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Criticism of Korean Social Welfare Studies in the Early Formative Period -focused on the First Generation's Introductory Texts and the Perspective of Historicism-

한국 사회복지학 비평 -형성 초기 1세대의 개론서와 역사주의 관점 중심으로-

  • Received : 2012.05.20
  • Accepted : 2012.07.09
  • Published : 2012.08.31

Abstract

This study has aimed to observe the starting point of Korean social welfare studies with the perspective of historicism. Basically, this study has focused on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 by what kind of influences and contents had been built Korean social welfare studies in the early days? The collected data from introductory texts which had been written by the first generation of Korean social welfare studies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framework as follows; 1) historical summary of the texts, 2) individual historical disposition of the writers, 3) historical application of the principle terms, and 4) historical context of the contents for social welfare studies. As results, some issues related with the formation of Korean social welfare studies are stressed as follows; 1) data collecting from the first generation of the researchers and writers for recovering the introductory texts, 2) study of the influences of christianity, 3) study on the influences of aid agencies from oversees, 4)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mixed with American and Japanese social welfare studies, and 5) study on the examination of developing process of Korean social welfare studies afterward. Finally, the limit of this study that the individual history of writers could not cope detailed and deeply is mentioned.

이 연구는 "초기 한국 사회복지학은 어떤 영향을 받아 무슨 내용으로 형성되었는가?"라는 연구주제를 역사주의(historicism) 관점에서 파악하여 한국 사회복지학의 출발점을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1세대 연구자가 저술한 개론서 세권을 기본 자료 삼아, 1) 원본의 역사적 개요, 2) 연구자의 개인사적 성향, 3) 주요 용어의 역사적 적용, 4) 사회복지학 내용의 역사적 맥락과 같은 틀을 만들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국 사회복지학 형성과 관련하여, 1) 개론서 내용을 만회하기 위해 생존하고 있는 1세대 연구자로부터의 자료수집, 2) 기독교의 영향에 관한 연구, 3) 외국 원조 기관의 영향에 관한 연구, 4) 미국과 일본 사회복지학의 영향에 관한 연구, 5) 초기 이후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규명하는 연구 들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아울러 각 저술과 연구자 개인사에 관한 연구를 더욱 상세하고 충실히 진행하지 못한 점을 이 연구의 한계로 꼽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