describing representative actresses of each studied decade were collected from major newspapers and magazines. Korean women's ideal beauty was divided into 4 sub-types such as youthful, pure, sophisticate, and sexy images. As a result of analyzing actress facial image and fashion, youthful and pure beauties were found consistently over the studied periods.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s of sophisticate and sexy beauties have been changed over the studied periods which were influenced by socio-cultural environment factor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can provide meaningful sources for historical drama, celebrity marketing strategy planning, and personal image consulting.

키워드

참고문헌

  1. 이관이, 이경희 (2003), 여성잡지를 통해본 이상적인 여성미 연구 -80년대, 90년대 기사를 중심으로-, 복식, 53(8), p. 66.
  2. 김용미 (2000), 해방이후 한국 화장 문화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나윤영 (2002), 한국 여성의 헤어스타일 변천에 관한 연구: 1900년대부터 1990년대를 중심으로, 호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지영 (2002), 한국 여성의 토탈 패션에 관한 연구: 1900년 이후 메이크업, 헤어, 의복을 중심으로,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오순숙, 김순녀 (2008), 1960년대 한국 여성의 헤어스타일 분석, 한국메이크업디자인학회지, 4(1), pp. 51-58.
  6. 박선영 (2009), 향장에 나타난 연도별 메이크업 이미지 변천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영희, 박혜원 (2008), 1970년대 한국 여성의 사회적 이미지와 메이크업 특성 연구, 패션비지니스, 12(4), pp. 99-113.
  8. 이하나 (2010), 1970년대 한국의 이상적 여성상과 패션,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정소영 (2004), 헐리우드 스타의 패션 아이콘 -1930년대-1950년대 여성스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김성윤 (2008), 감성세대 여성아이콘의 이미지 스타일: 미국 미디어를 리드한 여성스타 8인에 대한 사례연구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강정민 (2007), 한국 대중문화에 표현된 스타 패션이미지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강연진 (2008), 대중문화의 뷰티아이콘 연구: 2000년대 국내뷰티아이콘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이상희 (1982), 다양성과 주체성의 문화적 조화, 정신문화연구, 13, p. 53.
  14. 김희숙 (2000), 20세기 한국과 서양의 여성 화장문화 비교연구, 복식, 50(1), pp. 85-96.
  15. 김순심 (1991), 우리나라 복식현상에 관한 연구, 복식, 16, pp. 141-148.
  16. 김종원, 정중헌 (2001), 우리영화 100년, 서울: 현암사. p. 259.
  17. "'유행 30년' YWCA 여성변천사 강연" (1975. 7. 17), 조선일보, p. 5.
  18. 이승연 (2006), 한국영화로 보는 시대별 메이크업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김희숙 (2000), 20세기 한국과 서양의 여성 화장문화 비교연구, 복식, 50(1), p. 95.
  20. "경기는 대구에서 비롯된다" (1978. 4. 27), 조선일보, p. 2.
  21. 고부자 (2001), 우리생활 100년 옷, 서울: 현암사, p. 256.
  22. 간문자 (2001), 해방 이후 서울의 패션 풍속에 관한 연구, 호남대학교 학술논문집, 22(2), pp. 744-745.
  23. "가을의 뉴모드" (1971. 9.01), 조선일보, p. 7.
  24. "'유행 30년' YWCA 여성변천사 강연", 조선일보, p. 5.
  25. "'아름다워지는 계절' 올봄의 의상" (1976. 2. 19), 경향신문, p. 4.
  26. 김경순 외 (2000), Make-up II, 서울: 청구문화사, p. 43.
  27. 김영인 (2004), 한국여성의 색조화장, 서울: 도서출판 국제, pp. 28-29.
  28. 신혜순 (2008), 한국패션 100년, 서울: 미술문화, p. 98.
  29. 전경옥 외 (2006), 한국여성문화사3, 서울: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 여성연구소, p. 226.
  30. 고부자 (2001), 우리생활 100년 옷, 서울: 현암사, p. 291.
  31. "핑크 봄의 빛깔은 하나일까" (1984. 2), 여성동아
  32. 김용미 (2000), 해방이후 한국 화장 문화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8.
  33. "여성들 'IMF패션'은 바지정장" (1998. 4. 2), 동아일보, p. 2.
  34. "다크컬러로 차분한 가을 분위기 연출" (1998. 9), 여성동아, p. 196.
  35. 김용미 (2000), 해방이후 한국 화장 문화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79.
  36. 김영희, 박혜원 (2008), 1970년대 한국 여성의 사회적 이미지와 메이크업 특성 연구, 패션비지니스, 12(4), pp. 111-112.
  37. 이관이, 이경희 (2003), 여성잡지를 통해본 이상적인 여성미 연구 -80년대, 90년대 기사를 중심으로-, 복식, 53(8), p. 78.
  38. 강정민 (2007), 한국 대중문화에 표현된 스타 패션이미지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