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관자(管子)"의 정치철학(政治哲學)과 "황제내경(黃帝內經)"의 통합사상(統合思想)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correlation of political philoshphy in "Guanja(管子)" with the united thought in "Huangjenaegyeong"

  • 박현애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기초한의과학과) ;
  • 김수중 (경희대학교 문과대학 철학과) ;
  • 정창현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학교실) ;
  • 장우창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학교실) ;
  • 백유상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학교실)
  • Park, Hyun-Ae (Dept. of Oriental Medicine, General Graduate college, Kyunghee University) ;
  • Kim, Su-Joong (Dept. of Philosophy, College of Liberal Arts, Kyunghee University) ;
  • Jeong, Chang-Hyun (Dept. of Oriental Medicine Classics,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hee University) ;
  • Jang, Woo-Chang (Dept. of Oriental Medicine Classics,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hee University) ;
  • Baik, You-Sang (Dept. of Oriental Medicine Classics,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hee University)
  • 투고 : 2012.02.06
  • 심사 : 2012.02.23
  • 발행 : 2012.02.25

초록

Objective : In "Guanja" there is a clear system with xin and shengren as the central figure, which can be correlated with the united thought can be found in "Huangjenaegyeong". Method : In studying Oriental medicine, we will try to compare the Guanza and Huangjenaegyeong, in that what Sin is doing and how Seongin(聖人) does the work to achieve his prupose, and how Sin has philosophical meaning. Result : Guanja targets a unified government with the king centered, always issues an order, at the same time Guanja survey the system of the military, economy, retainer, people in the gross. In Guanja the Seongin is the ideal king, who understands the four seasons and command in timely, and rule his people using Muui(無爲). Sin is the center which achieve Dao(道) in mankind, and in the government system it is compared as the king to the rellation between king and retainer. "Huangjenaegyeong" is a medicine book which persued the united medical theory and algorithm. It made the general system algorithm, and united many different theories with the Seongin centered, who understand the 天氣 (including four seasons) and can control the human body. In this book, Sin is the center which control other organs. Conclusion : Political philoshphy in Guanja and the united thought in "Huangjenaegyeong" can be correlated in that two both aim for the systematization and the unity.

키워드

참고문헌

  1. 박석준, 최승훈. 관자 4편 등에 나타난 정기설 고찰. 동의병리학회지. 1993. 8. p.217.
  2. 김희정. 관자 4편의 구원론으로서 치신사상. 도교문화연구. 2003. 18. p214-215.
  3. 신정근. 전국시대 2단계 心 담론으로서의 관자심학의 의의. 동양철학연구. 2009. 57. pp.223-245.
  4. 김예호. 직하황노도가의 정치철학 연구 - 관자 4편과 황제사편 도론의 사회적 전개과정 비교 고찰. 중국학보. 2003. 48. pp.597-622.
  5. 김예호. 직하황노도가의 정치철학적 세계관 연구 - 管子4編의 도론 분석을 중심으로. 동양철학연구. 2003. 33. pp.273-304.
  6. 박동인. 管子4編과 할관자의 기화우주론. 철학연구. 2009. 86. pp.33-59.
  7. 심우섭. 관자 정치철학사상의 현대적 조명. 동양철학연구. 1999. 21. pp.237-271.
  8. 김광중. 지재동. 황제내경의 정기론 형성에 관한 황제사경의 영향. 동서의학. 2009. 34. pp.67-84.
  9. 양칭. 관자의 도론체계 연구에 대한 종합적 서술. 동서사상연구소논문집. 2010. 8. pp.211- 224.
  10. 천인석. 유학사상과 한의학. 동서의학논문집. 2010. 21. pp.39-48.
  11. 정우진. 감응과 한의학. 의철학연구. 2010. 9. pp.19 -43.
  12. 정우진. 상관적 사유의 비판적 고찰. 범한철학. 2010. 58. pp.1-25
  13. 김수중. 노자와 황로사상. 동양철학연구. 2006. 47. pp.303-330.
  14. 김갑수. 황로학에 대한 오해와 진실. 시대와 철학. 1999. 10. p257.
  15. 정영수. 맹자의 도덕적 자기수양 - 사유능력 (思)을 중심으로. 범한철학회. 2008. 48. pp.29-49.
  16. 김성지. 동중서의 양 중심사상으로의 전환에 대한 고찰.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0. p.26
  17. 백유상, 정우진. 유비추리를 통해 본 한의학 이론구성의 과정.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06. 19. pp.202-211.
  18. 천영미. 선진시대 정국운영 양상에 관한 고찰. 한문고전 연구. 2007. 15. p.282.
  19. 김희정. '치유' 관념에 대한 종교학적 고찰 -황제내경을 중심으로-. 동북아문화연구. 2006. 10. pp.31-33.
  20. 김희정. 황제내경의 신체관. 도교문화연구. 2004. 20. pp.247-278.
  21. 정창현. 황제내경의 정신관. 대한원전의사학회지. 1996. 10. p.7
  22. 박석준. 사상의학과 인문학의 역할. 오늘의 동양사상. 2009. p.145.
  23. 김필수, 고대혁, 장승구, 신창호 역. 管子. 서울. 소나무. 2006. p.442, 443, 446, 506, 508, 512, 513, 516, 517, 518, 519, 520, 05, 606, 612, 645. pp.175-176, 514-515, 523-524, 542-543, 613-614,
  24. 야마다 게이지. 전상운 외 譯. 중국의학은 어떻게 시작되었는가. 서울. 사이언스북스. 2002. pp.92- 94, pp.107-112, pp.116-118.
  25. 유장림. 조남호 외 譯. 강설 황제내경. 서울. 청홍. 2009. p.26, p41, p.365
  26. 앤거스 그레이엄. 나성 譯. 도의 논쟁자들 : 중국 고대 철학 논쟁. 서울. 새물결 출판사. 2003. p.182-191
  27. 김충열. 김충열 교수의 중국철학사 1 : 중국 철학의 원류. 서울. 예문서원. 1994. p96. pp. 168-229. pp.257-258. pp.240-285.
  28. F.W.모트. 김용헌 譯. 중국의 철학적 기초. 서울. 서광사. 1994. pp.157-164.
  29. 周桂鈿. 문재곤 외 譯. 강좌 중국철학. 서울. 예문서원. 1992. pp.141-142.
  30. Richard E. Nisbett. 최인철 譯. 생각의 지도. 서울. 김영사. 2004. p.230.
  31. 풍우란. 박성규 譯. 중국철학사. 서울. 까치. 1999. p.43, p.87, p.96, p.185, p.699.
  32. 북경대학교 철학과연구실. 박원재 譯. 중국 철학사 1. 서울. 간디서원. 2005. pp.213-228.
  33. 洪元植. 黃帝內經素問解釋. 서울. 高文社. p.13, 18, 21, 34, 37, 42, 76, 199. pp.53-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