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valuation on Patching Materials for Asphalt Pavement

아스팔트 포장도로의 응급보수재료 평가에 관한 연구

  • 심재필 ((주)도화엔지니어링 기술개발연구원) ;
  • 진정훈 ((주)도화엔지니어링 기술개발연구원) ;
  • 박태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설공학부) ;
  • 이재식 (인천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Received : 2012.04.26
  • Accepted : 2012.05.22
  • Published : 2012.06.15

Abstract

This study presents the evaluation of the patching materials that are used to repair the distress of asphalt pavement. Four kinds of patching materials currently used in practice were tested in both laboratory and field. The laboratory tests included the dry and soaked Marshall stability test, indirect tensile test, wheel tracking test and adhesive strength between the asphalt pavement and the repairing material was tested as a performance test. The field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slab samples placed on the location of vehicle tire passing and the performance of the repairing materials were investigated as passing the traffic load. The result of the laboratory tests were satisfied with the current design criteria and material standard except for water-immersion stability. Type C patching material showed the highest adhesive shear strength among the patching materials tested. However, the mature distress, such as rutting and stripping were monitored after construction in 10 days. It was found that performance of patching material is lack of quality behavior when they were applied in the field and required to develop and applu to prevent the mature distress of the current patching materials.

본 연구는 아스팔트 포장 파손을 복구하는 보수재료에 대한 연구이다.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네가지 종류 재료들에 대하여 실내 및 현장시험을 실시하였다. 실내 시험으로 마샬안정도시험, 간접인장시험, 수침잔류 안정도시험, 휠트랙킹 시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성능시험으로는 기존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과의 수평전단강도시험을 실시하였다. 현장시험은 아스팔트 포장 도로상에서 차량바퀴가 통과하는 지점에 패칭 슬래브를 제작하여 차량 통과에 따른 공용 결과를 관찰하였다. 실내시험 결과는 현재 적용되고 있는 설계 재료들의 기준은 수침잔류 안정도를 제외하고 만족하였다. Type C가 가장 높은 수평전단강도를 나타냈다. 그러나 시공후 10일 이후부터 소성변형과 탈리와 같은 파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상온보수 재료들을 현장에 적용할 경우에 우수한 성능을 기대할 수 없어서 조기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시험방법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이경하, 강민수(2009), 아스팔트 포장의 포트홀 저감대책, 한국도로학회지, 제57권 제12호 12월
  2. 황성도, 이석근, 김영민, 이지익(2005), 폴리우레탄을 이용한 아스팔트 포장의 포트홀 응급보수재 평가, 2005 대한토목학회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pp5303-5306
  3. 한종민, 진정훈, 조규태, 남영국(2002), "아스팔트 혼합물의 전단강도 특성 분석 평가", 한국도로학회 2002 학술발표회 논문집 : Vol. 4. No.1, pp103-110
  4. FHWA NJ 2001-02(2001), Evaluation of Pothole Patching Materials, NJDOT Research Project Manager
  5. AASHTO NTPEP Report 9007.2(2009), Two Year Report of Field Performance and Laboratory Evaluations of Rapid Setting Patching Materials for Portland Cement Concrete, NTPEP Report 9007.2

Cited by

  1. Performance Evaluation of High-RAP Asphalt Mixtures using Rapid-Setting Polymer-Modified Asphalt Emulsion vol.17, pp.2, 2015, https://doi.org/10.7855/IJHE.2015.17.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