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얼굴 이미지

Search Result 473,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Affective conceptual components of facial beauty (아름다운 얼굴의 감성적 구성 개념)

  • 김한경;박수진;정찬섭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2.05a
    • /
    • pp.342-347
    • /
    • 2002
  • 한국인 20대 여성 얼굴을 대표하는 30개 얼굴의 감성 형용사 평정을 통해 아름다운 얼굴의 감성 특징을 파악하였다. 얼굴 감성을 나타내는 14개 형용사 평정에 대해 주성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얼굴 감성은 샤프 요인과 소프트 요인으로 나뉘며, 사람들이 소프트한 느낌보다 샤프한 느낌을 지닌 얼굴을 더 아름답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름다운 얼굴의 감성 특징 검증을 위해 얼굴 합성법을 이용하여 합성한 이미지에 대해 얼굴 미모와 감성 형용사 평정을 실시하였다. '상위 평균' 이미지는 '전체 평균' 이미지보다, 전체 평균과 상위 평균의 얼굴 특징 차이를 50% 과장한 '상위+50' 이미지는 '상위 평균' 이미지보다 유의미하게 더 아름다운 것으로 평정되었다. 합성 얼굴의 감성 평정 결과 '전체 평균' 이미지는 소프트 감성에서 높은 평정을 받았으며, '상위 평균' 이미지는 샤프 감성, '상위150'이미지는 두 감성 요인을 모두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샤프 혹은 소프트 중 하나의 감성 요인이 두드러진 얼굴보다 두 가지 감성 요인 모두에서 높은 평정을 받은 얼굴을 더욱 아름답다고 지각하는 것을 암시한다.

  • PDF

Face Segmentation Using Mosaic (모자이크를 이용한 얼굴 영역의 추출)

  • 이승훈;이필규
    • Proceedings of the Korea Database Society Conference
    • /
    • 1995.12a
    • /
    • pp.197-202
    • /
    • 1995
  • 본 논문에서는 조명, 얼굴 개수 및 얼굴의 크기에 제한 받지 않고 복잡한 배경에서 얼굴 영역을 추출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 알고리즘은 3단계로 구성된다. 첫번째 단계는 입력 영상의 평균 그레이값을 계산하고 그 값이 임계치보다 작다면 히스토그램 균일화 작업을 수행한다. 두번째 단계에서는 입력 영상의 모자이크 이미지를 만들고 이 이미지에 대해 확장된 quartet을 만들고 실험을 통해 얻어진 규칙을 적용하여 대략적으로 얼굴의 후보 영역들을 추출한다. 이 작업은 모자이크 이미지를 구성하는 셀의 크기를 변화시킬 때마다 적용한다. 세번째 단계에서는 추출된 얼굴 후보 영역에 대해 Octet을 만들고 이 octet에 규칙을 적용하여 후보 영역에 대한 검증 작업을 수행한다. 세번째 과정에서 만들어진 모자이크 이미지는 두 번째 과정에서 얻어진 이미지보다 더 세밀하게 얼굴의 특징들을 표현하고 검증한다.

  • PDF

Multi-attribute Face Editing using Facial Masks (얼굴 마스크 정보를 활용한 다중 속성 얼굴 편집)

  • Ambardi, Laudwika;Park, In Kyu;Hong, Sungeun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27 no.5
    • /
    • pp.619-628
    • /
    • 2022
  • Although face recognition and face generation have been growing in popularity, the privacy issues of using facial images in the wild have been a concurrent topic. In this paper, we propose a face editing network that can reduce privacy issues by generating face images with various properties from a small number of real face images and facial mask information. Unlike the existing methods of learning face attributes using a lot of real face images, the proposed method generates new facial images using a facial segmentation mask and texture images from five parts as styles. The images are then trained with our network to learn the styles and locations of each reference image. Once the proposed framework is trained, we can generate various face images using only a small number of real face images and segmentation information. In our extensive experiments, we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not only generate new faces, but also localize facial attribute editing, despite using very few real face images.

An Implementation on The Facial Character Drawing System Using Control Points (통제점 조절 방식의 얼굴 캐릭터 제작 시스템에 관한 연구)

  • 정연준;김용진;이현주;조윤석;조창석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148-152
    • /
    • 2001
  • 본 논문은 이미지 조합형 캐릭터 생성 방법이 아닌 통제점 조절을 통한 얼굴 캐릭터 생성에 관한 것으로, 캐릭터로 표현 하고자 하는 얼굴 이미지를 바탕으로 얼굴외곽, 눈, 코, 입, 귀, 눈썹 형태에 맞추어 통제점을 조정하고, 통제점에 의해 조절되는 스플라인 곡선으로 얼굴 이미지를 단순화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캐릭터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얼굴이외의 헤어스타일과 몸, 기타 악세사리는 샘플 이미지 조합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 PDF

Individual 3D facial avatar synthesis using elastic matching of facial mesh and image (얼굴 메쉬와 이미지의 동적 매칭을 이용한 개인 아바타의 3차원 얼굴 합성)

  • 강명진;김창헌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c
    • /
    • pp.600-602
    • /
    • 1998
  • 본 논문은 정면과 측면 얼굴 이미지의 특성을 살린 3차원 개인 아바타 합성에 관한 연구이다. 표준 얼굴 메쉬를 얼굴 이미지의 특징점에 맞추려는 힘을 특징점 이외의 점들까지의 거리에 대한 가우스 분포를 따라 부드럽게 전달시켜 매쉬를 탄성있게 변형하는 힘으로 작용시켜 메쉬를 얼굴 이미지의 윤곽선을 중심으로 매칭시키고, 매칭된 메쉬가 매칭 이전의 메쉬의 기하학적 특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메쉬에 동적 피부 모델을 적용한다. 이렇게 생성한 3차원 메쉬에 이미지를 텍스춰 매핑하여 개인 특성을 살린 3차원 개인 아바타를 생성한다.

