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lative Influence of Related Variables on the Civic Consciousness of University Students

대학생의 민주시민 의식에 대한 관련 변인의 상대적 영향력

  • Received : 2012.04.23
  • Accepted : 2012.06.20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relative influence of related variables on the university students' civic consciousness. The study sorted out the data for 1,200 university students from a larger data set collected by Son et al.(2009), and analyzed the data by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method. The study showed the major results in four aspects. First,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home environment variables had mostly no influence on the students' civic consciousness. Second, on the sub categories of the students' civic consciousness, almost no influence was found in case of the home environment variables on democratic constitution and participation-practice, and in case of the school environment variables on value and attitude. Third, among the home and school variables, parents' attitude(${\beta}$=.228) and professors(${\beta}$=.162) had positive influences on the students' civic consciousness. The results suggest that parents and professors should be the two principal axises in the cultivating process of the students' civic consciousness. Third, on the democratic participation and practice no positive influences were found in any of the social environment variables. Among the social environment variables, politicians(${\beta}$=-.238) and corporations(${\beta}$=-.097) had rather negative influences on the democratic participation and practice. These results raised the question on how school education and social political systems are operated in the democratic manners. Fourth, the study recommends that local government would establish the civic education centers, develop various civic education programs, and provide each school with the programs. The study also recommends that each university would democratize in all the school affairs, and actively implement the civic educ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as a specialized project.

본 연구는 민주시민 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역학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대학생의 민주시민 의식에 대한 관련 변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손경애 외(2009)의 설문자료에서 대학생 1,200명에 해당하는 부분을 발췌하여 단계적회귀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발견된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특성과 가정환경 변인들은 대학생의 민주시민 의식에 대체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민주시민 의식 하위요인에 대해서는 가정환경은 대체로 민주주의 제도와 참여 실천에, 학교환경은 대체로 가치 태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정환경과 학교환경 변인들 중에서 부모의 태도(${\beta}$=.228)와 교수(${\beta}$=.162)가 민주시민 의식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민주시민 의식 형성 과정에 있어서 부모와 교수가 두 축이 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셋째, 사회환경 변인들 중에서는 어느 변인도 민주주의 참여 실천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정치인과 기업은 오히려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우리나라 대학교육과 사회 정치 제도의 민주적 실천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다. 넷째, 본 연구는 지방정부 차원에서는 '민주시민 교육 센터'를 설립하고, 대학생용 민주시민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각 대학에 민주시민 교육프로그램을 지원할 것을 제안하였다. 대학차원에서는 학사운영을 민주적으로 실시하고, 특성화 프로그램으로 '민주시민 교육'을 적극적으로 실시할 것을 제안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