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Effect of Self Leadership on Goal Commitment :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셀프 리더십이 목표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자기 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 허갑수 (부산가톨릭대학교 경영학과) ;
  • 변상우 (부산대학교 교육인증지원센터)
  • Received : 2012.01.19
  • Accepted : 2012.03.10
  • Published : 2012.03.31

Abstract

This study is about self-leadership, which is leadership that we exercise over ourselves. In this study, I analyzed the effects of self-leadership on students' focusing on their goal commitments and self-efficacy's role as link between self-leadership and students' focusing on their goal commitments. In order to accomplish research purposes, I conducted a survey of 300 University students in Busan and carry out empirical study of 276 University students. As a result of analysis, I draw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Hypothesis1 is adopted because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self-leadership has positive effects on students' focusing their goal commitments. Second, Hypothesis2 is adopted because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self-leadership has positive effects on students' self-efficacy. Third, Hypothesis3 is adopted because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self-efficacy has positive effects on student's focusing on their goal commitments. Forth, I conducted Mediating regression to see if self-efficacy plays a mediator role between self-leadership and student's focusing on their commitments. And the results show that behavior-focused strategies, constructive thought pattern strategies and natural reward strategies have perfect mediating effects. This study shows the importance of building self-leadership for young generations to be effective leaders of themselves.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자신을 주도적으로 이끌어 나가기 위해서는 셀프 리더가 되어야 한다고 가정하고 셀프 리더십이 학생들의 목표몰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셀프 리더십이 목표몰입에 영향을 미치는데 자기 효능감이 매개역할을 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부산시내 재학 중인 대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276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셀프 리더십이 학생들의 목표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셀프 리더십은 학생들의 목표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어 가설1은 채택되었다. 둘째, 셀프 리더십은 학생들의 자기 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어 가설2는 채택되었다. 셋째, 자기 효능감이 학생들의 목표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자기 효능감은 목표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어 가설3은 채택되었다. 넷째, 셀프리더십이 학생들의 목표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자기 효능감이 매개역할 여부를 검증하기 위해 3단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검증한 결과 행위중심적 전략, 건설적 사고전략, 자연적 보상전략은 모두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