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과학고 및 영재고 Research and Education (R&E) 운영실태 분석 및 활성화방안 제안: R&E 운영담당자 면담사례를 중심으로

Research and Education (R&E) Programs in the Science High Schools and Gifted High Schools: Based on the Interview Results with the R&E Coordinators

  • 투고 : 2012.05.10
  • 심사 : 2012.06.26
  • 발행 : 2012.06.30

초록

본 연구에서는 R&E 프로그램의 운영지원현황 및 실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R&E 운영단계를 준비-계획-실행-평가-종료 5단계로 구분하여 조사 및 분석이 이루어졌다. 총 18개 과학고와 3개 영재학교 R&E 운영담당자들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2010년 12월, 전수조사를 목적으로 각 학교에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R&E 운영담당자 21명(100%)이 설문에 응답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준비단계에서 학생의 R&E 수행지침은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으며, 운영을 위해 참고할 수 있는 자료도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계획 단계에서 지도자를 대상으로 윤리적인 문제, 참고자료, 학생배경 특성 등에 관한 안내가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으며, 학생들에게 지도자의 의무와 역할, 연구정보 및 업적 등에 대한 정보제공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세 번째, R&E 실행단계에서는 80%의 학교가 수행 점검을 실시하고 있었으나 세부적인 점검내용에 대한 기록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네 번째, 평가단계에서 산출결과의 평가기준은 모든 학교가 갖추고 있었으나, 수행 과정에 대한 평가기준은 약 절반의 학교만 가지고 있었고, 평가비율에 발표내용과 결과보고서 비율이 높게 나타나 평가가 '결과'에 많은 비중을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종료단계에 결과자료집은 100% 보관되고 있었으나 평가결과는 2/3 학교가, 그리고 지도교수 정보는 약 1/3의 학교만이 보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생관찰 내용 및 면담자료도 비교적 잘 보관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R&E 프로그램운영을 위한 운영개선 지원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R&E programs in gifted high schools/science high schools and to provide suggestions for the better program. The sample included 21 R&E coordinators in the gifted high schools and science high schools. They filled out the survey, asking about the R&E program; then, the researchers interviewed the coordinators based on the answers of the survey.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R&E guidelines and related materials were not enough to use. 2) At the planning step, students and the mentors received were provided a little information, such as ethical issues, students' information, the roles of mentors/ students, mentor's research interest areas and products, etc. 3) At the research step, 80% of the schools had the monitoring process but the details were not written and saved. 4) At the evaluation step, the rubric of the product evaluation existed; the rubric of performance process were established by half of the schools. 5) At the closing step, 100% of the schools had the final product materials;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and the information of the mentors were saved by 2/3 and 1/3 of the schools, respectively. Discussions and suggestions were included for the better R&E program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경대, 심재영 (2008). R&E 프로그램을 체험한 과학영재들의 사사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인식: KAIST 신입생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4), 282-290.
  2. 박종원 (2009). 과학영재를 위한 사사교육 준비와 유형에 대한 논의. 과학영재교육, 1(3), 1-19.
  3. 방승진, 최중오 (2010). 수학 학문적 창의성 신장을 위한 멘토십 프로그램 모형 개발. 영재교육연구, 20(1), 205-229.
  4. 백순근 (1999). 수행평가의 이론적 기초. 초등교과교육연구, 3, 26-49.
  5. 이광형, 편은진, 김영주, 한상준 (2007). 과학영재를 위한 e-mentoring 활성화방안.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연구보고서 2007-19.
  6. 정명화, 신경숙 (2004). 프로젝트 수업이 대학생의 창의적 사고, 창의적 성향 및 문제해결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교육심리연구, 18(3), 287-301.
  7. 최호성, 강호감, 서혜애, 박일영, 이혁우, 이진희, 박경희, 박지현 (2003). 연구와 교육(R&E) 프로그램을 통한 과학영재의 창의성 신장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재단 정책연구보고서 2002-5092.
  8. 편은진, 이선길, 오혜미, 이범진 (2008). 일반 과학고와 영재고등학교 R&E 실태 비교를 통한 지원 방안 특성화 연구. KAIST과학영재교육연구원 연구보고서 2008-40.
  9. Berger, S. L. (1990). Mentor relationships and gifted learners (Digest #E486).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321491).
  10. Coleman, L. J., & Cross, T. L. (2001). Being gifted in school: An introduction to development, guidance, and teaching. Waco, TX: Prufrock Press.
  11. Dunbar, K. (1997). How scientists think: On-line creativity and conceptual change in science. In T. B. Ward, S. M. Smith, & J. Vaid (Eds.). Creative Thought: An Investigation of Conceptual Structures and Processes (pp. 461-494). Washington, D. 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2. Haeger, W. W., & Feldhusen, J. F. (1989). Developing a mentor program. East Aurora, NY: D.O.K. Publishers.
  13. O'Neill, D. K., & Polman, J. L. (2004). Why educate "little scientists?" examining the potential of practice-based scientific literac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3), 234-266. https://doi.org/10.1002/tea.20001
  14. Siegle, D. (2005). Developing mentorship programs for gifted students. Waco, TX: Prufrock Press.
  15. Wiley, T. T. (2009). Elements of effective practice for mentoring (3rd Edition). Alecandria, Va: MetLife Foundation (http://www.mentoring.org/downloads/mentoring_1222.pdf).
  16. Wilson, J. E., & Elman, N. (1990). Organizational benefits of mentoring. Academy of Management Executive, 4(4), 88-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