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장산뢰(張山雷)의 학술인식체계(學術認識體系)에 관한 연구 -"난경회주전정(難經滙注箋正)"을 중심으로-

A study on scholarship paradigm of 'Jiang Shan-Lei(張山雷)' -focus on "Nan Jing Hui Zhu Jian Zheng(難經滙注箋正)"-

  • 하홍기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의사학교실) ;
  • 김기욱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한의학연구소)
  • Ha, Hong-Ki (Dept. of Oriental Medical Classics,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guk University) ;
  • Kim, Ki-Wook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Dongguk University)
  • 투고 : 2012.01.27
  • 심사 : 2012.02.16
  • 발행 : 2012.02.25

초록

Objective: "Nan Jing Hui Zhu Jian Zheng" published in 1923 is a book that 'Jiang Shan-Lei' wrote. He selected the past footnotes about "Nan Jing(難經)" and developed his own medical ideas on its base. Method : We will try to understand on scholarship paradigm of 'Jiang Shan-Lei' focus on his "Nan Jing Hui Zhu Jian Zheng". Result and Conclusion : He introduced the western medicine system to the Chinese medicine education, and he introduced a viewpoint of the human body of the western medicine to the structure of the human body as well. He judged yes or no of the Chinese medicine theory on the base of his human body viewpoint focused on an anatomy and a physiology. His human body viewpoint like this helped prove actually some of the Chinese medicine theory that was explained ideally. However, it had inappropriate aspects in explaining the Chinese medicine, which has a low alteration of a theory by inferring from the principle, due to a changeability of the western medicine theory itself. Moreover, his rash judgement concerning the Chinese medicine theory on its base brought about even side effects hampering efforts which reveal the Chinese medicine essence.

키워드

참고문헌

  1. 윤창열. 의철학. 대전. 주민출판사. 2011.
  2. 河洪基.金基郁.朴炫局. 黃帝內經靈樞 에 기재된 三焦에 관한 小考.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4권 4호. 2011.
  3. 김규열, 배병철 편저. 한의학개론. 서울. 성보사. 2010.
  4. 張山雷. 本草正義. 서울. 청홍(지상사). 2009.
  5. EBS <동과 서> 제작팀.김명진 지음. EBS 다큐멘터리 동과 서. 서울. 위즈덤하우스. 2008.
  6. 尹暢烈, 金容辰. 難經硏究集成. 대전. 周珉出版社. 2007.
  7. 朴晶禧. 遼.金.元.明.淸代의 醫政史에 關한 硏究. 東國大學校 大學院 韓醫學科. 2006.
  8. 朴贊國. 黃帝內經素問注釋. 파주. 集文堂. 2005.
  9. 朴炫局. 中國科學技術史. 서울. 法仁文化史. 2005.
  10. 李泰宰. 中國 古代 醫政史(秦漢-兩宋)에 關한 硏究. 東國大學校 大學院 韓醫學科. 2005.
  11. 김수청. 유교의 생사와 귀신문제. 석당논총 제 33집. 2003.
  12. 金衡鍾. 근대중국에서의 전통과 근대 -청말민초 서학수용 시론. 인문논총 제50집. 2003.
  13. 김완희. 한의학원론. 서울. 성보사. 2003.
  14. 전상운, 이상규 옮김. 중국의학은 어떻게 시작되었는가. 서울. 사이언스북스. 2002.
  15. 곽덕환. 문화재건의 관점으로 본 중국현대화. 한국외국어대학교중국문제연구소. 중국연구 제28권. 2001.
  16. 宋美令. 張山雷의 의학사상에 관한 연구. 大田大學校 大學院. 2000.
  17. 신순식. 중국 중서의결합의 기초이론연구. 제3의학 제5권 1호. 2000.
  18. 李經緯. 中國醫學通史 古代卷.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2000.
  19. 전통의학연구소 편. 동양의학대사전. 서울. 성보사. 2000.
  20. 동양의학대사전편찬위원회. 동양의학대사전 2. 서울. 경희대학교 출판국. 1999.
  21. 동양의학대사전편찬위원회. 동양의학대사전 3. 서울. 경희대학교 출판국. 1999.
  22. 동양의학대사전편찬위원회. 동양의학대사전 5. 서울. 경희대학교 출판국. 1999.
  23. 동양의학대사전편찬위원회. 동양의학대사전 9. 서울. 경희대학교 출판국. 1999.
  24. 林殷 지음. 한의학과 유교문화의 만남. 서울. 예문서원. 1999.
  25. 정진배. 中體西用과 근대자아. 중국현대문학 第 12호. 한국중국현대문학학회. 1997.
  26. 浙江省中醫管理局 張山雷醫集 編委會 編校. 張山雷醫集 上冊.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95.
  27. 浙江省中醫管理局 張山雷醫集 編委會 編校. 張山雷醫集 下冊.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95.
  28. 王錫貞. 論張山雷對中醫敎育事業的貢獻 中醫敎育ETCM 第14卷 第3期. 1995.
  29. 張壽頣. 국역 中風斠全. 서울. 大星文化社. 1994.
  30. 廖育群. 難經醫學理論時代的特徵. 中華醫史雜誌 第23卷 第1期. 1993.
  31. 甄志亞. 中國醫學史. 서울. 일중사. 1992.
  32. 한국 철학사상연구회 편. 철학대사전. 서울. 동녘. 1989.
  33. 丹波元胤. 中醫醫籍考.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