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Improvement of Presidential Job Approval in the Poll Survey

대통령 국정수행 지지도 조사의 개선에 대한 연구

  • 배종찬 (고려대 대학원 행정학과, (주)리서치앤리서치 연구본부)
  • Received : 2011.12.16
  • Accepted : 2012.02.29
  • Published : 2012.03.30

Abstract

It is very vital for the presidential preference not only to be a political achievement of the president himself, but also to be an influential base of people-related policy and its implement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newly developing ideas to compose an appropriate question and to point out the present problems in the utilization of survey results. At first, it turned out to be inappropriate to make a question for evaluation of presidential job approval in the perspective of questionnaire planning. As the respondents were not informed of what the president did, so they were more likely not to know whether the president did well or not. Secondly, the correlation analysis has been made between the evaluation question of the presidential job approval and policy-related questions including the direct one for the presidential preference in the aspect of statistical analysis. Through this process, evaluation of the presidential job approval is not accountable and the direct question for the presidential preference is at best explainable. In conclusion, it seems more persuasive to compare the statistical outcome of the presidential preference which has been derived of to the high rating what the respondents think comprehensively not depending on a subjective decision by mass media.

대통령 지지도는 대통령 자신에 대한 정치적인 성취뿐만 아니라 국민과 관련된 정책 결정 및 추진에 있어 중요한 기준이 된다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대통령 지지도 측정 방식은 현실적인 체감적인 만족과는 상당한 격차를 느끼게 할 정도로 측정 자체에 많은 문제점을 보여 주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도를 측정하는 문항의 구성과 조사결과의 활용에 있어 현행 방식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새로운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첫째로 설문기획 측면에서 '대통령 국정수행'을 평가하는 성격의 설문구성은 부적절하다는 것을 도출할 수 있었다. '대통령으로서의 일'을 모르는 응답자들이 '잘하는지와 못하는지'를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보기 척도에서도 응답자의 응답가능성을 기초할 때 4점 척도의 보기 구성보다 5점 척도의 보기 구성이 타당함을 밝힐 수 있었다. 둘째로 통계분석 측면에서 대통령 국정수행 평가 문항(잘하는지와 못하는지를 응답하는 문항)과 정책관련 문항, 직접적으로 대통령에 대한 지지도를 물어보는 문항과의 상관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결국 대통령 국정수행 평가는 적절하지 않으며 대통령에 대해 직접적인 지지 여부를 물어보는 것이 가장 설명력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결과활용 측면에서 대통령의 지지도가 '높고 낮음'은 언론 매체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존할 것이 아니라 조사 자체의 응답자들을 대상으로 상대적으로 도출하여 대통령 지지도의 결과값과 비교하는 것이 더 설득력이 있다고 보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