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대규모 단층특성을 고려한 최적 댐위치 및 형식 선정

A Study on Optimization for Location and type of Dam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 of Large Fault

  • 김한중 (한국수자원공사 보현산댐건설단) ;
  • 유영권 (한국수자원공사 조사기획처) ;
  • 김영근 (서울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
  • 임희대 (충남대학교 토목공학과)
  • 투고 : 2012.08.03
  • 심사 : 2012.08.23
  • 발행 : 2012.08.31

초록

영주다목적댐은 낙동강 중 하류 갈수기 하천유지용수 확보와 낙동강 본류 및 내성천 연안지역의 홍수재해 방어, 경북북부지역의 안정적인 용수공급을 위하여 계획되었다. 일반적으로 댐설계시 단층은 댐 안정성에 있어 매우 중요한 리스크 요소이므로, 단층의 공학적 특성은 반드시 고려되어야만 한다. 본 댐의 경우 지반조사결과 댐하부에 대규모의 단층대가 확인됨에 따라 댐의 장기적인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댐위치 및 댐형식에 대한 보다 공학적인 검토가 요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노두와 시추조사시 확인된 대규모 단층대가 확인됨에 따라 단층대의 공학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다양한 지질조사 및 현장시험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단층대 특성을 반영하여 단층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최적의 댐 위치를 선정하였으며, 단층대를 포함한 기초지반의 특성을 반영하여 좌안에는 콘크리트 중력식댐을 우안에는 콘크리트 차수벽형 석괴댐형식의 복합댐을 선정하였다. 또한 단층처리 및 기초지반 그라우팅을 실시하여 댐 구조물의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하였다.

Youngju multipurpose dam is planned to minimizing the damage by flood and obtaining the water for industrial use in Nakdong river region. Faults in rock mass have strong influences on the behaviors of dam structure. Thus, it is very important to analyse for the characteristics of fault rocks in dam design. However, due to the limitation of geotechnical investigation in design stages, engineers have to carry out the additional geological survey including directional boring to find the distribution of faults and the engineering properties of faults for stability of dam. Especially, the selection of location of dam and type of dam considering fault zone must be analyzed through various experimental and numerical analysis. In this study, various geological survey and field tests were carried out to analyse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rge fault zone through the complex dam is designed in foundation region. Also, the distribution of structural geology, the shape of faults and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fault rock were studied for the reasonable design of the location and type of dam for long-term stability of the complex dam.

키워드

참고문헌

  1. 이원관, 신용노(2010),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제43권 제11 호 통권 제208호, pp. 75-78.
  2. 송리원댐 다목적댐 타당성조사 보고서(2004), 건설교통부, 한국수자원공사.
  3. 김종계, 김만기(2007), 하천유지용수 증대방안과 댐의 역할- 송리원댐), 한국수자원학회 2007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4. 영주다목적댐 건설공사 기본설계보고서(2009), 한국수자원공사.
  5. 영주다목적댐 건설공사 지질조사보고서(2009), 한국수자원공사.
  6. 지반기술자를 위한 지질 및 암반공학 II(2011), 한국지반공학회 암반역학기술위원회.
  7. 김성욱, 최은경, 양태선(2011), 영주지역 압쇄암의 공학적 특성 연구,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Vol. 27, No. 10, pp. 35-43.
  8. 박동순, 김형수 (2006), 불리한 조건에서의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 설계 및 시공, 대한지질공학회지 제16권 제1호 pp. 97-107.
  9. 김훈, 정규정, 이왕곤, 장중렬(2003),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CFRD)의 거동해석, 한국지반공학회 2003년도 봄학술발표회 논문집.
  10. 하익수, 서민우, 정우성, 박한규(2006), 담수에 따른 CFRD 콘크리트 표면차수벽 거동, 2006년도 대한토목학회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11. Harding, T. P., Vierbuuchen, R. C. & Christie-Blick, N. (1985), Structural style, plate-tectonic settings, and hydrocarbon traps of divergent (transtensional) wrench faults. Strike-slip deformation, basin formation and sedimentation, Soc. Economic Paleo. & Mineral. 51-77.
  12. Robert J. Twiss and Eldridge M. Moores (1992), STRUCTURAL GEOLOGY. New York: W. H. Freeman. pp. 106.
  13. Ragan, D. M. (1985), Structural geology. an introduction of geometrical technique, Wiley, Chichester.
  14. Ramsay. J. G. & Huber, M. I. (1997), The techniques of modern structural geology. V1. Academic Press. London.
  15. Sibson, R. H. (1977), Fault rocks and fault mechanism. J. Geol. Soc. (Lond.), 133, 191-213. https://doi.org/10.1144/gsjgs.133.3.0191

피인용 문헌

  1. Robust Priority for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 with Incomplete Information Using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Analysis vol.7, pp.8, 2015, https://doi.org/10.3390/su708102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