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sic Research for Constituting the South Korean Society's Cultural Capital Topographic Map :Based on Culture and Art Activities and Music Genre

한국의 문화자본 지형도 구성을 위한 척도개발 기초연구: 문화예술 활동과 음악선호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2.02.13
  • Accepted : 2012.03.12
  • Published : 2012.03.30

Abstract

This research is a part of a fundamental research to form the topographic map of the South Korean society's cultural capital, based on large scale research data. Its purpose is to suggest suitable questions for today's Korean society as well as to compare with previous data accumulated from other nations. For this, this research is to establish theoretical background through critical study on the extensive literature on domestic and foreign cultural capital and collect measures, questionnaires, and data used in important literature and surveys. Based on this, the major domains and levels that should be dealt in the questionnaire were chosen,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for each field; experts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develop questions more suitable for the Korean society considering each domain and level, and qualitative research on the subjects were conducted. This research as seen through the above processes, music genres and culture activities were chosen as major domains, "high/popular" level and "consumption/production" level were chosen as items, and specific items were composed considering Korea's distinct characteristics. Each of these items combine and complement the three aspects of measuring cultural capital(preference, participation, perception), which have been used incoherently in previous researches in measuring the level of possession in cultural capital. This led to developing questions such as the level of liking each item(preference), the level of participating in each item(participation), the level of luxuriousness in each item(perception), and the level of stylishness in each item(perception). This research holds significance in that it critically examines the vast amount of questionnaires used in the past for cultural capital research, provides a large framework to find Korean cultural capital by adding items considering Korea's distinct characteristics, and provides groundwork to fill in the non-Western gap in the discussion of cultural capital, which has been based on the West.

본 연구는 대규모 조사 자료에 근거한 한국 사회의 문화자본 지형도를 구성하기 위한 기초 연구의 일환으로, 다른 국가들에서 집적된 기존 자료와의 비교가 가능하면서도 동시에 현재 한국 사회에 적합한 질문 문항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광범위한 국내의 문화자본 관련 문헌들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통해 이론적 배경을 확립하고, 주요 문헌과 조사에서 사용한 척도 및 관련 질문지와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를 토대로 질문지에서 다루어야 할 주요 영역과 차원을 선정하고 선정된 각 영역과 차원을 고려하여 한국 사회에 보다 적합한 질문 문항을 개발하기 위해 각 분야별 문헌조사와 전문가 조사, 그리고 대상자 질적 조사를 수행하였다. 이상의 절차를 통해 본 연구는, 문화예술 활동과 음악장르를 주요 영역으로 선정하고 문화의 '고급/대중' 차원과 '소비/생산' 차원, 그리고 한국적 특수성을 고려하여 구체적인 항목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이렇게 구성된 각 항목들에 대해서는 그 동안 문화자본의 보유 정도를 측정함에 있어 기존의 연구들에서 일관성 없이 사용된 문화자본 측정의 세 가지 측면(선호, 참여, 인지)을 통합 보완하여, 각 항목을 좋아하는 정도(선호), 각 항목에 참여하는 정도(참여), 그리고 각 항목이 고급스럽다고 생각하는 정도(인지)와 각 항목이 멋있다고 생각하는 정도(인지)를 묻는 질문 문항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문화자본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에서 사용된 방대한 양의 질문 문항들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이에 한국적 특수성을 고려한 항목들을 추가하여 보다 한국적인 문화자본을 찾아낼 수 있는 큰 틀을 마련하고, 이로써 그 동안 서구 중심적으로 진행되어 왔던 문화자본 논의에 있어서의 비서구적 공백을 메울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