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valuation of the Quantitative Practical Use of Smart Phone Stereo Cameras

스마트폰 스테레오 카메라의 정량적 활용성 평가

  • 박경식 (인하공업전문대학 항공지리정보과) ;
  • 최석근 (충북대학교 토목공학부)
  • Received : 2012.05.21
  • Accepted : 2012.06.21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The interest in 3-dimensional information and its practical use are rapidly increasing and thus some goods with stereoscopic views are being released. Mobile phones, unlike other units, are being closely utilized in everyday life and their applications are undoubtedly limitless. In this study, taking photographs with the stereo-camera of mobile phones has been accomplished and also the possibility of getting the quantitative information has been examined. In addition,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quantitative practical use of mobile phones, evaluating the accuracy of the obtained quantitative information. Thus, interior orientation parameters were decided through the calibration of the lens of two cameras equipped with mobile phones. Using the determined interior orientation parameters, the 3-dimensional coordinates on the targets of the test field were calculated and then compared with precisely observed coordinates. Moreover, the performance of the orientation on the arbitrary building resulted in the standard deviation of $X={\pm}0.0674m$, $Y={\pm}0.25319$, and $Z={\pm}0.4983m$. The result also shows that the plot is possible. As a result, smart phones could be utilized for the acquisition of the quantitative information at close range and small measurement in which the high-accuracy on the basis of centimeters is not required.

현대사회에서 3차원 정보에 대한 관심과 활용도는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영화와 TV뿐만아니라 스마트폰에서도 입체시가 가능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스마트폰은 다른 기기와 달리 일상생활에 밀접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그 활용도 역시 무궁무진하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의 스테레오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을 수행하고 정량적인 정보의 취득이 가능한지 실험하였다. 또한, 취득된 정량적인 정보가 어느 정도 정확도를 가지는지 평가함으로써 스마트폰의 정량적 활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스마트폰에 장착된 카메라 두 대에 대한 렌즈 검정을 수행하여 내부표정요소들을 결정하였다. 결정된 내부표정요소들을 이용하여 테스트필드의 타겟들에 대한 3차원 좌표를 계산하고 정밀하게 관측한 기준좌표들과 비교하였다. 또한, 임의의 건물을 대상으로 표정을 수행한 결과 X=0.0674m, Y=0.25319m, Z=0.04983m의 표준편차를 나타내었으며 도화가 가능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cm급의 높은 정확도를 요구하지 않는 근거리 소규모측량에서는 스마트폰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정량적 정보를 취득하고 이것을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세주, 2011, 패럴랙스 배리어방식 무안경 3D 디스플레이의 시야범위 개선을 위한 공백기술 도출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2. 박경식, 2012, 무안경 3D 스마트폰의 입체시 한계평가,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pp.117- 118.
  3. 오재홍, 이창노, 어양담, 2006, 비측정용 디지털카메라의 효율적인 자체검정을위한 대상지 구성, 한국측량학회지, 제24권 제3호, pp.281-288.
  4. 정성혁, 박찬홍, 이재기, 2004, 산업사진측량에 의한 자동차의 외형 정밀 측정, 한국측량학회지, 제22권 제2호, pp.179-186.
  5. 정수, 2009, 비측량용 카메라를 이용한 3차원 형상해석,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제17권 제2호, pp.91-99
  6. 최헌식, 1999, 근거리 수치사진측량의 초기값 결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7. Cooper, M. A. R., and Robson, S., 1996, Tehory of Close Range Photogrammetry, In Close Rnage Photogrammetry and Machine Vision, Whittles Publishing, pp.9-51
  8. Mikhail, E.M, Bethel, J.S, McGlone.J.C., 2001, Modern Photogrammetry, John Wiley &Sons, Inc, pp.92-97.
  9. Wolf, P. R., Dewitt, B. A., 2000, Elements of Photogrammtery, 3rd edition, McGRAW-HILL Inter. Book Company, pp.383-391.

Cited by

  1. 3D Accuracy Analysis of Mobile Phone-based Stereo Images vol.19, pp.5, 2014, https://doi.org/10.5909/JBE.2014.19.5.6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