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곽유적의 정비복원(整備復元) 대상구간 선정을 위한 평가지표 연구

A Study of Evaluation Indices for Selecting Castle Remains Maintenance and Restoration Sections

  • 김홍곤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최기수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Kim, Hong-Go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University of Seoul) ;
  • Choi, Key-Soo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University of Seoul)
  • 발행 : 2012.03.31

초록

성곽유적(城郭遺蹟)은 대규모의 선적(線的)형태를 지닌 특성으로 인하여 중장기에 걸친 단계적 정비복원 사업이 불가피하다. 이로 인하여 다양한 가치요인에 의한 평가를 통하여 정비복원(整備復元)사업의 대상구간이 설정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가치평가의 명확한 기준과 방법이 설정된 바가 없었고, 성곽유적의 가치평가를 통하여 정비사업의 범위를 정한 선행의 사례에 있어서도 산성유적과 읍성유적이라는 상이한 환경에 놓여진 두 유형의 평가체계에서 평가항목과 가중치의 설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한계를 보이고 있었다. 이러한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성곽유적의 우선적이고 현실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정비복원 대상구간의 선정을 위한 가치평가방법론에 대한 접근을 시도하였다는 데서 다음과 같은 의의를 둘 수 있다. 첫째, 성곽유적의 정비복원 대상구간 선정을 위한 가치평가 항목으로 3개의 평가요소(상위지표)와 9개의 평가항목(하위지표)을 도출하였다. 둘째, 전문가 설문을 통한 AHP분석에 의한 평가항목별 상대적 중요도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항목별 가중치를 산출하였다. 셋째, 성곽유적 정비복원계획에 있어 산성과 도시읍성의 유형에 따른 세부적인 가치평가의 체계를 마련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까지 통합적이고 객관적인 가치평가 기준이 부재하였던 성곽유적의 정비복원계획을 수립하는 과정 중 정비복원 대상의 우선순위를 결정함에 있어서 하나의 중요한 판단기준으로 기능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본 연구에서 도출된 평가체계의 활용 방안에 대한 충분한 연구와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Most of all Castle Remains in Korea were built on an axis of development with a scale of great magnitude. Because of its characteristics, the restoration and conservation plans should be phased in over medium and long term. There is no standards for evaluating the value of Castle Remains to set up the restoration and conservation sections. Some plans were set up through the value evaluation of its Castle Remains but those plans didn't have Evaluation System and different weight depending on different environment between Sanseong(mountain fortress) and Eupsung(fortress built in villages). To solve the limitation of Evaluation System of Castle Remains, this study try to approach in the Evaluation System methodology for selecting restoration sections. The results of its study follow below. First, this study drew the Evaluation Indices for selecting restoration sections of Castle Remains. There are three kinds of Elements(upper Index) and nine kinds of Evaluations(low Index). Second, Calculation of weight index by index on the questionnaire survey from expers through the relative importance analysis of AHP. Third, This study suggests the specific Evaluation System according to types; Sanseong(mountain fortress) and Eupsung(fortress built in village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standards to select the priority list for the restoration and conservation plan process and it can be used one of important standards in future plan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대일(2006). 문화유산 보존의 개념과 보존이론. 보존과학회지.
  2. 국립문화재연구소(2009). 사적의 보존. 활용을 위한 해외 조사자료집.
  3. 경주시(2007). 명활산성 정비기본계획.
  4. 경주시(2009). 경주읍성 정비기본계획.
  5. 경주시(2009). 남산신성 복원종합기본계획.
  6. 김영숙(2003). 보전성을 중심으로 한 토지적성평가 개선 방법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충식, 김영모(2006). 고도보존지구 분류를 위한 보존가치 평가 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4(3): 118-132.
  8. 문화재청(2008). 성곽 정비 및 보존관리 활용방안 지침마련 연구
  9. 백선영, 안건혁(2009). 서울시 한옥밀집지구의 가치평가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25(5): 223-230
  10. 서왕우(2004). 읍성의 보수정비 실태에 관한 연구: 국가사적으로 지정된 읍성을 중심으로. 울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송기준,김창준,강경인(2007). 우선수리대상 문화재 선정을 위한 의사결정 지원 모델 개발, 대한건축학회지. 23(5): 211-218.
  12. 안진성(2011). 델파이 기법(Delphi)과 계층적 의사결정방법(AHP)의 적용을 통한 전통정원의 보존상태 평가지표 개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손영식(1987). 한국성곽의 연구. 문화재관리국.
  14. 조근태, 조용근, 강현수(2003). 계층분석의 의사결정. 동현사. pp.57-58.
  15. 채미옥, 오용준(2003). 토지적성평가의 지표추출 및 지표별 가중치 분석방법 고찰. 대한지리학회지. 38(5): 727-740.
  16. 한상우(2005). 문화유적 관리계획 수립에 관한 연구. 고문화. 65:5-29.
  17. 文化.文化財部記念物課(2005). 史跡等整備のてびき-保存と活用のために.
  18. 국립문화재연구. http://www.nrich.go.kr
  19. 문화재청. http://www.cha.go.kr
  20. ICOMOS위원회. http://www.icomos.org/
  21. ICOMOS한국위원회. http://www.icomos-korea.or.kr
  22. Land suitability analysis user guide. http://dcm2.enr.state.nc.us