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termining Priority of the Bikeway Construction in Rural National Highway

지방부 자전거도로 사업우선순위 선정 방법론에 관한 연구

  • 전우훈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도로연구실) ;
  • 이향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첨단교통연구실) ;
  • 백남철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첨단교통연구실)
  • Received : 2012.01.10
  • Accepted : 2012.03.20
  • Published : 2012.06.15

Abstract

Because people are gradually interested in bicycles,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provide many efforts for expanding bikeway plans and utilization. However, most domestic bicycle plans have been established for the urban and leisure. This research is focused on developing the evaluation method to give the priority order for the investment of rural community bicycle roads. For the methodology development, the planning hierarchy and indicator framework are proposed in this paper. In order to decide the weighting value for indicators, a questionnaire survey to transportation experts was conducted. Moreover, the coefficient for social and spatial equity was applied to consider the balance of regional development. The evaluation was applied to a pilot corridor comprised of a 160km section of national highway in korea. This methodology provides a new tool to decide priority order for the investment of bicycle facilities.

최근 자전거이용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전국적으로 자전거도로 확충을 계획하고 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위해 많은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대부분의 계획들은 도시부와 레저형 자전거도로에 치우쳐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방부의 생활형 자전거도로 사업의 효율적인 투자를 위한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는 평가기법을 개발하고자 한다. 먼저 평가지표 개발을 위해 지방부 생활형 자전거도로의 특성을 반영하고 정량화가 가능하여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선정하였으며, 평가지표의 가중치를 산출하기 위하여 계층화분석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평가항목의 결과만을 기준으로 사업의 우선순위를 평가할 경우 대도시 중심으로 우선순위가 분포되는 경우가 발생할 것으로 판단되어 지역적 형평성(지역균형발전효과)을 고려하기 위해 지역낙후도지수를 고려하였다. 지방부 생활형 자전거도로의 우선순위를 선정하기 위해 시범 적용된 일반국도 구간은 총 23개 구간 160km의 연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지방부 생활형 자전거도로 우선순위 평가방법은 지금까지 없었던 생활형 자전거도로에 대한 구체적인 판단기준을 제시하고 정책적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재구(2009), "녹색성장과 자전거-녹색성장을 위한 정책세미나 주제발표 자료집", 한국교통연구원
  2. 김수성.송기욱.정헌영(2009), "지역특성에 따른 자전거이용 활성화 접근방안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v.27, no.4, pp.17-30
  3. 김지은(2010), "도시내 여가형 자전거도로 노선계획 사전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변완희.임하얀.윤은주(2010), "토지이용시설과 자전거도로 유형의 관계 분석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v.28, no.3, pp. 75-84
  5. 신희철.강지원 외(2009), "4대강 정비사업과 연계된 하천변 자전거도로 건설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교통연구원
  6. 이겨라(2010), "이용자 중심의 자전거도로 서비스수준 모형 개발", 한양대학교 교통공학과, 석사학위논문
  7. 한국개발연구원(2008),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5판) "
  8. 한국개발연구원(2008), "도로.철도 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 조사 표준지침 수정.보완 연구(제5판)
  9. John Pucher.Ralph Buehler, "Making Cycling Irresistible: Lessons from the Netherlands, Denmark, and Germany", Rutgers University
  10. New York City, "New York City Bicycle Master Plan", New York C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