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tudy on the "Sanghanron(傷寒論)"'s Mahanggamsuktang(麻杏甘石湯)

"상한론(傷寒論)"의 마행감석탕(麻杏甘石湯)에 대한 연구(硏究)

  • Bang, Jung-Kyun (Dept. of Oriental Medical Classics and Histor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Sangji University)
  • 방정균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의사학교실)
  • Received : 2012.02.07
  • Accepted : 2012.02.18
  • Published : 2012.02.25

Abstract

Objective : There are lots of wrong treatment cases in the "Sanghanron". Therefore, search the symptoms that before performed the wrong treatment is important, and that can be a another way to study "Sanghanron". Method : I'll have to figure out "Sanghanron" related publications. Result : The symptoms of Mahanggamsuktang already had the symptoms of Mahwantang(麻黃湯) and the fever of Lung before performed the wrong treatment. Because pathogenic heat is blockaged in the Lung, so we use the Mahanggamsuktang. Conclusion : The efficacies of this drug are disseminating Lung Gi(肺氣) and clearing heat. However, as the rise and fall of fever, the amount of HERBA EPHEDRAE(麻黃) and GYPSUM FIBROSUM(石膏) can be adjusted.

Keywords

References

  1. 홍남두, 정규만, 문정호, 주수만. 生藥 複合 製劑의 藥效 硏究;麻杏甘石湯이 鎭痛, 解熱, 消炎, 거담, 摘出腸管 및 血壓과 呼吸에 미치는 影響. 생약학회지. 1986. 66. pp.223-231.
  2. 박상현, 정희재, 정승기, 이형구. 麻杏甘石湯과 桔梗이 인간기관지 상지세포의 Cytokine에 미치는 영향. 경희의대논문집. 2001. 17(2). pp.230-241.
  3. 이주관, 구영선, 이용구, 박양춘. 麻杏甘石湯加減方이 천식모델 생쥐의 CD3, CD4, CD8 세포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논문집. 2008. 17(1). pp.67-74.
  4. 박길병. 麻杏甘石湯加減方이 천식모델생쥐의 면역세포 및 사이토카인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5. 장진택, 서일복, 김정범. 加味麻杏甘石湯 및 蒲黃이 肥滿誘導白鼠의 體重 및 脂質代謝에 미치는 영향 억제.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3. 17(1). pp.190-202.
  6. 조주현. 마행감석탕이 고지방식이 흰쥐의 비만에 미치는 실험적 연구. 동신대학교 박사박위논문. 2011.
  7. 蔡仁植. 傷寒論譯詮. 서울. 高文社. 1991. p.43, 61, 128, 139.
  8. 李培生 編著. 柯氏傷寒論注疏正.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96. p.92.
  9. 陳熠 主編. 喩嘉言醫學全書.尙論篇. 北京. 中國中醫藥出版社. 2003. p.34.
  10. 張民慶, 王興華, 劉華東 主編. 張璐醫學全書.傷寒纘論. 北京. 中國中醫藥出版社. 1999. p.570.
  11. 鄭林 主編. 張志聰醫學全書.傷寒論集注. 北京. 中國中醫藥出版社. 1999. p.640.
  12. 林慧光 主編. 陳修園醫學全書.傷寒論淺注. 北京. 中國中醫藥出版社. 2001. p.396, 418.
  13. 吳謙. 醫宗金鑑.傷寒論注.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2003. p.17.
  14. 孫中堂 主編. 尤在涇醫學全書.傷寒貫珠集. 北京. 中國中醫藥出版社. 1999. p.25, 38.
  15. 李培生. 傷寒論. 서울. 아울로스출판사. 1994. p.109.
  16. 成無已. 註解傷寒論.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96. p.118.
  17. 李劉坤. 臨床溫病學特講. 서울. 대성의학사. 2001. pp.263-264, 266-267.
  18. 鄒澍 지음. 임진석 옮김. 本經疏證. 서울. 대성의학사. 2001. p.209.
  19. 吳鞠通 著. 丁彰炫 譯. 國譯溫病條辨. 서울. 集文堂. 2004. p.664.
  20. 孟澍江 主編. 溫病學. 台北. 知音出版社. 民國 86(1997). p.145, 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