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emiotic Study on Streetscape in Harbor - With A Special Reference to Gang-Gu Harbor of Young-Duk Gun -

항구 가로경관의 기호학적 분석 - 영덕군 강구항을 중심으로 -

  • Lee, Kwan-Hee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Daegu University) ;
  • Yun, Ju-Cheul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Daegu University)
  • Received : 2012.02.13
  • Accepted : 2012.05.31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This study is performed to light up the semiotic system of streetscape in the harbor on the basic concept of all cultural phenomena that could be described as a Semiotic System. The semiotic approach to landscape analysis was used for understanding landscape characteristics owing to implication of psychological process. Streets of the study were located at Ganguri and Opori on Gang-Gu Harbor and the signboard semiotics of streets were divided into 17 meanings according to the business category. The analysis of this category was applicable on semiotic meaning.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ain part of the business category was food. 56.3% of Ganguri and 61.8% of Opori had the name of food businesses. Second, the semiotic characteristics of Gang-Gu harbor streets mainly mean place name or friendly name. The food business could be related to the principal products of this district which are called Young-Duk Great Crab. Also, the place name could be from symbolic meaning of the crab and the friendly name could be connected with increasing the sales. Finally, the semiotic approach to landscape does not fully cover the streetscape but could be useful for understanding a skeleton of harbor streetscape.

본 연구는 문화현상을 기호의 체계로 설명할 수 있다는 기호론의 기본개념을 근거로 항구의 가로경관에 대한 특성을 밝히고자 한다. 항구경관의 인공적 요소들 중에서 가로경관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들을 문화현상을 전달하는 기호로 보았다. 기호학적 접근방식은 경관분석 과정에서 심리적 요인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경관의 물리적 특성을 이해하는데 주로 이용되었다. 연구대상지의 가로는 영덕군 강구항의 강구리와 오포리 가로이다. 가로의 간판 문자언어를 업종에 따라서는 17개의 업종으로, 의미론적으로는 13개의 의미로 분류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된 업종으로는 음식업이 강구리가 56.3%, 오포리는 61.8%를 차지하고 있었다. 둘째로, 강구항 가로의 기호론적 의미는 주로 지역의 장소를 뜻하고, 사람들이 쉽게 부르고 기억하기 좋은 애칭을 뜻한다. 음식업종이 가장 많은 것은 이 지역 특산물인 영덕대게와 밀접한 관계가 있을 것으로 본다. 또한 지역의 이름은 영덕대게의 상징성으로부터 나온 것이며, 사람들의 애칭은 판매고를 높이는 것과 관련된 것으로 사료된다. 끝으로 기호학적 접근은 가로경관의 전부를 포괄할 수는 없지만, 항구도시의 가로경관의 골격을 이해할 수 있는 언어적 도구라는 점에서 매우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Keywords

References

  1. 구본아(2008) 부산 해양경관의 시각적 선호도 분석. 부경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석사학위논문.
  2. 국토해양부(2011) 하동항을 무역항으로, 강구항을 연안항으로. 국토해양부 물류 항만실 항만정책과.
  3. 공선종(2010) 통영지역의 간판 상호 언어 연구. 경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동찬, 유재설, 김성준(2000) 파리공원에 반영된 한국성의 기호학적 해석. 한국조경학회지 20(3): 53-60.
  5. 김상리(2004) 조경설계 개념의 의미전달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도시생태조경학과 석사학위논문.
  6. 김세천(1991) 국립공원Sequence 경관의기호학과 계량심리학적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19(3): 55-71.
  7. 김진기(2010) 여수시의 경관변천 특성에 관한 연구. 순천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석사학위논문.
  8. 김홍렬(2011) 한국별서정원설계의 기호학적해석.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형철(2002) 간판상호 언어 연구(1) - 이종 및 문자 분포를 중심으로 교육이론과 실천12(2). 경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10. 민현식(2001) 간판 언어의 의미론. 한국어 의미학회 39권 5호.
  11. 박경윤(2008) 한국전통 담장의 기호학적 해석. 동아대학교 석당논총 42집. 207-244.
  12. 신상구(2005) 문화관광 콘텐츠 개발을 통한 영덕 발전 방안 연구. 신라학 연구. 9: 5-25.
  13. 양안식(2002) 항만도시의해안경관에 대한 시각적 선호예측 Model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양위주, 구본아(2007) 항만경관의 시각적 선호도 분석. 한국해양항만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31권 2호.
  15. 양위주, 구본아, 윤기향(2008) 부산 북항 항만경관의 시각적 선호도 분석. 한국해양항만학회지 32(3): 265-269.
  16. 임승빈(1996) 경관분석론.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7. 윤진보(2004) 항만도시의 경관분석과 관리 방안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박사학위논문.
  18. 윤혜정(2000) 옥외광고물의 외래어 사용 실태 연구-대구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어의미학회지 7: 87-113.
  19. 이관희(1985) 한국 항만도시의 경관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이소녕(2003) 간판 언어의 상호적 실태 연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이주석(2007) 현대 간판 언어에 쓰인 광고언어의 고찰.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이현호, 최광조(1986) 가로경관 분석에 기호학적 적용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3): 99-107.
  23. 정창식, 이수호(1994) 해양경관분석에관한연구. 부산수산대연보 34(1-2) : 13-27.
  24. 조현주(2009) 간판경관을 중심으로 한 정보의 생태성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지 10(4): 355-365.
  25. 황기원, 유병림, 이민우(1993) 한국 항만도시의 도시경관 형성과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0(4): 76-92.
  26. http://www.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