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n the Risk of Explosive Terror in Domestic Buildings

국내 건물의 폭발물 테러 위험도 요인 분석

  • 송진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축학과) ;
  • 윤성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축학부)
  • Received : 2012.02.14
  • Accepted : 2012.06.04
  • Published : 2012.06.15

Abstract

According to the global status of terroristic acts occurred from 2002 to 2010, 10,431(nearly 52.2%) of 19,946 cases have happened by bomb blasts, and 10,431(nearly 52.2%) of weapons used for terrorism were explosive substance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terrorism risks of buildings according to height through FEMA 455 - rapid visual screening. As a result, the higher the building is, the higher the terror risk gets. It shows that total risk increases proportionally to buildings's height. In case of buildings over 100 meter high, the total risk is most affected by threat items. According to the risk of explosion associated with the scenario analysis, buildings over 100 meter high have high risks of Internal-Explosive.

2002년부터 2010년까지 세계적으로 발생한 테러 현황을 조사 및 분석한 결과 전체 1만 9천 946건의 테러유형 중 51.8%인 1만 333건이 폭파에 의한 테러로 나타났으며, 사용무기에 있어서도 폭파와 관련된 폭발물이 약 52.2%인 1만 431건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FEMA-rapid visual screening을 통해 국내의 건물을 높이별로 테러위험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건물의 높이가 높아질수록 테러에 대한 위험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어 전체위험도는 건물의 높이와 비례하여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높이 100m 이상 건물의 경우 Threat 항목이 전체위험도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며, 폭발과 관련된 시나리오에 따른 위험도 분석결과 내부 폭발 항목에서 높게 나타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윤성원, 이경훈, 김지현. (2009), "다중이용시설에서의 테러 예방 디자인", 한국공간구조학회지 제9권 통권37호, PP.10-15
  2. 이상원. (2009). "적극적 대테러활동(Counterterrorism)을 위한 경찰업무의 전문화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보 제34호, PP.201-234
  3. 강경연, 임동현, 김정석, 이경훈. (2010). "초고층 건축물 폭발물테러 예방을 위한 건축계획 가이드라인 연구-1, 2차 방어선을 중심으로", 한국위기관리논문집 제6권 제4호, PP.191-216
  4. 김두현, 안광호. (2010). "다중이용시설의 대테러 안전대책" 한국경호경비학회지 제22호, PP.37-64
  5. 테러정보통합센터 : http://www.tiic.go.kr
  6. 지정환. (2011). "국내 초고층건물의 폭발물테러 피해경감을 위한 구조가이드라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업대학원 건축학 석사학위 논문
  7. 지정환, 윤성원. (2011). "Rapid Visual Screening을 통한 국내 고층건물의 테러위험도 분석",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제11권 제2호, PP.55-62
  8. FEMA, FEMA 455-Handbook for Rapid Visual Screening of Buildings to Evaluate Terrorism Risks. 2009

Cited by

  1. Risk Assessment of Tall Buildings in Korea by comparative study of Modified RVS and IRVS system vol.12, pp.4, 2012, https://doi.org/10.9712/KASS.2012.12.4.091
  2. Explosive-Terror Risk Curve by RVS vol.13, pp.3, 2013, https://doi.org/10.9712/KASS.2013.13.3.057
  3. Comparison on Terror Risk of Large Space Structures and High-rise Buildings in Korea vol.16, pp.1, 2016, https://doi.org/10.9712/KASS.2016.16.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