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Situated Cognition Theory in the Mathematics Education

수학교육에서 상황인지이론의 적용 방안

  • Received : 2012.03.02
  • Accepted : 2012.04.04
  • Published : 2012.04.30

Abstract

Unlike traditional cognitive theory, situated cognition theory has been understood as a pedagogical theory that highly reflects the constructivist nature of learning. In order to practice situated learning in school, situations in the classroom are very important in which real teaching and learning occurs. Due to the fact that learning is the process of mental activities which is considerably dependent on conditions and context, it focuses more on the learning process and real-situation experiences rather than the result itself. In mathematics education, teaching students the ability to solve given problems in a conventional way is not enough anym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mathematical education in the classroom by analyzing the implications of situated cognition theory and situated learning for 'doing mathematics' in classroom teaching. In this research, we introduce briefly about situated cognition theory and situated learning, compare the phenomenon of mathematics in the classroom to that in the mathematician's mind, and finally propose the applications of situated cognition theory in the mathematics education based on three perspectives of situated cognition theory the embodiment thesis, the embedding thesis, and the extension thesis.

진통 인지심리학과 달리 상황인지이론은 학습의 구성주의 본성을 강하게 반영하는 교육학 이론으로 이해된다. 학교에서 상황학습을 하기 위해서는 교실상황은 교수와 학습이 진정으로 일어나는 장소로 매우 중요하다. 인간의 정신활동인 학습은 그것이 일어나는 상황과 맥락에 의존하면서 학습 결과보다는 과정에, 그리고 실제 상황에서의 학습의 경험을 강조하고 있다. 수학교육에서는 주어진 정형화된 수학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넘어서는 능력을 요구하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수학함이 잘 일어나도록 하기 위해 상황인지이론과 그에 토대한 상황학습이 수학 교실수업에 어떤 시사점을 주고,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상황인지와 상황학습을 간단하게 설명하고, 수학자들이 행하는 수학과 교실에서의 수학을 비교하여 보고, 상황인지론의 3가지 관점에 따른 수학교육과 관련성을 검토하고, 수학교육에서의 적용할 방안을 검토, 제시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2009). 2009 수학과 교육과정. 서울 : 교육과학기술부.
  2. 김민경.민선희.김혜원 (2011). 수학 교과에서의 상황맥락적 문제에 대한 교사의 인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50(2), 149-164.
  3. 김민경.홍지연.김은경 (2009). 수학적 모델링 사례 분석을 통한 초등 수학에서의 지도 방안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8(4), 365-385.
  4. 김민경.홍지연.김혜원 (2010). 수학적 모델링 적용을 위한 문제상황 개발 및 적용.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9(3), 313-328.
  5. 김상룡 (2008). 수학교육에서 STL의 비판적 고찰. 초등교육연구논총, 23(2), 277-294.
  6. 김성동 (2001). PlSA 2000 수학교육 평가 결과 분석 연구. 서울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7. 김수환.박성택.신준식.이대현.이의원.이종영.임문규.정은실 (2009). 초등학교 수학과 교재 연구. 서울 : 동명사.
  8. 박성선 (1998). 수학학습에서의 상황인지론 적용과 전이에 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9. 박성은 (2001) 상황화된 인지 교수방법의 학습효과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박종원 (2009). 상황학습(Situated Learning)과 교육. 대구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류희찬.김지연 (2005). 엑셀을 활용한 소그룹 모델링에서의 상호작용: 중학교 2학년 대수영역을 중심으로. 대한수학교육학회지 <수학교육학연구>. 15(1), 75-105.
  12. 이성은 (2000). 상황학습 이론에 의한 맥락제공수업이 학습전이와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전평국.박성선 (2000). 상황학습. 서울 : 교우사.
  14. 조영준.신항균 (2010). 초등학교 수학교실에서 나타난 수학적 의사소통 유형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4(3), 681-700.
  15. 주웅영 (2011). 초등 사회과 역사교육과 상황인지이론. 역사교육논집, 46, 61-91.
  16.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4). 교사, 수업, 그리고 학생 성취: TIMSS 1999 결과를 중심으로. 서울: 선영인쇄주식회사.
  17. 황혜정 (2007). 수학적 모델링의 이해. 대한수학교육학회지 <학교수학>, 9(1), 65-97.
  18. Boaler, J. (2009). The Elephant in the Classroom. UK : Souvenir Press.
  19. Brown, J. S., Collins, A., & Duguid, P. (1989). Situated Cognition and the Culture of Learning, Educational Researcher, 18(4), 32-42.
  20. English, L. D. (2006). Mathematical modeling in the Primary School : Children's Construction of a Consumer Guide.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63, 303-323. https://doi.org/10.1007/s10649-005-9013-1
  21. Freudenthal, H. (1991). Revisiting Mathematics Education- China Lectures-. Kluwer Academic Publishers.
  22. Harley, S. (1993). Situated Learning and Classroom Instruction. Edurotional Technology, Mar, 46-50.
  23. Lave, J. (1988). Cognition in Practice.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 Lave, J., & Wenger, E. (1995). Situated Learning: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5.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Author.
  26. Niss, M., Blum, W., & Galbraith, P. (2007). Introduction. In W. Blum, P. Galbraith, H. Henn, & M. Niss (Eds). Modeling and Applications in Mathematics Education (pp. 3-32). New York; Springer.
  27. Robbins, P., & Aydede, M. (2009). The Cambridge Handbook of Situated Cognition. New York :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 Schoenfeld, A. H. (1985).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New York: Acadernic Press.
  29. Suchman, L. (1987). Plans and Situated Actions. Cambridge, MA : Harvard University Press.
  30. Swetz, F., & Hartzler, J. S. (1991). Mathematical Modeling in the Secondary School Curriculum; A Resource Guide of Classroom Exercises. Reston, VA : NCTM.
  31. Young, M. F. (1993). Instructional Design for Situated Learning.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41(1), 43-58 https://doi.org/10.1007/BF022970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