  • PDF

Face Recognition using Image Super-Resolution (이미지 초해상화를 이용한 얼굴 인식)

  • Park, Junyoung;Cho, Nam 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2.11a
    • /
    • pp.85-87
    • /
    • 2022
  • 최근 CCTV 출입 기록, 휴대폰 보안, 스마트 매장 등에서 얼굴 인식을 통해 개인을 식별하는 기술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카메라의 각도, 조명, 사람의 움직임 등 얼굴 인식에 많은 외부 환경이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그중에서도 실제 영상에서 얼굴이 차지하는 영역이 작아 저해상도 얼굴 인식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논문에서는 이미지 해상도가 얼굴 인식에 끼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미지 초해상화를 통해 얼굴 인식 성능을 개선하고자 한다. 쌍선형, 양3차 회선 보간법과 딥러닝 기반의 이미지 초해상화 모델인 RCAN을 이용하여 업스케일링한 데이터셋에 대해 학습한 ArcFace를 통해 얼굴 검증 평가를 진행하였다. 고해상도 이미지는 얼굴 인식 성능을 향상시키며, RCAN을 사용한 이미지 초해상화가 보간법을 사용한 방법보다 더 좋은 성능을 보였다.

  • PDF

Face Detection System Based on Candidate Extraction through Segmentation of Skin Area and Partial Face Classifier (피부색 영역의 분할을 통한 후보 검출과 부분 얼굴 분류기에 기반을 둔 얼굴 검출 시스템)

  • Kim, Sung-Hoon;Lee, Hyon-Soo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CI
    • /
    • v.47 no.2
    • /
    • pp.11-20
    • /
    • 2010
  • In this paper we propose a face detection system which consists of a method of face candidate extraction using skin color and a method of face verification using the feature of facial structure. Firstly, the proposed extraction method of face candidate uses the image segmentation and merging algorithm in the regions of skin color and the neighboring regions of skin color. These two algorithms make it possible to select the face candidates from the variety of faces in the image with complicated backgrounds. Secondly, by using the partial face classifier, the proposed face validation method verifies the feature of face structure and then classifies face and non-face. This classifier uses face images only in the learning process and does not consider non-face images in order to use less number of training images. In the experimental, the proposed method of face candidate extraction can find more 9.55% faces on average as face candidates than other methods. Also in the experiment of face and non-face classification, the proposed face validation method obtains the face classification rate on the average 4.97% higher than other face/non-face classifiers when the non-face classification rate is about 99%.

Generation of Masked Face Image Using Deep Convolutional Autoencoder (컨볼루션 오토인코더를 이용한 마스크 착용 얼굴 이미지 생성)

  • Lee, Seung H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6 no.8
    • /
    • pp.1136-1141
    • /
    • 2022
  • Researches of face recognition on masked faces have been increasingly important due to the COVID-19 pandemic. To realize a stable and practical recognition performance, large amount of facial image data should be acquired for the purpose of training. However, it is difficult for the researchers to obtain masked face images for each human subject. This paper proposes a novel method to synthesize a face image and a virtual mask pattern. In this method, a pair of masked face image and unmasked face image, that are from a single human subject, is fed into a convolutional autoencoder as training data. This allows learning the geometric relationship between face and mask. In the inference step, for a unseen face image, the learned convolutional autoencoder generates a synthetic face image with a mask pattern. The proposed method is able to rapidly generate realistic masked face images. Also, it could be practical when compared to methods which rely on facial feature point detection.

De-Identified Face Image Generation within Face Verification for Privacy Protection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얼굴 인증이 가능한 비식별화 얼굴 이미지 생성 연구)

  • Jung-jae Lee;Hyun-sik Na;To-min Ok;Dae-seon Choi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33 no.2
    • /
    • pp.201-210
    • /
    • 2023
  • Deep learning-based face verificattion model show high performance and are used in many fields, but there is a possibility the user's face image may be leaked in the process of inputting the face image to the model. Althoughde-identification technology exists as a method for minimizing the exposure of face features, there is a problemin that verification performance decreases when the existing technology is applied. In this paper, after combining the face features of other person, a de-identified face image is created through StyleGAN. In addition, we propose a method of optimizingthe combining ratio of features according to the face verification model using HopSkipJumpAttack. We visualize the images generated by the proposed method to check the de-identification performance, and evaluate the ability to maintain the performance of the face verification model through experiments. That is, face verification can be performed using the de-identified image generated through the proposed method, and leakage of face personal information can be prevented.

The affective components of facial beauty (아름다운 얼굴의 감성적 특징)

  • 김한경;박수진;정찬섭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7 no.1
    • /
    • pp.23-28
    • /
    • 2004
  • In this paper, we investigated the affective components of facial beauty. In study 1, we did factor analysis of affective evaluations of the faces, and about 65% of the variances are explained by only two factors. Two factors were named 'sharp' and 'soft', respectively. In study 2, the correlation between facial beauty and affective evaluations was analyzed, and the correlation between facial beauty and sharp factor was significant. In study 3, we made the new images by morphing and warping the faces: 'average', 'high-ranked', and 'exaggerated'. The participants evaluated the 'high-ranked' face more beautiful than the 'average' face, and the 'exaggerated' face more beautiful than the 'high-ranked' face. The rating of affective words on the faces showed that the 'average' face was related to 'soft' impression, the 'high-ranked' image to 'sharp' impression, and the 'exaggerated' face might have double impression. These results might support the directional hypothesis for the facial beau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